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광기계적 망막 손상: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치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 레이저 노출과 심각한 시각적 증상 발생 사이의 시간적 선후 관계가 명확하다.
* 레이저 노출과 심각한 시각적 증상 발생 사이의 시간적 선후 관계가 명확하다.
* 망막 영상 검사로 확인할 수 있는 손상 정도와 시각적 증상의 중증도가 상응한다.
* 망막 영상 검사로 확인할 수 있는 손상 정도와 시각적 증상의 중증도가 상응한다.
레이저 손상 및 노출은 대부분 통증을 수반하지 않는다. 레이저 사고 후 눈을 문지르면 각막 찰과상이 발생하여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나,이는 레이저 사고로 인한 직접적 결과는 아니다. 레이저로 인해 망막이 손상됐다고 해서, 만성 두통이나 머리, 목, 턱 등 여타 신체 부위에서 불편 증상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레이저 손상 및 노출은 대부분 통증을 수반하지 않는다. 레이저 사고 후 눈을 문지르면 각막 찰과상이 발생하여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는 레이저 사고로 인한 직접적 결과는 아니다. 레이저로 인해 망막이 손상됐다고 해서, 만성 두통이나 머리, 목, 턱 등 여타 신체 부위에서 불편 증상이 발생하지는 않는다<ref>Mainster MA et al. Pointers on laser pointers. ''Ophthalmology''. 1997 Aug;104(8):1213-4. [https://pubmed.ncbi.nlm.nih.gov/9261305/ 연결]</ref><ref>Mainster MA. Blinded by the light--not! ''Arch Ophthalmol''. 1999 Nov;117(11):1547-8. [https://pubmed.ncbi.nlm.nih.gov/10565526/ 연결]</ref>.
 
레이저 손상 정도가 심할수록 진단은 용01하다. 망막손 상이 미미해 애매한 경우, 보통 시력예후는 매우 좋다. 환 자는 레이저로 인해 망막손상을 받았다고 주장하지만 객 관적인 검사 결과에서는 문제가 없을 경우, 환자 망막 상 태, 안과적/전신적 검사 결고ᅡ, 임상양상, 과거 병력을 종합 적으로 면밀히 검토한 후 진단을 내려야 한다, 손상 여부가 애매한 상황에서 변호사나 환자들이 손상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빨리 결론을 내달라고 압박한다고 해서,섣불리 진단을 내려서는 안 된다.20,23 레이저로 인한 망막 손상은 만성적인 통증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레이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심각한 시각 손상은 심각한 맥락망막 이상 소견과 일치해야 한다


레이저 손상 정도가 심할수록 진단은 용01하다. 망막손 상이 미미해 애매한 경우, 보통 시력예후는 매우 좋다. 환 자는 레이저로 인해 망막손상을 받았다고 주장하지만 객 관적인 검사 결과에서는 문제가 없을 경우, 환자 망막 상 태, 안과적/전신적 검사 결고ᅡ, 임상양상, 과거 병력을 종합 적으로 면밀히 검토한 후 진단을 내려야 한다, 손상 여부가 애매한 상황에서 변호사나 환자들이 손상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빨리 결론을 내달라고 압박한다고 해서,섣불리 진단을 내려서는 안 된다<ref>Mainster MA et al. But is it really light damage? ''Ophthalmology''. 1997 Feb;104(2):179-80. [https://pubmed.ncbi.nlm.nih.gov/9052619/ 연결]</ref>. 레이저로 인한 망막 손상은 만성적인 통증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레이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심각한 시각 손상은 심각한 맥락망막 이상 소견과 일치해야 한다<ref>Mainster MA et al. Assessment of alleged retinal laser injuries. ''Arch Ophthalmol''. 2004 Aug;122(8):1210-7. [https://pubmed.ncbi.nlm.nih.gov/15302664/ 연결]</ref>.


