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각막 짓무름: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시술, 수술)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3번째 줄: | 43번째 줄: | ||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AS-OCT]] 에서는 RCE의 급성기에 앞기질의 반사도 증가, 상피 부종, 상피의 불규칙한 파열 등의 소견을 보이며 만성기에는 앞기질의 반사도 증가와 함께 상피 바닥막의 소실, 상피내 바닥막, 상피내 봉입체 등의 소견을 관찰할 수 있다<ref>Diez-Feijóo E et al. OCT findings in RCE syndrome. Cornea. 2015 Mar;34(3):290-5. [https://pubmed.ncbi.nlm.nih.gov/25532997/ 연결]</ref>. AS-OCT의 각막 상피 지도에서는 상피 부착의 느슨함을 의미하는 두터워진 상피 부위를 따라 상피 두께가 의미 있게 변한 소견을 보일수 있다<ref>Oikonomakis K et al. Epithelial map-guided anterior stromal micro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RCE syndrome. ''Int Ophthalmol''. 2019 Apr;39(4):943-948. [https://pubmed.ncbi.nlm.nih.gov/29557084/ 연결]</ref>. |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AS-OCT]] 에서는 RCE의 급성기에 앞기질의 반사도 증가, 상피 부종, 상피의 불규칙한 파열 등의 소견을 보이며 만성기에는 앞기질의 반사도 증가와 함께 상피 바닥막의 소실, 상피내 바닥막, 상피내 봉입체 등의 소견을 관찰할 수 있다<ref>Diez-Feijóo E et al. OCT findings in RCE syndrome. Cornea. 2015 Mar;34(3):290-5. [https://pubmed.ncbi.nlm.nih.gov/25532997/ 연결]</ref>. AS-OCT의 각막 상피 지도에서는 상피 부착의 느슨함을 의미하는 두터워진 상피 부위를 따라 상피 두께가 의미 있게 변한 소견을 보일수 있다<ref>Oikonomakis K et al. Epithelial map-guided anterior stromal micro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RCE syndrome. ''Int Ophthalmol''. 2019 Apr;39(4):943-948. [https://pubmed.ncbi.nlm.nih.gov/29557084/ 연결]</ref>. | ||
=== 동일 초점 현미경 (CFM) === | === 동일 초점 현미경 (CFM) === | ||
외상과 관련한 RCE에서 보이는 CFM 소견으로는 각막 상피세포의 변형, 앞기질 내 활성화된 각막 기질세포, 염증을 동반한 중간 기질 내 각막 기질세포 등이 있다<ref>Chikama T et al. In vivo biopsy by laser CFM for evaluation of traumatic RCE. ''Mol Vis''. 2008;14:2333-9. Epub 2008 Dec 15. [https://pubmed.ncbi.nlm.nih.gov/19093010/ 연결]</ref>. Rosenberg 등은 RCE 혹은 EBMD 환자에서 보이는 CFM 소견에 대해 연구했고, 두 질환 모두 | 외상과 관련한 RCE에서 보이는 CFM 소견으로는 각막 상피세포의 변형, 앞기질 내 활성화된 각막 기질세포, 염증을 동반한 중간 기질 내 각막 기질세포 등이 있다<ref>Chikama T et al. In vivo biopsy by laser CFM for evaluation of traumatic RCE. ''Mol Vis''. 2008;14:2333-9. Epub 2008 Dec 15. [https://pubmed.ncbi.nlm.nih.gov/19093010/ 연결]</ref>. Rosenberg 등은 RCE 혹은 EBMD 환자에서 보이는 CFM 소견에 대해 연구했고, 두 질환 모두 상피 바닥막세포 내 침착물, 상피 바닥막세포 변화 (돔 모양 배열, 선상, 혹은 능선), 바닥밑 미세 주름과 선, 손상된 바닥밑 신경, 혹은 앞 각막 기질의 형태학적 변화 (활성화된 앞 각막 기질세포) 를 보였다<ref>Rosenberg ME et al. In vivo confocal microscopy of patients w RCE syndrome or EBMD. ''Ophthalmology''. 2000 Mar;107(3):565-73. [https://pubmed.ncbi.nlm.nih.gov/10711897/ 연결]</ref>. 짧아지거나 이상하게 생긴 신경섬유 다발, 긴 신경섬유 다발의 수적 감소, 희미하게 보이는 긴 신경섬유 다발, 랑게르한스 세포 증가는 바닥밑 신경총의 병적 변화를 시사하는 소견이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67번째 줄: | 67번째 줄: | ||
