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테논낭포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테논낭포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테논낭포 (Tenon's cyst) 는 encysted bleb, encapsulated bleb라고도 부르며 섬유아세포의 과형성으로 전방과 직접 연결된 단단한 돔 형태의 얇은 벽으로 된 테논낭의 낭포성 융기로 결막 충혈과 안압 상승을 보인다. == 역학 == 보통 [[섬유주 절제술]] 후 약 2~4주째 발생하며, 테논낭 주위에는 결막 융기나 미세낭포성 부종이 없으며 발생 빈도는 수술 후 약 10~14%이다. == 위험 인자 == * [[선천 녹내장]] * 젊은 환자 * 수술 후 염증 반응이 심한 환자 * 수술 전 평균 안압이 40~50mmHg 정도로 높았던 환자 * [[아르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을 시행받은 경우 * 전포도막염 * 수술 전 장기간 [[베타 차단제]]나 부교감 신경 흥분제를 사용했던 경우 * 테논낭포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 수술 전에 스테로이드 결막하 주사를 시행한 경우 == 비수술적 치료 == 대개 <span style='color:blue;'>수술 후 2~4개월에 자연적으로 소실</span>되지만 안압이 높은 경우에는 방수생성 억제제, 스테로이드 점안약 같은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테논냥포가 형성되는 기미가 보이는 초기에는 <span style='color:blue;'>지압 방법</span>으로 낭포 내에 있는 방수를 주위 결막하로 확산시켜 주면 여과포가 형성될 수 있다. == 수술적 치료 == 만일 최종 안압이 남은 시야를 유지할 만큼 충분히 낮지 않거나 약물적 치료, 지압 등으로 조절이 되지 않을 경우 주사침을 이용한 낭포의 절개나 수술적 제거가 필요하다.
테논낭포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테논낭포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