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1형 신경 섬유종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잔글 유전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1형 신경 섬유종증 (neurofibromatosis 1; NF1)''' 은 피부와 중추 신경계의 특징적인 이상을 동반하는 신경 피부 증후군 중의 하나로 뇌의 발생 초기 신경 능선 (neural crest) 의 분화와 이주의 이상으로 피부, 신경계, 골격계 및 내분비계에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내는 유전 질환이다<ref>Behrman RE et al.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7th ed. Philadelphia: Saunders, 2004;2015.</ref>.
'''1형 신경 섬유종증 (neurofibromatosis 1; NF1)''' 은 피부와 중추 신경계의 특징적인 이상을 동반하는 신경 피부 증후군 중의 하나로 뇌의 발생 초기 신경 능선 (neural crest) 의 분화와 이주의 이상으로 피부, 신경계, 골격계 및 내분비계에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내는 유전 질환이다<ref>Behrman RE et al.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7th ed. Philadelphia: Saunders, 2004;2015.</ref>.
== 역학 ==
인종이나 성별과 무관하게 약 2.5~3.3천명의 출생아 중 1명에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ref>Huson SM et al. The NF : a pathogenetic
and clinical overview. Chapman & Hall Medical, 1994;253-74.</ref><ref>Williams VC et al. NF type 1 revisited. Pediatrics 2009;123:124-33.</ref>.
== 병인 ==
''NF1'' 유전자의 비활성 돌연변이로 발생하는데, ''NF1'' 유전자는 17번 염색체의 장완에 위치하며, 정상적으로는 neurofibromin 이라는 단백질을 생성한다. neurofibromin은 Ras가 매개되는 세포 증식 경로를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조절하고 종양 억제 기능이 있다.
따라서, NF1 환자들에게 NF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neurofibromin의 생성이 감소함에 따라 리쉬 결절이나 신경섬유종 등의 양성 종양이 전신에 다발성으로 발생하며<ref>방재순 등, 신경섬유종증의 안과적 소견, ''한안지'' 2008;49(11):1829-183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629 연결]</ref>, 피부의 색소 침착 및 혈관계의 병변 등을 동반하는 등 다양한 임상적 특징을 보인다<ref>Friedman JM. NF1 : clinical manifestations and diagnostic criteria. ''J Child Neurol''. 2002 Aug;17(8):548-54; discussion 571-2, 646-51. [https://pubmed.ncbi.nlm.nih.gov/12403552/ 연결]</ref>.
== 유전 ==
== 유전 ==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한다. NF1 유전자는 60개의 exon으로 구성된 상당히 큰 유전자로서 17q1*2에 위치한다.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한다. ''NF1'' 유전자는 60개의 exon으로 구성된 상당히 큰 유전자로서 17q11.2에 위치한다.
== 병태 생리 ==
 