== 시술, 수술 == | == 시술, 수술 == | ||
다양한 비수술적 치료가 효과가 없는 경우에 새롭고 단단한 유착 복합체 형성을 돕기 위해 다양한 수술적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다<ref>McGrath LA et al. Techniques, indications and complications of corneal debridement. ''Surv Ophthalmol''. 2014 Jan-Feb;59(1):47-63. [https://pubmed.ncbi.nlm.nih.gov/24239444/ 연결]</ref>. 짓무름의 빈도와 심한 정도, [[각막 이상증]]을 포함한 각막질환 여부, 짓무름의 원인과 위치, 환자의 요구도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한다. | |||
=== 앞기질 미세 천자 === | |||
* 죽은 조직 제거술 : 세극등 현미경에서 점안 마취 하에 면봉이나 끝이 뭉툭한 기구로 쉽게 시행할 수 있다. 부착이 약하고 늘어진 상피를 제거하는 방법이지만, 보우만층이나 더 깊은 기질을 변형시키지 않아 부착력 자체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효과는 적다. | * 죽은 조직 제거술 : 세극등 현미경에서 점안 마취 하에 면봉이나 끝이 뭉툭한 기구로 쉽게 시행할 수 있다. 부착이 약하고 늘어진 상피를 제거하는 방법이지만, 보우만층이나 더 깊은 기질을 변형시키지 않아 부착력 자체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효과는 적다. | ||
* [[표층 각막 절제]] (superficial keratectomy) : 알코올 또는 다이아몬드 드릴 사용 | * [[표층 각막 절제]] (superficial keratectomy) : 알코올 또는 다이아몬드 드릴 사용 |
2024년 7월 8일 (월) 08:12 기준 최신판
반복 각막 짓무름 (recurrent corneal erosion; RCE)[1][2] 은 1872년 Hansen이 'intermittent neuralgic vascular keratitis' 라고 처음으로 기술하였다[3]. 각막 상피-기질 복합체의 부전으로 발생하는 반복되는 상피의 탈락을 특징으로 하며[4], 짓무름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이전의 각막 손상, 특정 각막 이상증, 혹은 전신 질환과 연관되어 발생하기도 한다[5]. 벗겨진 상피는 다시 재상피화되지만 탈락을 반복하며,보우만층을 보호하는 상피 없이 노출된 각막 기질에 반복적 손상이 발생해 혼탁이 진행되기도 한다[4].
정상 각막 유착
상피 바닥세포 (basal epithelial cells), 바닥막 (basement membrane), 보우만층 (Bowman layer) 의 정상적 유착은 부착반점 (desmosome), 반부착반점 (hemidesmosome), 고정 원섬유 (anchoring fibril), 바닥판 (basal lamina), 치밀판 (lamina densa), 라미닌 (laminin), 섬유 결합소 (fibronectin), 그리고 4, 7형 아교질을 포함한 구조적 유착 요소들의 조합으로 유지된다[6].
병인
이러한 유착 복합체 (attachment complex) 의 이상은 상피의 탈락을 야기한다. 표면 각막 외상은 바닥막의 손상을 야기해 정상적인 유착 복합체의 재형성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7][8]. 기능을 못하는 유착 복합체는 주기적으로 상피의 융기와 상피내 혹은 아래에 조직 파편 (debris) 의 침착을 야기한다[9]. 상피 바닥막 이상증은 비정상적인 바닥막과 결합조직 물질을 생성해 상피의 유착을 방해하기도 한다.
수면 중 눈꺼풀이 닫힌 상태에서는 눈물 증발이 줄어들기 때문에 눈물은 저장성으로 변하고 삼투압 차로 인한 물의 이동으로 상피 부종이 생겨 결과적으로 상피의 부착력이 약해진다.5 야간 수면 중에는 눈물 층이 얇아져 눈꺼풀이 각막에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아침 기상 시 발생하는 눈꺼풀의 움직임이나 급속 눈운동 수면 (REM sleep) 은 상피세포의 탈락을 유발할 수 있으며[10], 이른 아침 REM 수면 중 일어나는 홱보기 (saccades) 는 각막 이상증이나 미세 외상이 있는 경우 상피 손상을 악화시킨다고 생각된다[11]. 각막 노출 혹은 야간 수면 중 눈이 떠지는 경우 (nocturnal lagophthalmos) 역시 RCE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12].