== 예방 ==
== 예방 ==
27번째 줄: 26번째 줄:
손상 위치와 맥락망막 파괴 정도, 출혈에 따라 초기 시각 상실 정도가 달라진다. 출혈은 유리체막하, 망막하, RPE하 공간으로 퍼질 수 있다. 맥락망막에 흉터가 생기고 변형되기도 한다. 시력은 시간이 감에 따라 호전될 수 있으며, 손상이 중심 오목을 침범하지 않고 심각하지 않으면 예후는 좋다. 손상 후 황반 구멍<ref>Cho A et al. FS laser-induced MH followed by SD-OCT. ''Clin Exp Ophthalmol''. 2013 Nov;41(8):812-5. [https://pubmed.ncbi.nlm.nih.gov/23448512/ 연결]</ref><ref>Ciulla TA et al. Surgical treatment of a MH secondary to accidental laser burn. ''Arch Ophthalmol''. 1997 Jul;115(7):929-30. [https://pubmed.ncbi.nlm.nih.gov/9230842/ 연결]</ref>이나 이차적인 맥락막 신생혈관 (CNV)<ref>Ying HS et al. Accidental Nd:YAG laser-induced CNV. ''Lasers Surg Med''. 2008 Apr;40(4):240-2. [https://pubmed.ncbi.nlm.nih.gov/18412221/ 연결]</ref>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손상 위치와 맥락망막 파괴 정도, 출혈에 따라 초기 시각 상실 정도가 달라진다. 출혈은 유리체막하, 망막하, RPE하 공간으로 퍼질 수 있다. 맥락망막에 흉터가 생기고 변형되기도 한다. 시력은 시간이 감에 따라 호전될 수 있으며, 손상이 중심 오목을 침범하지 않고 심각하지 않으면 예후는 좋다. 손상 후 황반 구멍<ref>Cho A et al. FS laser-induced MH followed by SD-OCT. ''Clin Exp Ophthalmol''. 2013 Nov;41(8):812-5. [https://pubmed.ncbi.nlm.nih.gov/23448512/ 연결]</ref><ref>Ciulla TA et al. Surgical treatment of a MH secondary to accidental laser burn. ''Arch Ophthalmol''. 1997 Jul;115(7):929-30. [https://pubmed.ncbi.nlm.nih.gov/9230842/ 연결]</ref>이나 이차적인 맥락막 신생혈관 (CNV)<ref>Ying HS et al. Accidental Nd:YAG laser-induced CNV. ''Lasers Surg Med''. 2008 Apr;40(4):240-2. [https://pubmed.ncbi.nlm.nih.gov/18412221/ 연결]</ref>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 치료 ==
== 치료 ==
OCT와 FA는 레이저 손상의 평가, 관리 및 기록에 유용하게 쓰인다. 레이저 손상을 줄이기 위한 항염증제나 신경 보호 약제들이 실험실 수준에서 연구되기도 했으나,17,18 임상 연구에서 이러한 약제들의 효과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황반 구멍과 CNV는 자연적으로 사라지기도 하나, 수술이나 anti-VEGF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OCT와 FA는 레이저 손상의 평가, 관리 및 기록에 유용하게 쓰인다. 레이저 손상을 줄이기 위한 항염증제<ref>Brown J Jr et al. Steroidal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medications can improve photoreceptor survival after laser retinal photocoagulation. ''Ophthalmology''. 2007 Oct;114(10):1876-83. [https://pubmed.ncbi.nlm.nih.gov/17908593/ 연결]</ref>나 신경 보호 약제<ref>Shulman S et al. Ameliorative effect of PN-277 on laser-induced retinal damag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Mar;247(3):343-8. [https://pubmed.ncbi.nlm.nih.gov/18987871/ 연결]</ref>들이 실험실 수준에서 연구되기도 했으나, 임상 연구에서 이러한 약제들의 효과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황반 구멍과 CNV는 자연적으로 사라지기도 하나, 수술이나 anti-VEGF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