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바깥 눈구더기증: 편집 역사
도움말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아톰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이 문서의 기록 보기
특정판 필터링
펼치기
접기
끝 날짜:
태그
필터:
wikieditor (숨긴 태그)
넘겨주기 제거
대체됨
되돌려진 기여
비우기
새 넘겨주기
수동 되돌리기
선택 반전
판 보이기
차이 선택: 비교하려는 판의 라디오 버튼을 선택한 다음 엔터나 아래의 버튼을 누르세요.
설명:
(최신)
= 최신 판과 비교,
(이전)
= 이전 판과 비교,
잔글
= 사소한 편집
2024년 7월 22일 (월)
최신
이전
14:54
2024년 7월 22일 (월) 14:54
Smile
토론
기여
잔글
1,947 바이트
+170
→
임상 소견
최신
이전
14:53
2024년 7월 22일 (월) 14:53
Smile
토론
기여
잔글
1,777 바이트
+216
→
치료
최신
이전
08:23
2024년 7월 22일 (월) 08:23
Smile
토론
기여
1,561 바이트
+1,561
새 문서: '''바깥 눈구더기증 (ophthalmomyiasis externa)'''{{각막}} == 원인 == 가장 흔한 종은 미국에서는 양코 파리 (''Oestrus ovis'') 이며 중남미에서는 남미종말 파리 (''Dermatobia hominis'') 이다. 양코 파리의 암컷이 모기 등 곤충에 알을 부착하면 곤충이 사람 피부에 알을 옮기게 되고,피부의 온기가 알을 부화시켜 유충이 모기 물린 자리나 모낭 등을 통해 피부로 침투한다. 피부 내 유...
검색
검색
바깥 눈구더기증: 편집 역사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