기질 금속단백 분해효소 (metalloproteinase; MMP) 같은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들은 상피 유착 복합체를 분해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할 수 있다. MMP-2와 MMP-9으로 구성된 젤라틴 분해효소 (gelatinase) 는 바닥막의 주요 구성 요소인 4, 7형 아교질과 라미닌을 분해하며, 외상성 각막 찰과상과 RCE를 경험한 환자의 이환된 눈과 반대안에서 채취한 눈물 중에 포함된 MMP-2와 MMP-9의 농도가 대조안에 비해 높아져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13]. MMP의 증가는 바닥막을 붕괴하며 상피 바닥막의 부착을 방해할 수 있다. Hope 등[14]은 치료가 어려운 RCE 환자 전원에게 마이봄샘 기능장애가 있으며 마이봄샘의 위축과 소실, 눈물막 파괴 시간 감소, 눈물층 내 조직 파편들을 관찰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역학
30~80세의 성인에게 발생하며, 특히 30~40세 사이에서 가장 흔하다.
분류
1944년 Chandler[15]는 RCE를 다음과 같이 구분해 기술하였다.
- macroform : 상당히 넓은 영역에서 상피 손실이 발생해 증상이 심하고 치유에 오랜 시간이 걸리며 재발 간격이 길다.
- microform : 상피 손상이 적어 검사에서 놓치기 쉽고 증상이 경미하나 재발 간격이 짧아 더 자주 발생한다.
원인
- 외상에 의한 각막 찰과상 (45~64%) : 외상에 의해 바닥막이 손상되면 부착 복합체가 정상적으로 재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16], 때에 따라서는 외상 후 수년이 지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 수술 : 굴절 교정 수술, 백내장 수술, 각막 이식
- 각막 이상증 : 상피 바닥막 이상증 (19~29%), 격자 각막 이상증, 라이스-뷔클러 각막 이상증, 반점 각막 이상증, 과립 각막 이상증, 연소 각막상피 이상증, 수포 각막병증
- 당뇨
임상 양상
환자는 보통 경미한 이물감 혹은 자극 증상에서부터 매우 심한 예리한 작열감에 이르는 통증을 호소한다. 많은 경우에 아침 기상 시 혹은 수면 중에 증상이 발생하며 '찢어지는' 혹은 '눈물 나는' 감각을 먼저 느낀다[17]. 증상은 삼차신경의 각막 상피밑 혹은 심부 기질 가지를 자극하는 각막 기질 손상에서 기인한다[4]. 눈물 흘림, 충혈, 눈부심, 흐려 보임, 눈꺼풀 부종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짓무름은 단편적으로 반복해 발생하며 각 에피소드 사이에는 증상이 전혀 없거나 아주 경미한 이물감 혹은 어렴풋이 이환되었던 눈을 기억하는 정도의 휴지기가 있다[17].
질환의 발생 패턴, 강도, 이환 기간이 매우 다양해 질환 발생 후 안과에 내원하기도 전 몇 시간 동안 재상피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상피 결손이 완전히 치유되지 않은 상태에서 눈깜박임이 각막 표면의 느슨한 상피를 자극해 환자가 지속적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17]. 검사에서 상피 결손이 없어도 환자는 통증을 느낄 수 있고, 느슨해진 상피가 통증을 유발하지만 검사에서 놓치는 경우도 있다.
제대로 치료받지 않으면 지속되는 상피 결손으로 인한 안구 표면 방어막 소실 때문에 세균 각막염 같은 후유증이 발생하기도 한다[18]. 장기간 동안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반복되는 짓무름으로 인해 기질이 손상되고 섬유화와 함께 시력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시력 감소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언제 증상이 나타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환자에게 불안감이나 우울증을 야기하기도 한다. 특히 사회 활동이 왕성한 환자가 수 시간에서 수일 동안 통증과 함께 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은 매우 큰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재발에 대한 두려움으로 불면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일부 환자는 아침에 잠에서 깨면서 눈을 먼저 뜨지 않고 눈을 감은 채로 눈을 먼저 움직이는 등 질환에 적응하기도 한다.