NF1 유전자의 산물인 neurofibromin은 Ras가 매개되는 세포 증식 경로를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돌연변이로 인한 기능 저하가 생기면 다발성 종양이 발생하게 된다. 분자유전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축적된 신경섬유종증의 병인에 대한 이해의 증가로, 새로운 치료 목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전신 소견 ==
== 전신 소견 ==
전신적으로는 신경섬유종 (neurofibroma) 과 더불어 밀크 커피색 반점 (café au lait spot), 골형성 부전 (bony dysplasia), 겨드랑이 주근깨 (axillary freckling) 등의 임상 소견을 특징으로 한다.
전신적으로는 신경섬유종 (neurofibroma) 과 더불어 밀크 커피색 반점 (café au lait spot), 골형성 부전 (bony dysplasia), 겨드랑이 주근깨 (axillary freckling) 등의 임상 소견을 특징으로 한다.
== 안과 소견 ==
== 안과 소견 ==
홍채 과오종인 리쉬 결절 (Lisch nodules), 맥락막 신경섬유종 (choroidal neurofibroma), 시신경 교종 (optic glioma), 각막 실질 내 신경의 비후 및 결막 종괴 등의 소견이 관찰된다.
홍채 과오종인 리쉬 결절 (Lisch nodules) 이 가장 흔하게 보이며, 안검 혹은 안와 내 신경섬유종, [[시신경 교종]], 안검의 담갈색 반점, [[선천 녹내장]], 맥락막 소결절, [[망막 색소상피]] 이상 등의 다양한 안과적 소견이 관찰되었다
=== 망막의 종양 ===
=== 망막의 종양 ===
* 성상세포 과오종 (astrocytic hamartoma) : 신경섬유종증 환자의 시신경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 결절 경화증 환자의 작고 하얀 성상세포 과오종과 유사하다<ref>Destro M et al. Retinal manifestations of NF. Diagnosis and management. Arch Ophthalmol. 1991 May;109(5):662-6. [https://pubmed.ncbi.nlm.nih.gov/1902661/ 연결]</ref>. 대부분 크기가 작지만 시신경유두 주위에 큰 크기로 발생하고 망막 박리와 녹내장이 동반된 증례도 보고되었다<ref>Martyn LJ et al. Glial hamartoma of the retina in generalized NF, Von Recklinghausen's disease. Br J Ophthalmol. 1972 Jun;56(6):487-91. [https://pubmed.ncbi.nlm.nih.gov/4627012/ 연결]</ref>. 망막 주변부에도 큰 크기로 발생한 후 견인망막박리 및 망막해리가 동반되어 시력을 위협하는 증례들도 보고되었으며, 많은 증례들에서 공막돌륭술을 포함한 망막박리수술 후에도 망막이 유착되지 않거나 [[신생혈관 녹내장]]이 동반되어 시력 예후는 좋지 않았다.
* 성상세포 과오종 (astrocytic hamartoma) : 신경섬유종증 환자의 시신경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 결절 경화증 환자의 작고 하얀 성상세포 과오종과 유사하다<ref>Destro M et al. Retinal manifestations of NF. Diagnosis and management. Arch Ophthalmol. 1991 May;109(5):662-6. [https://pubmed.ncbi.nlm.nih.gov/1902661/ 연결]</ref>. 대부분 크기가 작지만 시신경유두 주위에 큰 크기로 발생하고 망막 박리와 녹내장이 동반된 증례도 보고되었다<ref>Martyn LJ et al. Glial hamartoma of the retina in generalized NF, Von Recklinghausen's disease. Br J Ophthalmol. 1972 Jun;56(6):487-91. [https://pubmed.ncbi.nlm.nih.gov/4627012/ 연결]</ref>. 망막 주변부에도 큰 크기로 발생한 후 견인망막박리 및 망막해리가 동반되어 시력을 위협하는 증례들도 보고되었으며, 많은 증례들에서 공막돌륭술을 포함한 망막박리수술 후에도 망막이 유착되지 않거나 [[신생혈관 녹내장]]이 동반되어 시력 예후는 좋지 않았다.
13번째 줄: 21번째 줄:
treatment, 3rd ed. St. Louis: CV Mosby Co., 1987;648-93</ref>. 망막 주변부에서 발생하는 망막 및 망막색소상피의 과오종은 교증성 망막종양(gliotic retinal mass)의 망막 견인으로 망막 찢김 및 망막 박리를 유발할 수 있다.
treatment, 3rd ed. St. Louis: CV Mosby Co., 1987;648-93</ref>. 망막 주변부에서 발생하는 망막 및 망막색소상피의 과오종은 교증성 망막종양(gliotic retinal mass)의 망막 견인으로 망막 찢김 및 망막 박리를 유발할 수 있다.
