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브롤루시주맙: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단점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브롤루시주맙 (brolucizumab, RTH258)'''{{망막}} (Beovu®, Novartis, Basel, Switzerland) 은 2019년 새롭게 FDA 승인된 치료제로, 단일 사슬 항체 분절 (single-chain Ab fragment) 로 모든 아형 VEGF-A에 결합하여 활성을 억제시킨다<ref>Sharma A et al. Brolucizimab-leading an era of structural revolution for long-term VEGF suppression. ''Eye (Lond)''. 2020 Apr;34(4):611-613. [https://pubmed.ncbi.nlm.nih.gov/31537892/ 연결]</ref>.
'''브롤루시주맙 (brolucizumab, RTH258)'''{{망막}} (Beovu®, Novartis Pharma AG, Basel, Switzerland) 은 2019년 새롭게 FDA 승인된 치료제로, 단일 사슬 항체 분절 (single-chain Ab fragment) 로 모든 아형 VEGF-A에 결합하여 활성을 억제시킨다<ref>Sharma A et al. Brolucizimab-leading an era of structural revolution for long-term VEGF suppression. ''Eye (Lond)''. 2020 Apr;34(4):611-613. [https://pubmed.ncbi.nlm.nih.gov/31537892/ 연결]</ref>.
== 장점 ==
== 장점 ==
단일 사슬 항체 분적은 항체의 가장 작은 기능적 구성 단위이기 때문에 분자량은 26kDa 로 48kDa 인 [[라니비주맙]]이나 115kDa 인 [[애플리버셉트]]보다 작아 망막 투과성이 증대되어 목표 조직에서의 약물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꼬 전신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ref>Holz FG et al. Single-Chain Ab Fragment VEGF Inhibitor RTH258 for wAMD : A RCT. ''Ophthalmology''. 2016 May;123(5):1080-9. [https://pubmed.ncbi.nlm.nih.gov/26906165/ 연결]</ref>.
단일 사슬 항체 분적은 항체의 가장 작은 기능적 구성 단위이기 때문에 분자량은 26kDa 로 48kDa 인 [[라니비주맙]]이나 115kDa 인 [[애플리버셉트]]보다 작아 0.05 mL 부피인 6 mg의 브롤루시주맙은 동일 부피의 [[애플리버셉트]] 2mg의 12배, [[라니비주맙]] 0.5mg의 22배에 해당하는 분자가 들어있다<ref>Tietz J et al. Affinity and potency of RTH258 (ESBA1008), a novel inhibitor of VEGF a for the treatment of retinal disorders. ''IOVS'' 2015;56:1501. [https://iovs.arvojournals.org/article.aspx?articleid=2331210 연결]</ref>.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망막 투과성이 증대되어 목표 조직에서의 약물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전신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ref>Holz FG et al. Single-Chain Ab Fragment VEGF Inhibitor RTH258 for wAMD : A RCT. ''Ophthalmology''. 2016 May;123(5):1080-9. [https://pubmed.ncbi.nlm.nih.gov/26906165/ 연결]</ref>.
== 단점 ==
다른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항-VEGF]] 약제들과 비교하면, 더 높은 안내 염증의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ref>Monés J et al. Risk of Inflammation, Retinal Vasculitis, and Retinal Occlusion-Related Events w Brolucizumab : Post Hoc Review of HAWK and HARRIER. ''Ophthalmology''. 2021 Jul;128(7):1050-1059. [https://pubmed.ncbi.nlm.nih.gov/33207259/ 연결]</ref><ref>Bulirsch LM et al. Short-term real-world outcomes following intravitreal brolucizumab for nAMD : SHIFT study. ''BJO''. 2022 Sep;106(9):1288-1294. [https://pubmed.ncbi.nlm.nih.gov/33846161/ 연결]</ref>. 심한 경우 폐쇄성 망막혈관염 (2.1%) 이 생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중등도 이상의 시력 감소 (0.74%) 또한 보고되었다<ref>Monés J et al. Risk of Inflammation, Retinal Vasculitis, and Retinal Occlusion-Related Events w Brolucizumab : Post Hoc Review of HAWK and HARRIER. ''Ophthalmology''. 2021 Jul;128(7):1050-1059. [https://pubmed.ncbi.nlm.nih.gov/33207259/ 연결]</ref>.


== 관련 연구 ==
== 관련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