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관련 황반변성/건성: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Smile님이 건성 나이 관련 황반변성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건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차이 없음)

2021년 10월 6일 (수) 12:58 판

발생과 진행

기저판 침착물

기저 선형 침착물

막 부스러기

형태학적 변화

드루젠

망막하 드루젠형 침착

노른자 모양 축적 (vitelliform lesion)

황반 중심 부위에 노란색의 망막하 물질이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전형적인 AMD인 눈에서도 축적되는 경우들이 있다. 노른자 모양 축적은 AMD에서 특정한 조직학적 진행 단계와 관련성이 확인되지 않아서, 이것이 병태생리의 일부로써 보이는 것인지 혹은 동시에 다른 질환이 동반되어 있는 것인지도 불명확하다. 안저 검사에서는 노란색의 반투명의 두께가 있는 침착물로 확인 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이 물질들이 커지거나 혹은 스스로 흡수되면서 그 위치에 망막 외측과 RPE의 위축이 발생한다. AF 소견에서는 거의 과형광의 자가 형광이 보인다. FA에서는 초기에 노른자 모양 축적이 배경 맥락막 형광을 가리면서 저형광으로 보이다가 후기에는 형광이 강하게 염색되면서 과형광으로 보인다. 이러한 후기 과형광은 CNV와 유사하게 보일 수 있는데 따라서 초기의 형광 양상이 중요하다[1]. OCT 영상에서 망막하에 상당히 균일한 고반사 침착물로 보인다. 이 병변들은 그 안에 혹은 주변부에 연접하여 CNV와 무관한 망막하액이 동반될 수 있다. 노른자 모양 축적은 드루젠이나 PED의 윗쪽으로 보일 수 있다. 조직학적으로 이 병변들은 시세포의 바깥 분절이 포식되지 못하여서 쌓이는 것으로 생각되며 실제로 시세포 물질과 관련된 세포외 물질들이다. 위에 있는 시세포들이 점차 소실되면서 아래 쪽의 RPE의 색소가 소실되면서 색소 과립이 이물질쪽으로 퍼진다[2].

바닥판 드루젠

참고

  1. Freund KB et al. Acquired Vitelliform Lesions : correlation of clinical findings and multiple imaging analyses. Retina. 2011 Jan;31(1):13-25. 연결
  2. Arnold JJ et al. Adult vitelliform macular degeneration : a clinicopathological study. Eye (Lond). 2003 Aug;17(6):717-26.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