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신캅타드 페골: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GATHER1) |
잔글 (→GATHER2)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아바신캅타드 페골 (avacincaptad pegol)'''{{망막}} (Zimura, IVERIC bio Inc, New York, NY) 은 막 공격 복합체 형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항-C5 [[압타머]] (aptamer) 이다. | '''아바신캅타드 페골 (avacincaptad pegol, ACP)'''{{망막}} (Zimura, IVERIC bio Inc, New York, NY) 은 막 공격 복합체 형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항-C5 [[압타머]] (aptamer) 이다. | ||
== 기전<ref name=r2>Jaffe GJ et al. C5 Inhibitor Avacincaptad Pegol for GA Due to AMD : A Randomized Pivotal P2/3 Trial. ''Ophthalmology''. 2021 Apr;128(4):576-586. [https://pubmed.ncbi.nlm.nih.gov/32882310/ 연결]</ref> == | == 기전<ref name=r2>Jaffe GJ et al. C5 Inhibitor Avacincaptad Pegol for GA Due to AMD : A Randomized Pivotal P2/3 Trial. ''Ophthalmology''. 2021 Apr;128(4):576-586. [https://pubmed.ncbi.nlm.nih.gov/32882310/ 연결]</ref> == | ||
선천성 면역과 세포 사멸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는 보체 연쇄 작용 (cascade) 의 핵심 구성 요소인 C5의 분해를 억제한다. 보체 연쇄 작용에서 이 중요한 단계를 억제하면 초기 활성화 경로 (대체, 클래식 또는 렉틴) 에 관계없이 주요 말단 단편 (C5a 및 C5b) 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5a 단편은 인플라마좀 프라이밍 및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발열 및 세포 사멸로 이어질 수 있고<ref>Swanson KV et al. The NLRP3 inflammasome : molecular activation and regulation to therapeutics. ''Nat Rev Immunol''. 2019 Aug;19(8):477-489. [https://pubmed.ncbi.nlm.nih.gov/31036962/ 연결]</ref>, C5b는 막 공격 복합체 (C5b-9) 의 형성에 관여하여 세포 용해 및 세포 사멸로 이어질 수 있다<ref>Li W et al. Complement 5b-9 complex-induced alterations in human RPE cell physiology. ''Med Sci Monit''. 2010 Jan;16(1):BR17-23. [https://pubmed.ncbi.nlm.nih.gov/20037481/ 연결]</ref><ref>Georgiannakis A et al. RPE Cells Mitigate the Effects of Complement Attack by Endocytosis of C5b-9. ''J Immunol''. 2015 Oct 1;195(7):3382-9. [https://pubmed.ncbi.nlm.nih.gov/26324770/ 연결]</ref>. 이러한 C5 매개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망막 세포 퇴행의 진행을 늦추고 AMD에 이차적인 GA에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선천성 면역과 세포 사멸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는 보체 연쇄 작용 (cascade) 의 핵심 구성 요소인 C5의 분해를 억제한다. 보체 연쇄 작용에서 이 중요한 단계를 억제하면 초기 활성화 경로 (대체, 클래식 또는 렉틴) 에 관계없이 주요 말단 단편 (C5a 및 C5b) 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5a 단편은 인플라마좀 프라이밍 및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발열 및 세포 사멸로 이어질 수 있고<ref>Swanson KV et al. The NLRP3 inflammasome : molecular activation and regulation to therapeutics. ''Nat Rev Immunol''. 2019 Aug;19(8):477-489. [https://pubmed.ncbi.nlm.nih.gov/31036962/ 연결]</ref>, C5b는 막 공격 복합체 (C5b-9) 의 형성에 관여하여 세포 용해 및 세포 사멸로 이어질 수 있다<ref>Li W et al. Complement 5b-9 complex-induced alterations in human RPE cell physiology. ''Med Sci Monit''. 2010 Jan;16(1):BR17-23. [https://pubmed.ncbi.nlm.nih.gov/20037481/ 연결]</ref><ref>Georgiannakis A et al. RPE Cells Mitigate the Effects of Complement Attack by Endocytosis of C5b-9. ''J Immunol''. 2015 Oct 1;195(7):3382-9. [https://pubmed.ncbi.nlm.nih.gov/26324770/ 연결]</ref>. 이러한 C5 매개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망막 세포 퇴행의 진행을 늦추고 AMD에 이차적인 GA에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관련 연구 == | == 관련 연구 == | ||