* 망막 모세혈관종 : Frenkel<ref>Frenkel M. Retinal angiomatosis in a patient with NF. ''AJO''. 1967 Apr;63(4):804-8. [https://pubmed.ncbi.nlm.nih.gov/4960560/ 연결]</ref>은 제2형 신경섬유종증 환자에서 양안의 상이측 및 하이측 혈관분지에서 발생한 망막모세혈관종을 보고하였다. Thomas 등<ref>Thomas JV et al. Von Hippel's disease in association with von Recklinghausen's NF. ''BJO''. 1978 Sep;62(9):604-8. [https://pubmed.ncbi.nlm.nih.gov/101230/ 연결]</ref> 또한 가족 구성원 세 명에서 발생한 신경섬유종증과 [[폰 힙펠-린도우 병]]에 대해 보고하였다. 하지만 양안의 망막 모세혈관종이 신경섬유종증 환자에서 관찰되어도 꼭 [[폰 힙펠-린도우 병]]이 동반되는 것은 아니다. 모세혈관종은 망막부종과 지질 삼출을 동반하며 앞서 언급한 두 종양과 마찬가지로 견인 망막박리와 해리가 동반될 수 있다.
* 망막 모세혈관종 : Frenkel<ref>Frenkel M. Retinal angiomatosis in a patient with NF. ''AJO''. 1967 Apr;63(4):804-8. [https://pubmed.ncbi.nlm.nih.gov/4960560/ 연결]</ref>은 제2형 신경섬유종증 환자에서 양안의 상이측 및 하이측 혈관분지에서 발생한 망막모세혈관종을 보고하였다. Thomas 등<ref>Thomas JV et al. Von Hippel's disease in association with von Recklinghausen's NF. ''BJO''. 1978 Sep;62(9):604-8. [https://pubmed.ncbi.nlm.nih.gov/101230/ 연결]</ref> 또한 가족 구성원 세 명에서 발생한 신경섬유종증과 [[폰 힙펠-린도우 병]]에 대해 보고하였다. 하지만 양안의 망막 모세혈관종이 신경섬유종증 환자에서 관찰되어도 꼭 [[폰 힙펠-린도우 병]]이 동반되는 것은 아니다. 모세혈관종은 망막부종과 지질 삼출을 동반하며 앞서 언급한 두 종양과 마찬가지로 견인 망막박리와 해리가 동반될 수 있다.
=== 망막 혈관 이상 ===
* 선천 이상 : Chun 등<ref>Chun BY et al. Congenital abnormalities of the retinal vasculature in NF1. ''Sci Rep''. 2020 Jul 30;10(1):12865. [https://pubmed.ncbi.nlm.nih.gov/32733046/ 연결]</ref>은 과다한 시신경 유두 혈관 (supranumerary optic disc vessels) 혹은 망막 혈관의 삼중 분지 (triple branching of the retinal vasculature) 와 같은 선천 혈관 이상 소견이 NF1 환자군의 91.7% 에서 관찰되었다고 보고하였다.
* 미세혈관 이상 : Moramarco 등<ref>Moramarco A et al.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in NF1. ''BJO''. 2019 Nov;103(11):1590-1594. [https://pubmed.ncbi.nlm.nih.gov/30705042/ 연결]</ref>은 단순 혈관 굴곡 (simple vascular tortuosity), 나선상의 망막 혈관 (corkscrew retinal vessels), 그리고 모야모야형 패턴 (moyamoya-like pattern) 으로 대표되는 망막 미세혈관 이상 소견이 NF1 환자군의 31.4%에서 관찰되었으며, 이 중 단순 혈관 굴곡 소견이 가장 많았다고 보고하였다.
=== 녹내장 ===
=== 녹내장 ===
윗눈꺼풀이나 안구를 침범했을 때 잘 나타나며 나이가 들어 발병한 경우 편측성으로 동공 주위의 홍채 외반이 동반되기도 한다. 영아에서는 [[전방각 절개술]]을 시행하고 홍채 유착이 심한 경우에는 [[섬유주 절개술]]을 시도하며, 나이가 든 경우 약물 치료를 먼저 시도하고 단계적인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윗눈꺼풀이나 안구를 침범했을 때 잘 나타나며 나이가 들어 발병한 경우 편측성으로 동공 주위의 홍채 외반이 동반되기도 한다. 영아에서는 [[전방각 절개술]]을 시행하고 홍채 유착이 심한 경우에는 [[섬유주 절개술]]을 시도하며, 나이가 든 경우 약물 치료를 먼저 시도하고 단계적인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 검사 및 진단 ==
== 진단 ==
다음 임상 양상 중 2개 이상인 경우
다음 임상 양상 중 2개 이상인 경우<ref>Neurofibromatosis. Conference statement. NIH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Arch Neurol''. 1988 May;45(5):575-8. [https://pubmed.ncbi.nlm.nih.gov/3128965/ 연결]</ref>
* 6개 이상이 Cafe-au-lait spot (가장 긴 직경이 0.5cm 초과 (사춘기 이전의 경우), *5cm 초과 (사춘기 이후))
* 6개 이상이 Cafe-au-lait spot (가장 긴 직경이 0.5cm 초과 (사춘기 이전의 경우), 1.5cm 초과 (사춘기 이후))
* 2개 이상의 신경섬유종, 혹은 1개 이상의 얼기모양 신경섬유종
* 겨드랑이나 사타구니의 주근깨
* 겨드랑이나 사타구니의 주근깨
* 두 개 이상의 신경섬유종, 혹은 1개 이상의 얼기모양 신경섬유종
* 2개 이상의 리쉬 결절
* 두 개 이상의 리쉬 결절
* 특징적인 골 이형성
* 특징적인 골 이형성
* 1형 신경섬유종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직계 가족
* 직계 가족 내의 가족력
{{참고}}
{{참고}}

