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종류)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프리즘 안경 (ground-in prism) | * 프리즘 안경 (ground-in prism) | ||
* [[프레스넬 프리즘]] (Fresnel prism) | * [[프레스넬 프리즘]] (Fresnel prism) | ||
== 처방의 원칙 == | |||
프리즘 처방 전에 원거리 뿐만 아니라 근거리 프리즘 가림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주시 방향에 따라 프리즘 도수가 변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정면 주시에서 복시를 없애면 통상 치료에 성공했다고 간주되나, 독서를 하려면 하방 및 근거리 주시에서의 복시도 치료해야 한다. | |||
단순히 프리즘 가림 검사에서 측정된 도수에 따라 프리즘을 처방하는 것이 아니라 복시가 발생한 원인 질환 및 환자의 융합력에 따라 다르게 처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프리즘 가림 검사에서 측정된 PD를 환자에게 적용한 후 환자의 반응에 따라 PD를 가감하여 정면 주시 시 복시가 사라지는 최소 PD를 두 눈에 동일하게 분할하여 처방한다. 검사용 안경테에 프리즘을 적용하여 환자의 반응에 따라 프리즘 도수 및 각도를 조절하여 치료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 |||
{{참고}} | {{참고}} | ||
[[분류:신경안과]] |
2022년 6월 3일 (금) 15:20 판
프리즘 (prism)[1] 은 빛의 방향을 바꾸어 편위된 눈의 중심와 또는 융합 가능한 범위 내로 물체의 상을 옮겨 복시를 교정하는 것이다.
효과
작은 양의 일치 사시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불일치 사시에서도 프리즘을 처방하여 좋은 치료 효과를 보인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종류
- 프리즘 안경 (ground-in prism)
- 프레스넬 프리즘 (Fresnel prism)
처방의 원칙
프리즘 처방 전에 원거리 뿐만 아니라 근거리 프리즘 가림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주시 방향에 따라 프리즘 도수가 변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정면 주시에서 복시를 없애면 통상 치료에 성공했다고 간주되나, 독서를 하려면 하방 및 근거리 주시에서의 복시도 치료해야 한다.
단순히 프리즘 가림 검사에서 측정된 도수에 따라 프리즘을 처방하는 것이 아니라 복시가 발생한 원인 질환 및 환자의 융합력에 따라 다르게 처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프리즘 가림 검사에서 측정된 PD를 환자에게 적용한 후 환자의 반응에 따라 PD를 가감하여 정면 주시 시 복시가 사라지는 최소 PD를 두 눈에 동일하게 분할하여 처방한다. 검사용 안경테에 프리즘을 적용하여 환자의 반응에 따라 프리즘 도수 및 각도를 조절하여 치료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참고
- ↑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