진단
질병이 발생한 눈의 외상 병력, 잠에서 깼을 때 발생하는 통증, 특징적인 상피 병변이 있을 경우 비교적 쉽게 RCE로 진단할 수 있다. 흔히 상피 결손 혹은 느슨한 상피가 관찰되나 융기된 불규칙한 상피, 미세 낭포 (microcysts), 상피밑 혼탁 혹은 각막 기질침윤/혼탁이 관찰되기도 한다[19]. 활성 혹은 치유된 각막 상피는 회색빛을 띤 울퉁불퉁하고 부종을 동반한 손상된 모습으로 보일 수 있다.4 특징적 소견이 확연하지 않으면 진단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더욱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임상의사는 적절한 치료 방법을 권고하기 위해 앞기질 미세 천자 (ASP) 가 필요한 바닥막의 소실 (외상성 병인) 과, 표층 각막 절제술/치료 레이저 각막 절제술이 필요한 바다막과 상피 사이의 이상 물질 (이상증과 변성) 이 쌓이는 경우의 두 부류로 구분해 진단해야 한다. 또한 각막 찰과상과 같은 각막 손상, 경미한 증상의 반복, 각막 이상증, 최근 시행된 눈 시술, 물집 표피 박리증 (epidermolysis bullosa) 같은 질환 등에 대해 철저한 병력 청취를 해야 한다.
두 눈에 대한 면밀한 세극등 검사가 필요하며 불빛을 넓게 비스듬히 비추거나 역반사 조명을 사용하면 미세한 각막상피 변화를 관찰하는 데 도움이 된다. 대부분의 급성 RCE는 원인과 관계 없이 각막 하반부에 발생하며[20], 허드슨-스탤리선 (Hudson-Stahli line) 과 인접해 재발하는 경향이 있다[21]. 형광 염색 하에서는 EBMD이나 이전 짓무름으로 인해 발생한 불규칙한 상피를 시사하는 음성 염색을 관찰할 수도 있다. 또한 음성염색은 느슨한 상피를 도드라지게 할 수 있다. 상피의 미세낭포는 외상이나 EBMD과 연관된 RCE 모두에서 관찰될 수 있으나 EBMD이 있는 경우 지문 모양, 그물 모양, 낭포 등 추가 소견을 흔히 동반한다[22]. 눈꺼풀 위를 손가락으로 가볍게 눌러 부착이 약한 상피로 인해 생기는 주름을 확인할 수도 있고, 셀룰로오스 스펀지 끝으로 각막을 부드럽게 건드렸을 때 작은 압력으로도 미세한 상피 주름이 생기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느슨한 각막 상피를 확인할 수 있다[23]. 재상피화 직후에는 이환된 부위 간질의 갈색 과립 (browny edema) 을 관찰할 수도 있다. 이환된 눈에 특별한 소견이 보이지 않는 경우 반대눈에서 각막 이상증에 대한 소견을 관찰할 수도 있다. 치료가 어려운 RCE 환자에서 마이봄샘 기능장애가 동반된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소견이 있는지 반드시 평가해야 한다.15 미세낭포부종, 물집, 잘쯔만 결절 (Salzmann nodule), 기타 각막 침착물 등은 이차성 RCE를 시사하는 소견들이다.
면밀한 검사로도 진단이 불확실한 경우 증상이 생기면 바로 다시 내원해 검진 받도록 환자를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징적 소견이 관찰되지 않더라도 자주 재발하는 병력이 확실하다면 증상 소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진단 목적으로 안대 콘택트렌즈를 처방할 수도 있다.
