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천 외향신경 마비: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지주막하 공간 병변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신경외과 수술 시 직접 손상을 받거나, 폐쇄 머리 손상 같은 무딘 손상 시 간접적으로 다치기도 한다<ref>Keane JR. Bilateral 6th nerve palsy. Analysis of 125 cases. ''Arch Neurol''. 1976 Oct;33(10):681-3. [https://pubmed.ncbi.nlm.nih.gov/184766/ 연결]</ref>. 수막염, 두개저종양, 신경 자체의 신경집종, 해면혈관종, 섬유모세포 종양도 원인이다<ref>Ogata S et al. Giant intracranial granular-cell tumor arising from the abducens. ''Pathol Int''. 2001 Jun;51(6):481-6. [https://pubmed.ncbi.nlm.nih.gov/11422812/ 연결]</ref>. | 신경외과 수술 시 직접 손상을 받거나, 폐쇄 머리 손상 같은 무딘 손상 시 간접적으로 다치기도 한다<ref>Keane JR. Bilateral 6th nerve palsy. Analysis of 125 cases. ''Arch Neurol''. 1976 Oct;33(10):681-3. [https://pubmed.ncbi.nlm.nih.gov/184766/ 연결]</ref>. 수막염, 두개저종양, 신경 자체의 신경집종, 해면혈관종, 섬유모세포 종양도 원인이다<ref>Ogata S et al. Giant intracranial granular-cell tumor arising from the abducens. ''Pathol Int''. 2001 Jun;51(6):481-6. [https://pubmed.ncbi.nlm.nih.gov/11422812/ 연결]</ref>. | ||
=== 추체 첨부, 경질막 바깥 부분의 병변 === | === 추체 첨부, 경질막 바깥 부분의 병변 === | ||
외향신경이 비스듬틀 위의 경막을 뚫고 나온 후 추체침대돌기 인대 (petroclinoid ligmanet) 아래를 통과할 때 유돌벌집 (mastoid air cell) 옆을 지난다. 심한 유돌염이 있는 환자에서 염증이 추체골 끝으로 번져서 경질막바깥공간의 척수막에 국소염증을 일으켜 추체첨부의 | 외향신경이 비스듬틀 위의 경막을 뚫고 나온 후 추체침대돌기 인대 (petroclinoid ligmanet) 아래를 통과할 때 유돌벌집 (mastoid air cell) 옆을 지난다. 심한 유돌염이 있는 환자에서 염증이 추체골 끝으로 번져서 경질막바깥공간의 척수막에 국소염증을 일으켜 추체첨부의 Gradenigo 증후군을 일으킨다.17 인접해 있는 외향신경에 염증이 생겨서 [[외향신경 마비]]가 생기며,Gasserian 신경절과 안면신경이 가까이 있어서 환자는 그쪽 얼굴과 눈 주위에 심한 통증을 느끼고 안면신경마비가 오기도 한다. 삼차신경의 천막가지의 자극으로 뒤통수 통증이 올 수 있는데,통증이 생긴 지 2~3일 후 외향신경마비가 나타나기도 한다. 눈부심과 눈물 흘림, 각막감각저하가 올 수 있다. 항생제가 발달한 요즈음에는 흔하지 않은 질환이다. | ||
염증 이외에 종양이나 내경동맥의 추체내 동맥류가 있을 때,가쪽굴 혈전증 (lateral sinus thrombosis) 이 아래추체 정맥굴 (inferior petrosal sinus) 로 번졌을 때 나타날 수 있다. | |||
접형구개나 익구개와 (sphenopalatine or pterygo-palatine fossa) 의 악성 종양(비인두암종)이 두개저의 구멍을 통해 경막 아래로 전이되면,외향신경마비로 인한 복시와 마비 쪽 눈물 분비 저하,삼차신경 상악분지분포의 신경병증, 안면 동통을 호소하며, 귀인두관이 막혀서 장액성 중이염이 동반되기도 한다. | |||
=== 해면정맥굴과 상안와열 병변 === | |||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다른 뇌신경병증과 함께 나타난다. 해면정맥굴 안의 혈관 병변인 동맥류나 [[경동맥 해면정맥동루|경동맥-해면굴 샛길]], 종양 등이 원인이며 양쪽 해면정맥굴 침범으로 양쪽 [[외향신경 마비]]가 올 수도 있다. 허혈 위험인자인 당뇨병이나 고혈압, [[거대세포 동맥염]], 염증, 편두통 등도 해면정맥굴 안에서 [[외향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으며 다른 신경도 같이 침범될 수 있다. 대개 동통을 동반한다. | |||