2025년 11월 10일 (월) 13:58 기준 최신판

1형 신경 섬유종증 (neurofibromatosis 1; NF1) 은 피부와 중추 신경계의 특징적인 이상을 동반하는 신경 피부 증후군 중의 하나로 뇌의 발생 초기 신경 능선 (neural crest) 의 분화와 이주의 이상으로 피부, 신경계, 골격계 및 내분비계에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내는 유전 질환이다[1].

역학

인종이나 성별과 무관하게 약 2.5~3.3천명의 출생아 중 1명에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2][3].

병인

NF1 유전자의 비활성 돌연변이로 발생하는데, NF1 유전자는 17번 염색체의 장완에 위치하며, 정상적으로는 neurofibromin 이라는 단백질을 생성한다. neurofibromin은 Ras가 매개되는 세포 증식 경로를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조절하고 종양 억제 기능이 있다.

따라서, NF1 환자들에게 NF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neurofibromin의 생성이 감소함에 따라 리쉬 결절이나 신경섬유종 등의 양성 종양이 전신에 다발성으로 발생하며[4], 피부의 색소 침착 및 혈관계의 병변 등을 동반하는 등 다양한 임상적 특징을 보인다[5].

유전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한다. NF1 유전자는 60개의 exon으로 구성된 상당히 큰 유전자로서 17q11.2에 위치한다.

전신 소견

전신적으로는 신경섬유종 (neurofibroma) 과 더불어 밀크 커피색 반점 (café au lait spot), 골형성 부전 (bony dysplasia), 겨드랑이 주근깨 (axillary freckling) 등의 임상 소견을 특징으로 한다.

안과 소견

홍채 과오종인 리쉬 결절 (Lisch nodules) 이 가장 흔하게 보이며, 안검 혹은 안와 내 신경섬유종, 시신경 교종, 안검의 담갈색 반점, 선천 녹내장, 맥락막 소결절, 망막 색소상피 이상 등의 다양한 안과적 소견이 관찰되었다

망막의 종양

  • 성상세포 과오종 (astrocytic hamartoma) : 신경섬유종증 환자의 시신경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 결절 경화증 환자의 작고 하얀 성상세포 과오종과 유사하다[6]. 대부분 크기가 작지만 시신경유두 주위에 큰 크기로 발생하고 망막 박리와 녹내장이 동반된 증례도 보고되었다[7]. 망막 주변부에도 큰 크기로 발생한 후 견인망막박리 및 망막해리가 동반되어 시력을 위협하는 증례들도 보고되었으며, 많은 증례들에서 공막돌륭술을 포함한 망막박리수술 후에도 망막이 유착되지 않거나 신생혈관 녹내장이 동반되어 시력 예후는 좋지 않았다.
  • 망막 및 망막 색소상피의 과오종 (combined hamartoma of the retina and RPE) : Gass[8]에 의해 보고되었으며 제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에서 망막에 관찰될 수 있는 과오종이다. 안저검사에서 색소침착이 동반되고 융기된 종양으로 관찰되는 망막 및 망막색소상피의 과오종은 교증 및 삼출망막박리를 동반하며 황반부를 침범할 수 있다[9]. 망막 주변부에서 발생하는 망막 및 망막색소상피의 과오종은 교증성 망막종양(gliotic retinal mass)의 망막 견인으로 망막 찢김 및 망막 박리를 유발할 수 있다.
  • 망막 모세혈관종 : Frenkel[10]은 제2형 신경섬유종증 환자에서 양안의 상이측 및 하이측 혈관분지에서 발생한 망막모세혈관종을 보고하였다. Thomas 등[11] 또한 가족 구성원 세 명에서 발생한 신경섬유종증과 폰 힙펠-린도우 병에 대해 보고하였다. 하지만 양안의 망막 모세혈관종이 신경섬유종증 환자에서 관찰되어도 꼭 폰 힙펠-린도우 병이 동반되는 것은 아니다. 모세혈관종은 망막부종과 지질 삼출을 동반하며 앞서 언급한 두 종양과 마찬가지로 견인 망막박리와 해리가 동반될 수 있다.

