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주 절제술: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섬유주 절제술 (trabeculectomy)'''{{녹내장}} | '''섬유주 절제술 (trabeculectomy, TLE)'''{{녹내장}} 은 방수가 전방에서 섬유주와 쉴렘관을 통과하지 않고 공막 절제부를 통해서 결막하 공간으로 바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술로 1968년에 Cairns<ref>Cairns JE. Trabeculectomy. Preliminary report of a new method. ''AJO''. 1968 Oct;66(4):673-9. [https://pubmed.ncbi.nlm.nih.gov/4891876/ 연결]</ref>가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 ||
== 기전 == | == 기전 == | ||
초기에는 방수가 쉴렘관의 잘려진 양쪽 끝으로 직접 통하게 되어 안압이 내려가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Grant가 쉴렘관에서 방수가 윤부를 따라서 흐르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으므로 방수가 잘려진 쉴렘관끝을 통하여 유출된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수술 후 쉴렘관의 끝은 섬유조직으로 폐쇄되므로, 안압 하강의 기전은 방수가 누공을 통하여 여과되는 것이 주된 작용이다. | 초기에는 방수가 쉴렘관의 잘려진 양쪽 끝으로 직접 통하게 되어 안압이 내려가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Grant가 쉴렘관에서 방수가 윤부를 따라서 흐르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으므로 방수가 잘려진 쉴렘관끝을 통하여 유출된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수술 후 쉴렘관의 끝은 섬유조직으로 폐쇄되므로, 안압 하강의 기전은 방수가 누공을 통하여 여과되는 것이 주된 작용이다. | ||
== 적응증 == | == 적응증 == | ||
과거에는 최대 약물 요법이나 레이저 치료가 시신경 손상과 시야 결손을 방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시행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입증되고 있는 여러 사실들은 이 개념의 | 과거에는 최대 약물 요법이나 레이저 치료가 시신경 손상과 시야 결손을 방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시행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입증되고 있는 여러 사실들은 이 개념의 재검토를 요하고 있다. 강력한 축동제와 방수 생산 억제제는 섬유주에 진행적이고 비가역적인 손상을 초래한다고 알려졌으며, 장기간 녹내장 점안제의 투여는 결막에 변화를 일으켜 여과 수술의 성공율을 떨어뜨리고 아울러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는 심각한 부작용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레이저 치료와 여과 수술은 약제를 많이 사용하기 전에 시행하는 경향이며 비교적 녹내장의 진행 초기에 시행하고 있다. | ||
더 나아가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이 녹내장에 대한 초기 치료로서도 안전하고 효과적 이라는 연구 결과는 여과 수술도 일차적 치료로서 가능할 것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아직은 여과 수술의 적응증은 녹내장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span style='color:blue;'>약물과 레이저 치료가 실패하는 경우</span>이다. | |||
== 수술 방법 == | == 수술 방법 == | ||
[[섬유주 절제술/방법]] 참고 | |||
== 결막편의 종류 == | == 결막편의 종류 == | ||
=== 원개 기저 (fornix-based) === | |||
* 장점 : 시술 용이, 좋은 수술 시야 확보, 수술 해부의 표지점 관찰 용이, 방수가 뒤쪽으로 여과되는 것을 제한하는 뒤쪽 결막 반흔을 방지 | |||
* 단점 : 테논낭 제거가 힘듦, 수술 후 초기에 윤부에서 자연적인 방수 누출, 수술 후 초기에 5-FU 결막하 주사, 지압, 그리고 공막편 봉합사의 아르곤 레이저 용해 시 주의 필요, 수술 후 말기의 안압은 윤부 기저 결막편보다 높음 | |||
=== 윤부 기저 (limbus-based) === | |||
* 장점 : 테논낭 제거 용이, 수술 후 초기 공막편 봉합사의 아르곤 레이저 용해, 5-FU 결막하 주사 및 지압을 더욱 안전하게 시행, 수술 후 말기 안압이 원개 기저 결막편보다 더욱 낮음 | |||
* 단점 : 윤부쪽으로의 결막편 절개가 힘듦, 좋은 수술 시야 확보가 어려움, 결막에 많은 조작으로 인하여 [[결막 단추구멍]]을 만들기 쉬움 | |||
== 수술 후 처치 == | == 수술 후 처치 == | ||
* 약제 사용 : 수술 전에 사용하던 녹내장 약물은 모두 중단하며, 수술 후 즉시 조절 마비제, 스테로이드, 항생제 점안을 시작한다. 조절 마비제는 섬모체 근육을 이완함으로써 섬모체 소대-홍채-수정체 격막을 당겨 전방을 깊게 하고, [[혈액-방수 장벽]]을 유지하여 전방내 삼출물과 세포 침윤을 제한하고, 수술 후 섬모체 경련을 완화시켜준다. 일반적으로 1% 아트로핀을 사용하며, 수술 후 첫 일주일간 하루 4회, 이후에는 하루 2회 점안하고 2주 후에는 작용 시간이 짧은 조절마비제를 4주까지 사용하며, 이는 수술 후 악성 녹내장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 * 약제 사용 : 수술 전에 사용하던 녹내장 약물은 모두 중단하며, 수술 후 즉시 조절 마비제, 스테로이드, 항생제 점안을 시작한다. 조절 마비제는 섬모체 근육을 이완함으로써 섬모체 소대-홍채-수정체 격막을 당겨 전방을 깊게 하고, [[혈액-방수 장벽]]을 유지하여 전방내 삼출물과 세포 침윤을 제한하고, 수술 후 섬모체 경련을 완화시켜준다. 일반적으로 1% 아트로핀을 사용하며, 수술 후 첫 일주일간 하루 4회, 이후에는 하루 2회 점안하고 2주 후에는 작용 시간이 짧은 조절마비제를 4주까지 사용하며, 이는 수술 후 악성 녹내장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 ||
== 부작용 == | |||
[[섬유주 절제술/부작용]] 참고 |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