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 눈물 부족 건성안: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b>수성 눈물 부족 건성안 (aqueous tear-deficiency dry eye; ADDE)</b> | <b>수성 눈물 부족 건성안 (aqueous tear-deficiency dry eye; ADDE)</b> | ||
== 원인 == | == 원인 == | ||
* 쇼그렌 증후군 | * [[쇼그렌 증후군]] | ||
* 원발 눈물샘 결핍 | * [[원발 눈물샘 결핍]] | ||
* 속발 눈물샘 결핍 | * [[속발 눈물샘 결핍]] | ||
* 눈물관 폐쇄 | * 눈물관 폐쇄 : 주눈물샘과 덧눈물샘의 눈물관 폐쇄로 수성 눈물 부족 건성안이 발생하며, 반흔 결막염에서도 결막의 반흔으로 인해 반흔 폐쇄 [[마이봄샘 기능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눈꺼풀 변형은 눈꺼풀의 부착에 영향을 주므로 눈물막이 고르게 퍼지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트라코마, 점막 유사 천포창,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화학 화상 등에서도 발생하게 된다. | ||
* 반사 눈물의 분비 저하 | * 반사 눈물의 분비 저하 : 눈을 뜨고 있으면 안구 표면이 노출되고 반사적 감각 자극을 증가시켜 눈물 분비가 많아진다. 이 때 안구 표면에서 감각 원동력이 줄어들면 첫째, 반사에 의한 눈물 분비가 줄게 되고, 둘째, 눈깜빡임 횟수가 줄게 되어 눈물 증발이 많아져 건성안이 발생하게 된다. 양안에 국소 마취제인 proparacaine을 점안하면 눈깜빡임이 30% 줄고 눈물 분비는 60~75%가 줄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감각 반사 차단은 다음 질환에서 발생하는 건성안의 주 기전이다. | ||
** 당뇨 : | |||
** [[신경 영양 각막염]] | |||
{{참고|각막}} |
2021년 1월 29일 (금) 08:17 기준 최신판
수성 눈물 부족 건성안 (aqueous tear-deficiency dry eye; ADDE)
원인
- 쇼그렌 증후군
- 원발 눈물샘 결핍
- 속발 눈물샘 결핍
- 눈물관 폐쇄 : 주눈물샘과 덧눈물샘의 눈물관 폐쇄로 수성 눈물 부족 건성안이 발생하며, 반흔 결막염에서도 결막의 반흔으로 인해 반흔 폐쇄 마이봄샘 기능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눈꺼풀 변형은 눈꺼풀의 부착에 영향을 주므로 눈물막이 고르게 퍼지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트라코마, 점막 유사 천포창,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화학 화상 등에서도 발생하게 된다.
- 반사 눈물의 분비 저하 : 눈을 뜨고 있으면 안구 표면이 노출되고 반사적 감각 자극을 증가시켜 눈물 분비가 많아진다. 이 때 안구 표면에서 감각 원동력이 줄어들면 첫째, 반사에 의한 눈물 분비가 줄게 되고, 둘째, 눈깜빡임 횟수가 줄게 되어 눈물 증발이 많아져 건성안이 발생하게 된다. 양안에 국소 마취제인 proparacaine을 점안하면 눈깜빡임이 30% 줄고 눈물 분비는 60~75%가 줄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감각 반사 차단은 다음 질환에서 발생하는 건성안의 주 기전이다.
- 당뇨 :
- 신경 영양 각막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