=== GATHER1<ref name=r2 /> === | === GATHER1<ref name=r2 /> === | ||
AMD에 속발된 [[지도모양 위축]] (GA) 이 있는 2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2개월 동안의 평균 GA 성장률 (제곱근 변화) | AMD에 속발된 [[지도모양 위축]] (GA) 이 있는 2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2개월 동안의 평균 GA 성장률 (제곱근 변화) 은 위약군과 비교했을 때 ACP 2mg 군에서 27.4% (p=0.0072), 4mg 투여군에서 27.8% (p=0.0051) 감소하였으며, 두 군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ACP는 12개월간 매월 투여하면서 내약성이 양호했고, 관련된 이상 반응이나 염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중증 이상 반응과 안내염의 사례도 없었으며, 가장 흔한 안구 부작용은 주사 시술과 관련된 것이었다. | ||
=== GATHER2 === | === GATHER2 === | ||
두 번째 확인 3상 연구가 진행 중이다. | |||
{{참고}} | {{참고}} |
2023년 2월 10일 (금) 14:35 기준 최신판
아바신캅타드 페골 (avacincaptad pegol, ACP)[1] (Zimura, IVERIC bio Inc, New York, NY) 은 막 공격 복합체 형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항-C5 압타머 (aptamer) 이다.
기전[2]
선천성 면역과 세포 사멸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는 보체 연쇄 작용 (cascade) 의 핵심 구성 요소인 C5의 분해를 억제한다. 보체 연쇄 작용에서 이 중요한 단계를 억제하면 초기 활성화 경로 (대체, 클래식 또는 렉틴) 에 관계없이 주요 말단 단편 (C5a 및 C5b) 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5a 단편은 인플라마좀 프라이밍 및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발열 및 세포 사멸로 이어질 수 있고[3], C5b는 막 공격 복합체 (C5b-9) 의 형성에 관여하여 세포 용해 및 세포 사멸로 이어질 수 있다[4][5]. 이러한 C5 매개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망막 세포 퇴행의 진행을 늦추고 AMD에 이차적인 GA에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관련 연구
GATHER1[2]
AMD에 속발된 지도모양 위축 (GA) 이 있는 2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2개월 동안의 평균 GA 성장률 (제곱근 변화) 은 위약군과 비교했을 때 ACP 2mg 군에서 27.4% (p=0.0072), 4mg 투여군에서 27.8% (p=0.0051) 감소하였으며, 두 군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ACP는 12개월간 매월 투여하면서 내약성이 양호했고, 관련된 이상 반응이나 염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중증 이상 반응과 안내염의 사례도 없었으며, 가장 흔한 안구 부작용은 주사 시술과 관련된 것이었다.
GATHER2
두 번째 확인 3상 연구가 진행 중이다.
참고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 ↑ 2.0 2.1 Jaffe GJ et al. C5 Inhibitor Avacincaptad Pegol for GA Due to AMD : A Randomized Pivotal P2/3 Trial. Ophthalmology. 2021 Apr;128(4):576-586. 연결
- ↑ Swanson KV et al. The NLRP3 inflammasome : molecular activation and regulation to therapeutics. Nat Rev Immunol. 2019 Aug;19(8):477-489. 연결
- ↑ Li W et al. Complement 5b-9 complex-induced alterations in human RPE cell physiology. Med Sci Monit. 2010 Jan;16(1):BR17-23. 연결
- ↑ Georgiannakis A et al. RPE Cells Mitigate the Effects of Complement Attack by Endocytosis of C5b-9. J Immunol. 2015 Oct 1;195(7):3382-9.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