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와: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b>중심와 (fovea)</b> 는 임상적으로 황반 (macular lutea) 이라고 칭한다. 중심와는 직경이 약 1.5 mm, 혹은 1 유두 직경 정도되는 함몰되어 있는 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중심와 (fovea)</b> 임상적으로 황반 (macular lutea) 이라고 칭한다. 중심와는 직경이 약 1.5 mm, 혹은 1 유두 직경 정도되는 함몰되어 있는 부위이며, 중심부위는 중심소와 (foveola) 로 직경이 약 0.35 mm에 탈한다. 이 부위는 직경이 약 0.5 mm인 맥락막 모세혈관으로부터 영양을 공급받는 무혈관 부위(capillary free zone) 안에 위치하게 된다. 중심와는 안구의 굉축 위에 놓여 있다. 눈의 각막 과 수정체의 중심에 수직으로 들어오는 빛은 중섬와에 떨어진다. 중심소와에는 적색과 녹색 원뿔세포의 외절을 제외하면 세포가 존재하지 않는다. 시각의 2˚ 정도에 대응되는가장중심부위는청색 원뿔세포가 없다. 중 심와의 원뿔세포들은 특별해서 매우 밀도 높게 채워져 있다. 중심소와의 중심의 함몰된 작은 부위가 배꼽부이 다. 중심와 밖을 0.5 mm 폭으로 툴러싼 부위가 중심와부근으로 신경절세포층, 속핵층(jnner nuclear layer), 외 망싱-(outer plexiform layer of Henle)가장 두껍다. 중심와부근의 밖은 중심와주위기 둘러씨케 된다 (그 림 1).  
'''중심와 (fovea)'''{{망막}} 망막 표면이 함몰된, 약 0.8~1.5mm 의 중심와 오목 (foveal pit) 의 테두리에 의해 경계 지어진다. 상측에 다른 신경세포가 존재하지 않아 오목한 모양을 띠며, 원뿔세포의 축삭, 헨레 섬유층 등은 원뿔세포 소족 (cone pedicle) 까지 비스듬히 주행하여 이후 [[양극세포]]연결이 된다. 이러한 구조는 중심와를 통과하는 빛의 산란을 줄여주어 빛 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최대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2
 
다른 포유 동물에서는 관찰되지 않으며, 오직 영장류에만 있는 시각에 특화된 부위이다. 비영장류 포유 동물에는 망막 중심부에 중심와 대신 다른 형태의 시세포가 밀집된 특화 영역이 있으며, 가령 고양이와 같은 포식 동물은 이측 망막에 동심으로 정렬된 중심부 (area centralis) 가 있으며<ref>Hughes A.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at RGC topography. ''J Comp Neurol''. 1975 Sep;163(1):107-28. [https://pubmed.ncbi.nlm.nih.gov/1159109/ 연결]</ref>, 토끼와 돼지 같은 동물에는 시신경 상측부에 수평 방향의 [[원뿔세포]]가 밀집된 시각선 (visual streak) 이 있어 고개를 돌리지 않고도 수평 방향의 시각 정도블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ref>Hughes A. Topograph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rabbit visual system. ''Doc Ophthalmol''. 1971 Sep 12;30:33-159. [https://pubmed.ncbi.nlm.nih.gov/5000058/ 연결]</ref>.
== 중심소와 (foveola) ==
중심와의 가장 중심 부위이며, 사람에서는 대략 350㎛ 의 직경을 가진다. 원뿔세포의 밀집도가 가장 높은 부위 (약 200,000/mm²) 로, 막대세포는 없이 원뿔세포만 존재하며, 대개 중심부 망막의 혈관이 없는 중심와 무혈관 영역 (foveal avascular zone, FAZ) 내에 위치한다.
{{참고}}

2022년 9월 6일 (화) 05:40 기준 최신판

중심와 (fovea)[1] 는 망막 표면이 함몰된, 약 0.8~1.5mm 의 중심와 오목 (foveal pit) 의 테두리에 의해 경계 지어진다. 상측에 다른 신경세포가 존재하지 않아 오목한 모양을 띠며, 원뿔세포의 축삭, 헨레 섬유층 등은 원뿔세포 소족 (cone pedicle) 까지 비스듬히 주행하여 이후 양극세포로 연결이 된다. 이러한 구조는 중심와를 통과하는 빛의 산란을 줄여주어 빛 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최대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다른 포유 동물에서는 관찰되지 않으며, 오직 영장류에만 있는 시각에 특화된 부위이다. 비영장류 포유 동물에는 망막 중심부에 중심와 대신 다른 형태의 시세포가 밀집된 특화 영역이 있으며, 가령 고양이와 같은 포식 동물은 이측 망막에 동심으로 정렬된 중심부 (area centralis) 가 있으며[2], 토끼와 돼지 같은 동물에는 시신경 상측부에 수평 방향의 원뿔세포가 밀집된 시각선 (visual streak) 이 있어 고개를 돌리지 않고도 수평 방향의 시각 정도블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3].

중심소와 (foveola)

중심와의 가장 중심 부위이며, 사람에서는 대략 350㎛ 의 직경을 가진다. 원뿔세포의 밀집도가 가장 높은 부위 (약 200,000/mm²) 로, 막대세포는 없이 원뿔세포만 존재하며, 대개 중심부 망막의 혈관이 없는 중심와 무혈관 영역 (foveal avascular zone, FAZ) 내에 위치한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Hughes A.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at RGC topography. J Comp Neurol. 1975 Sep;163(1):107-28. 연결
  3. Hughes A. Topograph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rabbit visual system. Doc Ophthalmol. 1971 Sep 12;30:33-159.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