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당뇨 시신경 유두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0번째 줄: 10번째 줄:
# 안염증, 뇌압 상승의 증거는 없음
# 안염증, 뇌압 상승의 증거는 없음
== 임상 양상 ==
== 임상 양상 ==
증상이 없거나 약간 흐려 보이는 등 비특이적일 수 있다. 통증이나 다른 신경학적 이상은 없다. 시신경 유두는 충혈이 있거나 주변 혈관의 확장이 관찰된다. 창백한 부종은 AAION의 증거로 당뇨 시신경 유두병증을 배제할 수 있는 소견이다.  
증상이 없거나 약간 흐려 보이는 등 비특이적일 수 있다. 통증이나 다른 신경학적 이상은 없다. 시신경 유두는 충혈이 있거나 주변 혈관의 확장이 관찰된다. 창백한 부종은 AAION의 증거로 당뇨 시신경 유두병증을 배제할 수 있는 소견이다. 80%에서 [[당뇨 망막병증]]이 함께 있으며 25% 에서는 다양한 정도의 황반 부종이 동반된다. 반대 눈에 밀집 유두가 보이기도 한다.
== 감별 진단 ==
유두 부종, 시신경 유두 신생혈관, 악성 고혈압, 유두염, [[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NAION]] 등을 감별해야 한다.
 
시신경 주위 혈관 확장을 당뇨 망막병증의 신생혈관과 감별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을 참고한다.
# 혈관의 주행이 대개 방사상이다. (신생혈관은 무작위 방향)
# 확장된 혈관이 시신경 유두 표면에 국한되어 존재한다. (신생혈관은 유리체 쪽으로 자라나기도 한다.)
# 형광 안저 혈관 조영술에서 조영제 누출이 시신경 유두 자체 또는 유두 주위 망막에 국한되며 후기에 누출 부위 과형광 사이로 혈관에 가려진 부분이 저형광으로 나타나는 형광 차단 (shadowing) 을 보인다. (신생혈관은 혈관 자체에서 누출되므로 혈관을 포함한 과형광이 나타난다.)
 
== 경과 ==
== 경과 ==
치료하지 않아도 2~10개월이 지나면서 사라진다. 경미한 시신경 위축은 20% 정도에서 남는다. 질환 자체는 예후가 양호하지만, 이후에 망막병증이 악화되거나 신생 혈관이 발생하여 문제가 될 수 있다.
치료하지 않아도 2~10개월이 지나면서 사라진다. 경미한 시신경 위축은 20% 정도에서 남는다. 질환 자체는 예후가 양호하지만, 이후에 망막병증이 악화되거나 신생 혈관이 발생하여 문제가 될 수 있다.
{{참고|신경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