보조 검사
각막 형태 검사
각막 형태 검사 (topography) 는 각막 상피 두께 변화 때문에 생기는 불규칙 난시 부위를 관찰하는 데 도움이 되며, 플라시도 마이어 (Placido mire) 가 왜곡된 부위는 좀 더 면밀하게 검사해야 한다. MaGhee 등[24]은 플라시도 기반 비디오 각막계에서 1.0~1.5mm 직경의 작은 부분에 2D 이상 각막 굴절력이 감소한 부분을 'corneal topographic lagoons' 으로 기술했으며, 상피에 발생한 최근 외상이나 외상 후 RCE에서 흔히 보이는 소견이라고 보고하였다. 'Lagoons' 는 미세 낭포가있는 부위에서 관찰되기도 하나, 외관상 정상으로 보이는 RCE 각막에서 확인되기도 한다. RCE를 가진 눈에서는 surface asymmetry index나 surface regularity index가 현저하게 증가되기도 한다[25].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 (AS-OCT)
AS-OCT 에서는 RCE의 급성기에 앞기질의 반사도 증가, 상피 부종, 상피의 불규칙한 파열 등의 소견을 보이며 만성기에는 앞기질의 반사도 증가와 함께 상피 바닥막의 소실, 상피내 바닥막, 상피내 봉입체 등의 소견을 관찰할 수 있다[26]. AS-OCT의 각막 상피 지도에서는 상피 부착의 느슨함을 의미하는 두터워진 상피 부위를 따라 상피 두께가 의미 있게 변한 소견을 보일수 있다[27].
동일 초점 현미경 (CFM)
외상과 관련한 RCE에서 보이는 CFM 소견으로는 각막 상피세포의 변형, 앞기질 내 활성화된 각막 기질세포, 염증을 동반한 중간 기질 내 각막 기질세포 등이 있다[28]. Rosenberg 등은 RCE 혹은 EBMD 환자에서 보이는 CFM 소견에 대해 연구했고, 두 질환 모두 상피 바닥막세포 내 침착물, 상피 바닥막세포 변화 (돔 모양 배열, 선상, 혹은 능선), 바닥밑 미세 주름과 선, 손상된 바닥밑 신경, 혹은 앞 각막 기질의 형태학적 변화 (활성화된 앞 각막 기질세포) 를 보였다[29]. 짧아지거나 이상하게 생긴 신경섬유 다발, 긴 신경섬유 다발의 수적 감소, 희미하게 보이는 긴 신경섬유 다발, 랑게르한스 세포 증가는 바닥밑 신경총의 병적 변화를 시사하는 소견이다.
비수술적 치료
- 고삼투압 연고 (장기간 밤에 투여) : 수면 중 눈꺼풀이 닫힌 상태에서는 눈물 증발이 줄어듦에 따라 눈물이 저장성으로 변하고 삼투압 차에 의한 물의 이동으로 각막 상피에 부종이 생겨 결과적으로 각막 상피의 부착력이 떨어진다. 안연고를 구성하는 용제는 취침 시 발생하는 급속 안구 운동 중이나 아침에 눈을 뜰 때 윤활제로 작용하여 진무름 발생을 억제한다.
추가로 낮동안 고삼투 점안약을 사용해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정상적인 부착 복합체가 형성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마지막 진무름이 발생한 후로 적어도 6~12개월 정도는 사용해야 한다. 증상이 좋아져 환자가 자의로 약물 투여를 조기 중단하면 재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재발하면 부착 복합체의 재형성이 보다 느려질 수 있으므로 꾸준한 약물 투여의 중요성에 대해 환자를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삼투압 제제가 아닌 일반 안연고를 사용하는 경우 효과가 적다.
제품명 | 성분, 함량 | 용량 | 제조사 | 약가 |
---|---|---|---|---|
뮤로 128 점안액 2% | NaCl 20mg | 1ml | 바슈 헬스 코리아 | 130원/1ml |
뮤로 128 점안액 5% | NaCl 50mg | 15ml | 바슈 헬스 코리아 | 2,745원/15ml |
- 콜로이드 삼투 용액 : 효과가 입증된 바 있으며 현재 임상 시험중이다.
- 자가 혈청 안약, 성장 인자 투여 : 오래된 당뇨병 환자나 신경영양 각막염 환자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
- 스테로이드 점안약, doxycycline 경구 투여 : MMP-9을 억제하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도 있으나,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이 많으므로 투여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치료 콘택트렌즈
급성기에 효과적이지만 장기 착용 시 세균 각막염과 저산소증의 위험도가 있고 치료콘택트렌즈 사용만으로 재발을 막을 수 없다고 알려져 있었으나[30], Fraunfelder and Cabezas[31]가 3개월간의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부작용 없이 안전하고 성공적인 치료를 보고하였다.
