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막 신생혈관: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FA |
잔글 →망막 색소상피 박리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 영양 혈관 === | === 영양 혈관 === | ||
이 혈관들은 맥락막기에서 맥락막 혈관으로 나타나며 명확히 누출되는 맥락막 모세혈관들과 연결되어 있다. 레이저 치료를 받은 부위의 재발성 CNV에서 가장 흔하게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이저 치료를 받은 부위 중앙에서 자라나기 시작해 재발한 CNV 부위로 증식한다. 하지만 치료받지 않았던 부위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으며 자연적인 상처 형성에 관여하기도 한다. | 이 혈관들은 맥락막기에서 맥락막 혈관으로 나타나며 명확히 누출되는 맥락막 모세혈관들과 연결되어 있다. 레이저 치료를 받은 부위의 재발성 CNV에서 가장 흔하게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이저 치료를 받은 부위 중앙에서 자라나기 시작해 재발한 CNV 부위로 증식한다. 하지만 치료받지 않았던 부위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으며 자연적인 상처 형성에 관여하기도 한다. | ||
=== [[망막 색소상피 파열]] === | |||
== OCT == | |||
추기에는 wAMD의 신생혈관이 맥락 막에서 시작하여 망막 쪽으로 증식한다고 생각되었다. 한편 2002년 Yannuzzi 등<ref>Yannuzzi LA et al. RAP in AMD. ''Retina''. 2001;21(5):416-34. [https://pubmed.ncbi.nlm.nih.gov/11642370/ 연결]</ref>은 망막의 모세혈관에서 시작한 혈관 증식이 망막 아래로 진행하면서 wAMD에서 나타나는 여러 증후를 일으키는 새로운 질환군을 모아 [[망막 혈관종 증식]](retinal angiomatous proliferation, RAP) 으로 으로 새롭게 명명하였다. 또한 동일한 질환군에 대해 Freund 등<ref>Freund KB et al. Type 3 NV : the expanded spectrum of RAP. ''Retina''. 2008 Feb;28(2):201-11. [https://pubmed.ncbi.nlm.nih.gov/18301024/ 연결]</ref>은 FA나 ICGA에 나타나자 않는 초기의 RPE하 CNV가 이차적인 맥락망막 혈관 문합을 유발하면서 혈관신생에 이차적인 증후들이 나타난다고 제시하였다. 최근에는 OCT 소견들을 바탕으로 3가지 종류의 Gass 혈관신생으로 분류하고 있다. | |||
=== 1형 : 망막 색소상피하 신생혈관 === | |||
CNV가 브루크막을 뚫고 나왔으나 RPE는 유지되고 있는 경우로 정상적인 망막 구조물들이 대부분 유지뒤고 있기 때문에 FA에서 경계가 불분명한 잠복 CNV의 형태로 나타난다. Gass 등은 이와 같은 형태를 제 1형 CNV로 명명하였다. | |||
=== 2형 : 망막하 신생혈관 === | |||
CNV가 브루크막과 RPE를 뚫고 나와 신경망막 아래쪽으로 자라나온 것으로 FA에서 초기에 분명한 과형광, 후기에 초기의 경계를 넘어서는 형광 물질의 누출을 보이는 전형 CNV의 형태를 보인다. 병변의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여 [[광역학 치료]]의 대상이 되며, Gass 분류에서 제 2형 CNV에 해당한다. | |||
=== 3형 : [[망막 혈관종 증식]] === | |||
심부 망막 모세혈관층의 혈관 또는 그 하부의 CNV가 증식하여 점진적으로 RPE를 파괴하며 맥락막 혈관과 망막 혈관의 문합이 이루어지는 일련의 질환군으로 일반적으로 제 3형 CNV로 불린다. OCT에서 망막내 낭종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연성 드루젠]]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 |||
=== [[망막 색소상피 박리]] === | |||
[[망막 색소상피 박리]] 참고 | |||
== 검사 소견 == | == 검사 소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