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이 스텐트: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모양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외부사진
{{외부사진
|주소=https://www.glaukos.com/wp-content/uploads/2021/10/GLKOS-15694-iStent-callouts-LATAM.jpg
|1=https://www.glaukos.com/wp-content/uploads/2021/10/GLKOS-15694-iStent-callouts-LATAM.jpg
|제목=iStent®
|2=iStent®
|출처=glaukos.com
|3=glaukos.com
}}
}}


=== 2세대 (iStent Inject®) ===
=== 2세대 (iStent Inject®) ===
추가적으로 안압을 하강시키는 2세대 섬유주 미세 우회 스텐트이다. 1세대와 비슷하게, 생물학적으로 적합한 (biocompatible) 의료 등급의 티타늄으로 만들어졌다. 2개의 헤파린으로 덮힌 티타늄 스텐트가 들어 있는 주입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스텐트는 중앙 내강과 여러 방향으로 방수가 유출되도록 하는 네 개의 주변 배출구가 있다.
추가적으로 안압을 하강시키는 2세대 섬유주 미세 우회 스텐트이다. 1세대와 비슷하게, 생물학적으로 적합한 (biocompatible) 의료 등급의 티타늄으로 만들어졌다. 2개의 헤파린으로 덮힌 티타늄 스텐트가 들어 있는 주입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스텐트는 중앙 내강과 여러 방향으로 방수가 유출되도록 하는 네 개의 주변 배출구가 있다.
{{외부사진
|1=https://assets.bmctoday.net/glaucomatoday/images/article/2019-09/g-2-1.png
|2=iStent Inject®
}}


=== iStent inject® W ===
=== iStent inject® W ===
flange의 직경을 360㎛ 로 늘렸다.
flange의 직경을 360㎛ 로 늘렸다.
{{외부사진
{{외부사진
|주소=https://www.glaukos.com/wp-content/uploads/2021/08/istent-inject-w-1.png
|1=https://www.glaukos.com/wp-content/uploads/2021/10/stent-specs-1.png
|제목=iStent Inject®
|2=iStent Inject® W
|출처=glaukos.com
|3=glaukos.com
}}
}}


=== 3세대 (iStent Supra®) ===
=== 3세대 (iStent Supra®) ===
polyethersulfone 과 유색의 티타늄 슬리브로 이루어진 3세대 제품이다. 양쪽 끝이 열린 4mm 길이의 관이며 [[투명 각막 절개]]를 통해 내측 (''ab interno'') 으로 맥락막 상강에 삽입한다. 전방으로부터 맥락막 상강까지의 잠재적인 내강을 만들도록 디자인되었으며, 유지 고리 (retention) 가 있어 안정성을 제공한다.
polyethersulfone 과 유색의 티타늄 슬리브로 이루어진 3세대 제품이다. 양쪽 끝이 열린 4mm 길이의 관이며 [[투명 각막 절개]]를 통해 내측 (''ab interno'') 으로 맥락막 상강에 삽입한다. 전방으로부터 맥락막 상강까지의 잠재적인 내강을 만들도록 디자인되었으며, 유지 고리 (retention) 가 있어 안정성을 제공한다.
{{외부사진
|1=https://d20525yxyrfxle.cloudfront.net/site_assets/images_v2/img_9521472748228.jpg
}}


