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시클로버: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CMV가 감염된 세포에서 간시클로버의 활성도는 바이러스로 인한 thymine kinase의 인산화 반응에 의해 결정된다. 감염된 세포로 들어간 약제는 UL97 효소에 의해 인산화(monophosphorylation) 되고 이후 thymine kinase에 의해 2차례 더 인산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 ganciclovir 3인산염은 바이러스 DNA의 중간과 끝부분으로 들어가서 deoxyguanine triphosphate와 경쟁하여 바이러스의 DNA복제를 방해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게 된다<ref>Faulds D et al. Ganciclovir. A review of its antiviral activity,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therapeutic efficacy in CMV infections. ''Drugs''. 1990 Apr;39(4):597-638. [https://pubmed.ncbi.nlm.nih.gov/2161731/ 연결]</ref>. | CMV가 감염된 세포에서 간시클로버의 활성도는 바이러스로 인한 thymine kinase의 인산화 반응에 의해 결정된다. 감염된 세포로 들어간 약제는 UL97 효소에 의해 인산화(monophosphorylation) 되고 이후 thymine kinase에 의해 2차례 더 인산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 ganciclovir 3인산염은 바이러스 DNA의 중간과 끝부분으로 들어가서 deoxyguanine triphosphate와 경쟁하여 바이러스의 DNA복제를 방해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게 된다<ref>Faulds D et al. Ganciclovir. A review of its antiviral activity,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therapeutic efficacy in CMV infections. ''Drugs''. 1990 Apr;39(4):597-638. [https://pubmed.ncbi.nlm.nih.gov/2161731/ 연결]</ref>. | ||
== 적응증 == | |||
===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CMVR) === | |||
정맥 주사 제제로 CMVR의 최초 치료제이다. 5 mg/kg의 용량으로 하루 2번, 2주간 유도 치료를 한 후, 5 mg/kg 용량으로 하루 한 번 유지 치료를 한다. | |||
약제를 중단하면 병이 급속히 재발하며, 재발한 경우에는 7.5 mg/kg 용량을 하루 2번씩 주사하고,이후 10 mg/kg 용량으로 유지 치료를 한다. | |||
1994년 FDA에서 승인된 경구용 간시클로버가 흔히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더 높은 혈중 농도를 보이는 [[발간시클로버]]로 대체되었다. | |||
== 부작용 == | == 부작용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