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르프로마진: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백내장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CPZ는 원래 항히스타민 약물인 promethazine의 유도체로 처음 개발되었으나, 이 약물이 정신병 환자에서 신경 이완 효과 (neuroleptic effect) 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면서 항정신병 약물로 현재까지 널리 쓰이고 있다. | CPZ는 원래 항히스타민 약물인 promethazine의 유도체로 처음 개발되었으나, 이 약물이 정신병 환자에서 신경 이완 효과 (neuroleptic effect) 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면서 항정신병 약물로 현재까지 널리 쓰이고 있다. | ||
신경 이완 효과란 척추 반사나 무조건 회피 반응은 정상적으로 존재하면서 자발적 운동이나 복합적 행동이 억압되는 것으로 CPZ를 정상인이 투여했을 때는 별 효과가 없고 오히려 불쾌감이 일어나지만, 정신병 환자에서는 정신 활동이 둔화됨으로 공격적 강박 행위가 줄어들고 환각, 망상, 사고의 분산 및 불연속성 등 정신병 증상이 감소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 신경 이완 효과란 척추 반사나 무조건 회피 반응은 정상적으로 존재하면서 자발적 운동이나 복합적 행동이 억압되는 것으로 CPZ를 정상인이 투여했을 때는 별 효과가 없고 오히려 불쾌감이 일어나지만, 정신병 환자에서는 정신 활동이 둔화됨으로 공격적 강박 행위가 줄어들고 환각, 망상, 사고의 분산 및 불연속성 등 정신병 증상이 감소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ref>김형수 등, CPZ에 의한 각막 및 수정체 혼탁 2예, ''한안지'' 2002;43(11):2349-2353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5534 연결]</ref>. | ||
== 부작용 == | == 부작용 == | ||
안검을 비롯한 피부, 결막, 각막, 수정체, 전방각 그리고 망막에 색소 침착을 동반한 매체 혼탁이 유발될 수 있는데, 1964년 Greiner 등이 장기간 이 약제를 투여한 환자에 있어 각막과 수정체에 색소 침착이 일어나는 것을 처음 보고한 후 CPZ의 안과적 부작용에 대한 여러 연구가 이루어졌다. | |||
=== 백내장 === | === 백내장 === | ||
페노티아진과 벤조디아제핀 같은 항정신병 약물은 각막과 수정체의 전낭하에 멜라닌과 같은 색소가 침착되면서 동공 부위 전낭에 방사선상의 혼탁을 형성한다고 한다. 이러한 변화는 일부 가역적이긴 하지만 대부분 약물 중단 후에도 남아있게 된다<ref>Isaac NE et al. Exposure to phenothiazine drugs and risk of cataract. ''Arch Ophthalmol''. 1991 Feb;109(2):256-60. [https://pubmed.ncbi.nlm.nih.gov/1671548/ 연결]</ref>. | 페노티아진과 벤조디아제핀 같은 항정신병 약물은 각막과 수정체의 전낭하에 멜라닌과 같은 색소가 침착되면서 동공 부위 전낭에 방사선상의 혼탁을 형성한다고 한다. 이러한 변화는 일부 가역적이긴 하지만 대부분 약물 중단 후에도 남아있게 된다<ref>Isaac NE et al. Exposure to phenothiazine drugs and risk of cataract. ''Arch Ophthalmol''. 1991 Feb;109(2):256-60. [https://pubmed.ncbi.nlm.nih.gov/1671548/ 연결]</ref>. | ||
이렇게 색소 침착을 동반한 전낭하 백내장이 생기는 이유는 CPZ가 햇빛 즉 자외선에 대해 과민하게 반응하여 멜라닌 색소가 수정체 전낭 아래에 침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ef>Roberts JE et al. Exposure to bright light and the concurrent use of photosensitizing drugs. ''NEJM''. 1992 May 28;326(22):1500-1. [https://pubmed.ncbi.nlm.nih.gov/1574104/ 연결]</ref><ref>Taylor HR et al. Effect of UV radiation on cataract formation. ''NEJM''. 1988 Dec 1;319(22):1429-33. [https://pubmed.ncbi.nlm.nih.gov/3185661/ 연결]</ref>. 이에 대한 생화학적 연구에서는 CPZ의 높은 지용성으로 인해 약물이 수정체낭의 지질막과 결합하게 되고 그 결과로 Ca-ATPase의 불활성화가 일어나 수정체내에 Ca<sup>2+</sup>와 단백질이 응집하여 백내장이 발생될 수 있다고 하였고<ref>Kamei A et al. The relationship btw properties of antipsychotic drugs and cataract formation. ''Biol Pharm Bull''. 1994 Feb;17(2):237-42. [https://pubmed.ncbi.nlm.nih.gov/7911371/ 연결]</ref>, CPZ가 sodium pump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Na-K-ATPase의 활성도를 떨어뜨려 수정체내의 Na<sup>+</sup>과 Ca<sup>2+</sup> 농도는 올라가고 K<sup>+</sup>의 농도가 떨어짐으로써 백내장이 유발된다고 보기도 하였다<ref>Wilson CC et al. CPZ effects upon rabbit lens water and electrolyte balance. ''Exp Eye Res''. 1983 Apr;36(4):559-65. [https://pubmed.ncbi.nlm.nih.gov/6303824/ 연결]</ref>. | |||
또한 Roberts<ref>Roberts JE. The photodynamic effect of CPZ, promazine, and hematoporphyrin on lens protein. ''IOVS''. 1984 Jun;25(6):746-50. [https://pubmed.ncbi.nlm.nih.gov/6724844/ 연결]</ref>는 CPZ를 투여한 송아지의 수정체에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 단백질 광중합체화가 뚜렷이 증가하고, 히스티딘의 파괴가 일어나는 수정체 내 단백질 변화를 관찰하였다.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