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 결핵: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코곁굴로부터의 직접 전파 | * 코곁굴로부터의 직접 전파 | ||
== 분류 == | == 분류 == | ||
# Classical periostitis | |||
# Orbital soft tissue tuberculoma or cold abscess, with no bony destruction | |||
# Orbital TB with evidence of bony involvement, not categorized as 1 | |||
# Orbital spread from the paranasal sinuses | |||
# Dacryoadenitis | |||
== 진단 == | == 진단 == | ||
안와결핵의 진단은 임상적으로 하게되며,보통 ''Mycobacterium tuberculosis''가 배양되고 결핵 치료에 반응이 있다면 안와 결핵으로 진단할 수 있다. 조직검사에서 상피모양의 육아종과 함께 랑게르한스 거대세포 (Langhans giant cell) 와 치즈괴사 (caseous necrosis) 는 결핵의 전형적 소견이다. 항산막대균(acid-fost bacillus,AFB)의 확인 및 면역 | 안와결핵의 진단은 임상적으로 하게되며,보통 ''Mycobacterium tuberculosis''가 배양되고 결핵 치료에 반응이 있다면 안와 결핵으로 진단할 수 있다. 조직검사에서 상피모양의 육아종과 함께 랑게르한스 거대세포 (Langhans giant cell) 와 치즈괴사 (caseous necrosis) 는 결핵의 전형적 소견이다. 항산막대균(acid-fost bacillus,AFB)의 확인 및 면역 | ||
화학염색을 통해 진단 특이도를 높일 수 있다. | 화학염색을 통해 진단 특이도를 높일 수 있다. | ||
{{참고}} | {{참고}} |
2023년 1월 16일 (월) 05:44 판
안와 결핵 (ocular tuberculosis)[1] 의 경우 폐외 결핵의 드문 형태이다.
전파 경로
- 혈액으로 이차 전파
- 코곁굴로부터의 직접 전파
분류
- Classical periostitis
- Orbital soft tissue tuberculoma or cold abscess, with no bony destruction
- Orbital TB with evidence of bony involvement, not categorized as 1
- Orbital spread from the paranasal sinuses
- Dacryoadenitis
진단
안와결핵의 진단은 임상적으로 하게되며,보통 Mycobacterium tuberculosis가 배양되고 결핵 치료에 반응이 있다면 안와 결핵으로 진단할 수 있다. 조직검사에서 상피모양의 육아종과 함께 랑게르한스 거대세포 (Langhans giant cell) 와 치즈괴사 (caseous necrosis) 는 결핵의 전형적 소견이다. 항산막대균(acid-fost bacillus,AFB)의 확인 및 면역 화학염색을 통해 진단 특이도를 높일 수 있다.
참고
- ↑ 성형안과학 제 4판, 2022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