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X염색체 연관 시신경 위축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X염색체 연관 시신경 위축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X염색체 연관 시신경 위축 (X-linked optic atrophy; XLOA)</b> 은 매우 드물다. X염색체 1개에 이상이 있다면 남자는 시신경 병증이 나타나고, 여자는 이상 유전자의 보인자가 되므로 주로 남자에서 증상이 나타난다. 1997년 Assink 등이 X 염색체의 Xp11.4-p11.21 에서 질환 관련 유전자 (OPA2) 를 확인하였다. == 임상 양상 == 아동기 초기에 20/30~20/100 정도의 시력을 보이며, 서서히 시력이 떨어진다. 시신경은 전체적으로 창백하다. [[시유발 전위]]에서 잠복기가 지연되고, 망막 전위도 검사에서도 이상이 발견된다. == 신경학적 이상 == 과다한 무릎 반사, 발목 관절 반사나 펴기 발바닥 반사의 소실, 조음 장애 (dysarthria), 상반 운동 반복 장애 (dysdiadochokinesia), 떨림, 어려운 일자 걸음 등이 있다. 눈 이상으로 맥락망막염, 눈떨림, 백내장이 ㅇ씨을 수 있고, Rosenberg-Chutorian 증후군에서는 청력 장애, Jensen 증후군에서는 치매가 동반된다.
X염색체 연관 시신경 위축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X염색체 연관 시신경 위축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