망막 혈관 이상

  • 선천 이상 : Chun 등[12]은 과다한 시신경 유두 혈관 (supranumerary optic disc vessels) 혹은 망막 혈관의 삼중 분지 (triple branching of the retinal vasculature) 와 같은 선천 혈관 이상 소견이 NF1 환자군의 91.7% 에서 관찰되었다고 보고하였다.
  • 미세혈관 이상 : Moramarco 등[13]은 단순 혈관 굴곡 (simple vascular tortuosity), 나선상의 망막 혈관 (corkscrew retinal vessels), 그리고 모야모야형 패턴 (moyamoya-like pattern) 으로 대표되는 망막 미세혈관 이상 소견이 NF1 환자군의 31.4%에서 관찰되었으며, 이 중 단순 혈관 굴곡 소견이 가장 많았다고 보고하였다.

녹내장

윗눈꺼풀이나 안구를 침범했을 때 잘 나타나며 나이가 들어 발병한 경우 편측성으로 동공 주위의 홍채 외반이 동반되기도 한다. 영아에서는 전방각 절개술을 시행하고 홍채 유착이 심한 경우에는 섬유주 절개술을 시도하며, 나이가 든 경우 약물 치료를 먼저 시도하고 단계적인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진단

다음 임상 양상 중 2개 이상인 경우[14]

  • 6개 이상이 Cafe-au-lait spot (가장 긴 직경이 0.5cm 초과 (사춘기 이전의 경우), 1.5cm 초과 (사춘기 이후))
  • 2개 이상의 신경섬유종, 혹은 1개 이상의 얼기모양 신경섬유종
  • 겨드랑이나 사타구니의 주근깨
  • 2개 이상의 리쉬 결절
  • 특징적인 골 이형성
  • 직계 가족 내의 가족력

참고

  1. Behrman RE et al.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7th ed. Philadelphia: Saunders, 2004;2015.
  2. Huson SM et al. The NF : a pathogenetic and clinical overview. Chapman & Hall Medical, 1994;253-74.
  3. Williams VC et al. NF type 1 revisited. Pediatrics 2009;123:124-33.
  4. 방재순 등, 신경섬유종증의 안과적 소견, 한안지 2008;49(11):1829-1838 연결
  5. Friedman JM. NF1 : clinical manifestations and diagnostic criteria. J Child Neurol. 2002 Aug;17(8):548-54; discussion 571-2, 646-51. 연결
  6. Destro M et al. Retinal manifestations of NF. Diagnosis and management. Arch Ophthalmol. 1991 May;109(5):662-6. 연결
  7. Martyn LJ et al. Glial hamartoma of the retina in generalized NF, Von Recklinghausen's disease. Br J Ophthalmol. 1972 Jun;56(6):487-91. 연결
  8. Gass JD. An unusual hamartoma of the RPE and retina simulating choroidal melanoma and RB. 1973. Retina. 2003 Dec;23(6 Suppl):171-83; discussion 184-5. 연결
  9. Gass JDM. Stereoscopic atlas of macular diseases : diagnosis and treatment, 3rd ed. St. Louis: CV Mosby Co., 1987;648-93
  10. Frenkel M. Retinal angiomatosis in a patient with NF. AJO. 1967 Apr;63(4):804-8. 연결
  11. Thomas JV et al. Von Hippel's disease in association with von Recklinghausen's NF. BJO. 1978 Sep;62(9):604-8. 연결
  12. Chun BY et al. Congenital abnormalities of the retinal vasculature in NF1. Sci Rep. 2020 Jul 30;10(1):12865. 연결
  13. Moramarco A et al.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in NF1. BJO. 2019 Nov;103(11):1590-1594. 연결
  14. Neurofibromatosis. Conference statement. NIH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Arch Neurol. 1988 May;45(5):575-8.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