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분류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결막염 (conjunctivitis) 은 결막의 염증으로서 세포 침윤과 삼출물, 혈관 팽창이 특징이며, 여러 자각 증상과 타각 증상을 유발한다. | '''결막염 (conjunctivitis)'''{{각막}} 은 결막의 염증으로서 세포 침윤과 삼출물, 혈관 팽창이 특징이며, 여러 자각 증상과 타각 증상을 유발한다. | ||
== 분류 == | == 분류 == | ||
* 원인에 따라 : [[세균 결막염|세균성]], [[바이러스 결막염|바이러스성]], 클라미디아성, [[알레르기 결막염|알레르기성]], 기타 | * 원인에 따라 : [[세균 결막염|세균성]], [[바이러스 결막염|바이러스성]], 클라미디아성, [[알레르기 결막염|알레르기성]], 기타 | ||
* 이환 기간에 따라 : 과급성, 급성 (3주 이내 지속), 만성 (3주 이상 지속) | * 이환 기간에 따라 : 과급성, 급성 (3주 이내 지속), 만성 (3주 이상 지속) | ||
* 형태학적 특성 : 유두 결막염, 여포 결막염, 막/ | * 형태학적 특성 : 유두 결막염, 여포 결막염, 막/가성막 결막염, 반흔 결막염, 육아종 결막염 | ||
== 증상 == | == 증상 == | ||
자각 증상으로 충혈, 통증, 이물감, 분비물 등이 나타난다. 삼출액은 다형핵 백혈구와 탈락한 상피 세포, 점액, 섬유소, 단백질, 세균으로 구성된다. 술전 세포에서 분비된 점액, 염증 세포와 상피 세포가 모이면서 점차 점액성을 띠며, 더 진행하면 화농성을 띠게 된다. | 자각 증상으로 충혈, 통증, 이물감, 분비물 등이 나타난다. 삼출액은 다형핵 백혈구와 탈락한 상피 세포, 점액, 섬유소, 단백질, 세균으로 구성된다. 술전 세포에서 분비된 점액, 염증 세포와 상피 세포가 모이면서 점차 점액성을 띠며, 더 진행하면 화농성을 띠게 된다. | ||
| 10번째 줄: | 11번째 줄: | ||
* [[결막 유두|유두]] (papilla) | * [[결막 유두|유두]] (papilla) | ||
* 결막 부종 | * 결막 부종 | ||
* [[결막 막|막]] (membrane), [[ | * [[결막 막|막]] (membrane), [[거짓막]] | ||
* 반흔성 변화 : 반흔은 결막 상피 손상으로는 생기지 않으며 결막 기질이 손상되었을 때 발생한다. 반흔이 생기면 결막 구석이 짧아지거나 상피하 섬유화가 발생한다. 이런 반흔이 생기면 흉터 눈꺼풀 속말림 (cicatricial entropion) 이나 [[속눈썹증]] (trichiasis)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막 결막염의 합병증으로 반흔성 변화가 결막의 어떤 부분에든 생길 수 있다. | * 반흔성 변화 : 반흔은 결막 상피 손상으로는 생기지 않으며 결막 기질이 손상되었을 때 발생한다. 반흔이 생기면 결막 구석이 짧아지거나 상피하 섬유화가 발생한다. 이런 반흔이 생기면 흉터 눈꺼풀 속말림 (cicatricial entropion) 이나 [[속눈썹증]] (trichiasis)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막 결막염의 합병증으로 반흔성 변화가 결막의 어떤 부분에든 생길 수 있다<ref>Chan LS et al. The 1st international consensus on mucous membrane pemphigoid : definition, diagnostic criteria, pathogenic factors, medical treatment, and prognostic indicators. ''Arch Dermatol''. 2002 Mar;138(3):370-9. [https://pubmed.ncbi.nlm.nih.gov/11902988/ 연결]</ref><ref>Lindquist TD et al. Conjunctivitis : an overview and classification. In: Mannis MJ, Holland EJ, eds. | ||
Cornea, 5th ed. Philadelphia: Elsevier, 2022; v.l. chap. 36.</ref>. | |||
* [[결막 육아종|육아종]] | * [[결막 육아종|육아종]] |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