같은 쪽 외향신경 마비와 같은 쪽 [[호너 증후군]]이 함께 생길 수 있는데, 해면정맥굴 안에서 눈교감신경 섬유가 외향신경과 잠시 같이 주행하기 때문이다. 상안와열 병변일 때 주위의 다른 눈운동 신경을 동시에 침범하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앞쪽으로 배출되는 경막-경동맥-해면굴 샛길 (dural carotid cavernous sinus fistula) 은 결막 부종과 안구 돌출, 충혈을 일으킨다. 뒤쪽으로 배출되는 경동맥-해면굴 샛길도 [[외향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안와 징후가 없다<ref>Kosmorsky GS et al. CCF presenting as painful ophthalmoplegia wo external ocular signs. ''Journal of Neuro-Ophthalmology'' 1988;8:131-136.</ref>. | |||
=== 안와 병변 === | |||
안와내 주행 경로가 짧기 때문에 안와에서 [[외향신경]]이 단독으로 침범되는 일은 드물다. 치과 치료를 할 때 하치조동맥 (inf. alveolar a.) 에 상악동맥 (maxillary a.) 과 중간수막동맥을 거쳐 안동맥의 눈물샘 분지로 가거나 하안와열에 주사되면 [[외향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ref>Peñarrocha-Diago M et al. Ophthalmologic complications after intraoral local anesthesia w articain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0 Jul;90(1):21-4. [https://pubmed.ncbi.nlm.nih.gov/10884631/ 연결]</ref>. 안와에서 외전의 약화가 신경 병변인지 근육 병변인지 구별하기는 쉽지 않다. [[중증 근무력증]]도 외향신경 마비처럼 나타날 수 있어 감별이 필요하다. | |||
=== 불명확하거나 다양한 부위의 병변 === | |||
저절로 좋아지는 일시적 [[외향신경 마비]]는 드물지 않다. 대개 원래 가지고 있던 전신적 혈관 위험 요인인 당뇨병이나 고혈압, 최근의 바이러스 감염, 예방 접종, 독성 물질 (비소, 사염화탄소 (carbon tetrachloride, CCl<sub>4</sub>), [[클로로퀸]], ethylene glycol, isoniazid, nitrofuran 등) 이 원인이다. | |||
== 만성 단독 마비 == | == 만성 단독 마비 == | ||
다른 징후나 증상이 없는 단독 마비는 양성의 혈관이나 염증, 압박 병변이 원인이며 압박 병변이 아니라면 대개 3개월 이내에 좋아진다. 그러나 3개월 이내에 호전이 시작되지 않거나 경과 중 다른 신경학적 징후로 삼차신경 감각신경병증이나 안면신경 불완전 마비, 난청, [[호너 증후군]] 등이 발생하면 적절한 뇌영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외향신경 마비가 저절로 좋아지더라도 종양이 원인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 다른 징후나 증상이 없는 단독 마비는 양성의 혈관이나 염증, 압박 병변이 원인이며 압박 병변이 아니라면 대개 3개월 이내에 좋아진다. 그러나 3개월 이내에 호전이 시작되지 않거나 경과 중 다른 신경학적 징후로 삼차신경 감각신경병증이나 안면신경 불완전 마비, 난청, [[호너 증후군]] 등이 발생하면 적절한 뇌영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외향신경 마비가 저절로 좋아지더라도 종양이 원인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 ||
== | == 소아의 외향신경 마비 == | ||
외향신경 마비는 후두개와 (post. cranial fossa) 종양의 첫 임상 소견일 수 있고, 천막 위 (supra-tentorial) 종양으로 시신경 유두 부종을 동반한 외직근 마비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바이러스 질환이나 예방 접종도 원인이다. [[듀안 안구 후퇴 증후군]]이나 [[영아 내사시]]를 배제해야 한다. 어린이에서 시간이 지나면 호전되는 양성 외향신경 마비가 | 외향신경 마비는 후두개와 (post. cranial fossa) 종양의 첫 임상 소견일 수 있고, 천막 위 (supra-tentorial) 종양으로 시신경 유두 부종을 동반한 외직근 마비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바이러스 질환이나 예방 접종도 원인이다. [[듀안 안구 후퇴 증후군]]이나 [[영아 내사시]]를 배제해야 한다. 어린이에서 시간이 지나면 호전되는 양성 외향신경 마비가 재발하는 양상을 보일 수도 있다.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