SCL은 물리적으로 눈꺼풀의 운동으로부터 재형성된 약한 각막 상피를 보호하여 재상피화와 상처 치유를 돕는다. 완전한 상피화가 일어나게 된 경우 하이드로겔 렌즈는 각막 상피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완전히 재형성되는데 몇 개월이 소요되는 반결합체의 형성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완전한 재상피화를 위해서는 오랜 기간 동안 치료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것이 좋으며, 대부분의 상피 벗겨짐이 밤이나 아침 기상 시 막 눈을 뜰 때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면 지속적인 렌즈의 착용이 권유된다.
이 질환에서 일회용 렌즈는 기존 렌즈에 비해 편하고 가격 대비 효율적이다. Dk/t가 높고 두께가 얇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사용하면 치료 성공율이 높고 각막 부종도 적다. 잘 낫지 않는 RCE나 수술 후 생긴 각막 상피병증을 Lotrafilcon A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로 치료에 성공한 15예가 발표된 적도 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자면 2세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눈에 더 편안감을 준다. 종종 기계적인 창상 절제 및 압박 안대의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수 일의 치료 과정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통증 및 드레싱으로 인한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
시술, 수술
다양한 비수술적 치료가 효과가 없는 경우에 새롭고 단단한 유착 복합체 형성을 돕기 위해 다양한 수술적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다[32]. 짓무름의 빈도와 심한 정도, 각막 이상증을 포함한 각막질환 여부, 짓무름의 원인과 위치, 환자의 요구도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한다.
앞기질 미세 천자
- 죽은 조직 제거술 : 세극등 현미경에서 점안 마취 하에 면봉이나 끝이 뭉툭한 기구로 쉽게 시행할 수 있다. 부착이 약하고 늘어진 상피를 제거하는 방법이지만, 보우만층이나 더 깊은 기질을 변형시키지 않아 부착력 자체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효과는 적다.
- 표층 각막 절제 (superficial keratectomy) : 알코올 또는 다이아몬드 드릴 사용
- 전부 기질 천자 (anterior stromal puncture, ASP) : 일회용 주사 바늘이나 Nd:YAG 레이저를 이용
- YAG 레이저 치료 : Geggel은 상피를 제거하고 노출된 기질에 레이저를 조사해 광파괴를 가하는 방법을 최초로 제시했고, Katz 등은 상피 제거를 시행하지 않는 변형된 시술을 제시하였으며, Nd:YAG 레이저 광유발 유착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아직 대단위의 장기간 연구 결과가 보고되지 않았고 전부 기질 천자에 비해 비용이 높지만,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진무름 환자에서 효용 가치가 있는 방법이다.
- 알코올 각막 상피 박리 (ADCE)
- 엑시머 치료 레이저 각막 절제술 : ArFl 엑시머 레이저 역시 사용되어 왔다.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하여 보우만층과 기질의 앞부분을 변형시켜 각막 상피가 유착될 수 있는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시술이다. 하지만 치료비가 매우 비싸고 시술자의 경험이 필요하며 장기적인 임상 결과가 없다. 또한 시술자, 환자의 특성, 레이저 기술에 따라 수술 방법과 성공률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난다. 보통, 각막 상피를 제거한 후 보우만층에 엑시머 레이저를 가하게 된다. 수술 후 원시 쪽으로 굴절력이 변하기 때문에, 근시가 있으면서 심한 바닥막 이상증으로 인해 진무름이 발생한 환자에서는 치료 각막 절제와 굴절교정 레이저 각막절제술(PRK)을 같이 시행한다. 수술 후 안대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와 항생제 안약을 투여한다.
참고
- ↑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
- ↑ Miller DD et al. Recurrent corneal erosion: a comprehensive review. Clin Ophthalmol. 2019;13:325-335.
- ↑ Hansen E. Om den intermitterende keratitis visicularis neuralgica af traumatisk opindelse. Hospitals Tidend 1872;51:201-3.