== 금기 ==
== 금기 ==
29번째 줄: 36번째 줄:
* [[상공막 정맥압]]을 올릴 수 있는 질환들 : 구후 종양, [[갑상샘 눈병증]], [[스터지-웨버 증후군]]
* [[상공막 정맥압]]을 올릴 수 있는 질환들 : 구후 종양, [[갑상샘 눈병증]], [[스터지-웨버 증후군]]
== 수술 방법<ref>박수환 외, 섬유주 미세우회 스텐트 (iStent) 삽입술의 단기간 치료 성적 및 수술 성공률 분석, ''JKOS'' 2020;61(4):385-393 [https://www.jkos.org/upload/pdf/jkos-2020-61-4-385.pdf 연결]</ref> ==
== 수술 방법<ref>박수환 외, 섬유주 미세우회 스텐트 (iStent) 삽입술의 단기간 치료 성적 및 수술 성공률 분석, ''JKOS'' 2020;61(4):385-393 [https://www.jkos.org/upload/pdf/jkos-2020-61-4-385.pdf 연결]</ref> ==
백내장 수술과 동시에 시행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관계로<ref>Gedde SJ et al; AAO Preferred Practice Pattern Glaucoma Panel. POAG Preferred Practice Pattern®. ''Ophthalmology''. 2021 Jan;128(1):P71-P150. [https://pubmed.ncbi.nlm.nih.gov/34933745/ 연결]</ref> 백내장 수술 시 만드는 절개창을 이용하여 내부 절개(ab interno) 방식으로 전방각에 접근한다.
# 전방각 시야를 방해할 수 있는 이상들 (PAS, 신생혈관 등) 을 확인하기 위해 수술 전 [[전방각경 검사]]를 필수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 전방각 시야를 방해할 수 있는 이상들 (PAS, 신생혈관 등) 을 확인하기 위해 수술 전 [[전방각경 검사]]를 필수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 바로 누운 자세에서 환자의 머리를 술자의 반대편으로 30도 정도 회전시키고 수술 현미경도 술자에서 먼쪽으로 약 30도 정도 회전시켜 약 60도의 입사각을 형성한다.
# 0.5% proparacaine  HCl (Alcaine) 으로 점안 마취를 하고 5% potadine 용액으로 결막을 소독한다.
# 0.5% proparacaine  HCl (Alcaine) 으로 점안 마취를 하고 5% potadine 용액으로 결막을 소독한다.
# 이측부에 투명 각막 절개를 하고 점탄 물질 (Healon GV) 을 전방에 채워 전방각을 깊게 하고 전방을 유지한다.
# 이측부에 투명 각막 절개를 하고 점탄 물질 (Healon GV) 을 전방에 채워 전방각을 깊게 하고 전방을 유지한다.
35번째 줄: 44번째 줄:
# 스텐트가 적절한 위치에 삽입된 것을 확인한 후 점탄 물질을 제거하고, 투명 각막 절개는 기질 수화 (stromal hydration) 를 시행한다.
# 스텐트가 적절한 위치에 삽입된 것을 확인한 후 점탄 물질을 제거하고, 투명 각막 절개는 기질 수화 (stromal hydration) 를 시행한다.
# 술 후 안약은 0.5% levofloxacin (Cravit®), 1% prednisolone acetate (Predforte®) 를 하루 4회 점안한다.
# 술 후 안약은 0.5% levofloxacin (Cravit®), 1% prednisolone acetate (Predforte®) 를 하루 4회 점안한다.
== 합병증 ==
술 후 일시적 안압 상승 (14,3%), 전방 출혈 (11.9%), 삽입물 위치 탈출 (2.4%) 등이며 대부분 증상이 경하고 짧은 시일내에 소실된다. 하지만 장기간 관찰하는 경우 홍채 주변부의 함입에 의한 삽입물 폐쇄가 발생할 수 있으며 Nd:YAG 레이저를 이용한 재관류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경과 관찰과 필요시 전방각경 검사가 요구된다. 백내장 수술과 동반한 병합 수술의 경우 백내장 단독 수술과 비교하여 굴절 수술 결과에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Rho S et al. Clinical Outcomes After 2nd-Generation Trabecular Microbypass Stents (iStent inject®) w PE in Korean Patients. ''Ophthalmol Ther''. 2021 Dec;10(4):1105-1117. [https://pubmed.ncbi.nlm.nih.gov/34699014/ 연결]</ref>.


== 단기 및 장기 결과 ==
== 단기 및 장기 결과 ==
41번째 줄: 52번째 줄:
백내장 수술과 병용한 섬유주 미세우회 스텐트 삽입술의 수술 결과 보고를 보면<ref>Fea AM. PE vs PE with micro-bypass stent implantation in POAG : randomized double-masked clinical trial. ''JCRS''. 2010 Mar;36(3):407-12. [https://pubmed.ncbi.nlm.nih.gov/20202537/ 연결]</ref>, iStent injection Study Group 연구에서, 수술 후 24개월 안압하강 결과에서, 5.4 mmHg 의 감소를 보인 백내장 수술 단독군에 비하여, 7.0 mmHg 의 감소를 보인 백내장 수술과 병용한 섬유주 미세우회 스텐트 삽입술 시행군이 유의하게 더 큰 안압하강을 보였다<ref>Samuelson TW et al.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Pivotal Trial of an Ab Interno Implanted Trabecular Micro-Bypass in POAG and Cataract : 2-Year Results. ''Ophthalmology''. 2019 Jun;126(6):811-821. [https://pubmed.ncbi.nlm.nih.gov/30880108/ 연결]</ref>.
백내장 수술과 병용한 섬유주 미세우회 스텐트 삽입술의 수술 결과 보고를 보면<ref>Fea AM. PE vs PE with micro-bypass stent implantation in POAG : randomized double-masked clinical trial. ''JCRS''. 2010 Mar;36(3):407-12. [https://pubmed.ncbi.nlm.nih.gov/20202537/ 연결]</ref>, iStent injection Study Group 연구에서, 수술 후 24개월 안압하강 결과에서, 5.4 mmHg 의 감소를 보인 백내장 수술 단독군에 비하여, 7.0 mmHg 의 감소를 보인 백내장 수술과 병용한 섬유주 미세우회 스텐트 삽입술 시행군이 유의하게 더 큰 안압하강을 보였다<ref>Samuelson TW et al.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Pivotal Trial of an Ab Interno Implanted Trabecular Micro-Bypass in POAG and Cataract : 2-Year Results. ''Ophthalmology''. 2019 Jun;126(6):811-821. [https://pubmed.ncbi.nlm.nih.gov/30880108/ 연결]</ref>.
{{참고}}
{{참고}}
{{MI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