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갑상샘 눈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병인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 병인 ==
== 병인 ==
그레이브스씨병의 주 기전은 자가 면역으로 알려져 있어, 갑상샘 자극 호르몬 수용체 (thyroid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TSHR) 에 대한 자가 항체가 생성되어 수용체에 결합하여 갑상샘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갑상샘 항진을 유발하는 것이 주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TAO의 발생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갑상샘 기능 항진에 따르는 이차적인 변화라기보다는 자가 면역에 의한 안와 조직의 질환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레이브스씨병의 주 기전은 자가 면역으로 알려져 있어, 갑상샘 자극 호르몬 수용체 (thyroid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TSHR) 에 대한 자가 항체가 생성되어 수용체에 결합하여 갑상샘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갑상샘 항진을 유발하는 것이 주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TAO의 발생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갑상샘 기능 항진에 따르는 이차적인 변화라기보다는 자가 면역에 의한 안와 조직의 질환으로 이해되고 있다.


TAO 환자의 특징적인 조직병리 소견은 림프구,형질세포,대식세포, 비만세포 등의 염증 세포가 외안근과 안와조직에 침윤되어 있는 것과,친수성의 glycosaminoglycan인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이 안와 지방 조직 내와 외안근 근섬유 사이에 축적되어 있는 것이다. 친수성의 히알루론산은 물을 끌어들여 외안근과 안와 조직의 부종을 유발하게 되고, 지방 조직 자체의 비대가 관찰되며, 병의 후기에는 콜라겐이 침착된 외안근의 섬유화가 관찰된다.
TAO 환자의 특징적인 조직병리 소견은 림프구, 형질세포, 대식세포, 비만세포 등의 염증 세포가 외안근과 안와조직에 침윤되어 있는 것과, 친수성의 glycosaminoglycan인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이 안와 지방 조직 내와 외안근 근섬유 사이에 축적되어 있는 것이다. 친수성의 히알루론산은 물을 끌어들여 외안근과 안와 조직의 부종을 유발하게 되고, 지방 조직 자체의 비대가 관찰되며, 병의 후기에는 콜라겐이 침착된 외안근의 섬유화가 관찰된다.


심한 갑상샘 눈병증 환자에서 TSHR 항체의 수치가 높으며 이는 TAO의 임상 정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면역 기전 중 체액 면역 기전이 관련됨을 뒷받침한다. 그리고, TAO 환자의 조직병리에서 외안근과 안와 조직에 염증세포들이 침윤되어 있는 소견은 세포 면역 기전이 관련됨을 시사하는데,갑상샘 항원에 대한 순환성 T림프구가 안와 조직에 침윤되면, 대식세포나 다른 항원 전달 세포 (Antigen presenting cell) 가 항체 단백의 항원 펩티드를 T림프구로 전달하여 활성화시켜 IL-1β (interleukin-1β), 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등의 사이토카인을 분비하게 한다.
심한 갑상샘 눈병증 환자에서 TSHR 항체의 수치가 높으며 이는 TAO의 임상 정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면역 기전 중 체액 면역 기전이 관련됨을 뒷받침한다. 그리고, TAO 환자의 조직병리에서 외안근과 안와 조직에 염증세포들이 침윤되어 있는 소견은 세포 면역 기전이 관련됨을 시사하는데,갑상샘 항원에 대한 순환성 T림프구가 안와 조직에 침윤되면, 대식세포나 다른 항원 전달 세포 (Antigen presenting cell) 가 항체 단백의 항원 펩티드를 T림프구로 전달하여 활성화시켜 IL-1β (interleukin-1β), 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등의 사이토카인을 분비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안와 결합 조직, 특히 안와 지방 조직 내와 외안근 주변에 분포하는 안와 섬유모세포가 주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안와 섬유모세포는 그레이브스씨 병의 공통 항원인 TSHR를 발현하여 이에 대한 자가 항체의 공격 목표가 될 수 있다. TAO 환자에서는 이 수용체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으며,발현 정도가 몸의 다른 부분에 위치하는 섬유모세포에 비하여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최근 연구들을 통해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수용체 (insulin-like growth factor 1 receptor, IGF-1R) 가 TAO의 발병 기전에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레이브스씨병 환자의 혈액 내에서 IGF-1R에 대한 자가 항체가 검출되며, TAO 환자의 안와 섬유모세포에서 IGF-1R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고, IGF-1R는 TSHR와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이 보고되어,결과적으로 두 수용체에 대한 자가 항체로부터의 활성이 병리 기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안와 결합 조직, 특히 안와 지방 조직 내와 외안근 주변에 분포하는 안와 섬유모세포가 주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안와 섬유모세포는 그레이브스씨 병의 공통 항원인 TSHR를 발현하여 이에 대한 자가 항체의 공격 목표가 될 수 있다. TAO 환자에서는 이 수용체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으며,발현 정도가 몸의 다른 부분에 위치하는 섬유모세포에 비하여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최근 연구들을 통해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수용체 (insulin-like growth factor 1 receptor, IGF-1R) 가 TAO의 발병 기전에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레이브스씨병 환자의 혈액 내에서 IGF-1R에 대한 자가 항체가 검출되며, TAO 환자의 안와 섬유모세포에서 IGF-1R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고, IGF-1R는 TSHR와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이 보고되어, 결과적으로 두 수용체에 대한 자가 항체로부터의 활성이 병리 기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또한, 안와 섬유모세포는 CD40을 발현하여 T림프구와 비만세포의 CD154의 리간드 (ligand) 가 되어 세포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며,IL-1β와 IL-16 등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과 PGHS-2 (prostaglandin endoperoxide H synthase-2) 및 PGE2 (prostaglandin E2) 를 생성한다. 그리고, IL-1β에 의해 안와 섬유모세포가 다량의 히알루론산을 생성할 수 있음으로부터, TAO 환자에서 안와 조직 부종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히알루론산의 근원이 안와 섬유모세포로 생각되고 있다.
또한, 안와 섬유모세포는 CD40을 발현하여 T림프구와 비만세포의 CD154의 리간드 (ligand) 가 되어 세포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며,IL-1β와 IL-16 등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과 PGHS-2 (prostaglandin endoperoxide H synthase-2) 및 PGE2 (prostaglandin E2) 를 생성한다. 그리고, IL-1β에 의해 안와 섬유모세포가 다량의 히알루론산을 생성할 수 있음으로부터, TAO 환자에서 안와 조직 부종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히알루론산의 근원이 안와 섬유모세포로 생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