- ↑ 4.0 4.1 4.2 Omari AA et al. RCE in Corneal Dystrophies : a Review of the Pathogenesis, Differential Diagnosis, and Therapy. Klin Monbl Augenheilkd. 2018 Jun;235(6):689-696. English. 연결
- ↑ Das S et al. Recurrent corneal erosion syndrome. Surv Ophthalmol. 2008 Jan-Feb;53(1):3-15. 연결
- ↑ Gipson IK. Adhesive mechanisms of the corneal epithelium. Acta Ophthalmol Suppl (1985). 1992;(202):13-7. 연결
- ↑ Khodadoust AA et al. Adhesion of regenerating corneal epithelium. The role of basement membrane. AJO. 1968 Mar;65(3):339-48. 연결
- ↑ Rodrigues MM et al. Disorders of the corneal epithelium.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dot, geographic, and fingerprint patterns. Arch Ophthalmol. 1974 Dec;92(6):475-82. 연결
- ↑ Ramamurthi S et al. Pathogenesis,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of RCE. Eye (Lond). 2006 Jun;20(6):635-44. 연결
- ↑ Bernauer W et al. PTK in RCE refractory to other forms of treatment. Eye (Lond). 1996;10 ( Pt 5):561-4. 연결
- ↑ Hoffmann F et al. REM-Schlaf und rezidivierende Erosio cornae - eine Hypothese [REM sleep and recurrent corneal erosion - a hypothesis]. Klin Monbl Augenheilkd. 2003 Jan-Feb;220(1-2):51-3. German. 연결
- ↑ Sturrock GD. Nocturnal lagophthalmos and recurrent erosion. BJO. 1976 Feb;60(2):97-103. 연결
- ↑ Sakimoto T et al. Upregulation of MMP in tear fluid of patients w RCE. Jpn J Ophthalmol. 2007 Sep-Oct;51(5):343-346. 연결
- ↑ Hope-Ross MW et al. RCE : clinical features. Eye (Lond). 1994;8 (Pt 4):373-7. 연결
- ↑ Chandler PA. Recurrent Erosion of the Cornea. Trans Am Ophthalmol Soc. 1944;42:355-71. 연결
- ↑ Goldman JN et al. The BM of the human cornea in RCE syndrome.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69 May-Jun;73(3):471-81. 연결
- ↑ 17.0 17.1 17.2 Rubinfeld RS. Corneal micropuncture in recurrent erosion syndromes. In: Krachmer JH et al. Cornea: fundamentals, diagnosis, and management. 3rd ed: Mosby; 2011, p.1081-91
- ↑ Pham-Vang S et al. RCE causing bacterial keratitis. Optometry. 2008 Sep;79(9):505-11. 연결
- ↑ Reidy JJ et al. Recurrent erosions of the cornea : epidemiology and treatment. Cornea. 2000 Nov;19(6):767-71. 연결
- ↑ Hykin PG et al. The natural history and management of RCE : a prospective randomised trial. Eye (Lond). 1994;8 (Pt 1):35-40. 연결
- ↑ Williams R et al.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recurrent erosion. BJO. 1985 Jun;69(6):435-7. 연결
- ↑ Brown N et al. Recurrent erosion of the cornea. BJO. 1976 Feb;60(2):84-96. 연결
- ↑ Cavanaugh TB et al. PTK for recurrent erosion syndrome in anterior basement membrane dystrophy. Ophthalmology. 1999 May;106(5):971-6. 연결
- ↑ McGhee CN et al. Corneal topographic lagoons : a potential new marker for post-traumatic RCE syndrome. Aust N Z J Ophthalmol. 1996 Feb;24(1):27-31. 연결
- ↑ Wilson SE et al. Quantitative descriptors of corneal topography. A clinical study. Arch Ophthalmol. 1991 Mar;109(3):349-53. 연결
- ↑ Diez-Feijóo E et al. OCT findings in RCE syndrome. Cornea. 2015 Mar;34(3):290-5. 연결
- ↑ Oikonomakis K et al. Epithelial map-guided anterior stromal micro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RCE syndrome. Int Ophthalmol. 2019 Apr;39(4):943-948. 연결
- ↑ Chikama T et al. In vivo biopsy by laser CFM for evaluation of traumatic RCE. Mol Vis. 2008;14:2333-9. Epub 2008 Dec 15. 연결
- ↑ Rosenberg ME et al. In vivo confocal microscopy of patients w RCE syndrome or EBMD. Ophthalmology. 2000 Mar;107(3):565-73. 연결
- ↑ Williams R et al.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RCE. BJO. 1985 Jun;69(6):435-7. 연결
- ↑ Fraunfelder FW et al. Treatment of RCE by EW BCL. Cornea. 2011 Feb;30(2):164-6. 연결
- ↑ McGrath LA et al. Techniques, indications and complications of corneal debridement. Surv Ophthalmol. 2014 Jan-Feb;59(1):47-63.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