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공막염 (scleritis) 은 공막의 염증성 질환으로 비임상적 수준에 머물거나 자가 치유되는 정도부터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파괴적인 과정을...)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공막염 (scleritis) 은 공막의 염증성 질환으로 비임상적 수준에 머물거나 자가 치유되는 정도부터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파괴적인 과정을 거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 '''공막염 (scleritis)''' 은 공막의 염증성 질환으로 비임상적 수준에 머물거나 자가 치유되는 정도부터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파괴적인 과정을 거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 ||
== 분류 == | == 분류 == | ||
* [[면역 관련 공막염]] : 원발성 및 속발성 혈관염을 포함한 면역 관련 질환에 의해 가장 흔히 발생한다. 특히 혈관염 등의 전신적인 자가면역질화 관련 공막 침범은 매우 심하고 급격히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 |||
* [[감염 공막염]] : 수술에 의해 발생하거나 인접한 안구 조직으로부터 국소적으로 전염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임상 양상은 비감염 공막염과 비슷하나 더 드물게 발생한다. | * [[감염 공막염]] : 수술에 의해 발생하거나 인접한 안구 조직으로부터 국소적으로 전염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임상 양상은 비감염 공막염과 비슷하나 더 드물게 발생한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원인이 되는 전신 질환을 진단하고 즉시 치료하여 장기적으로 발생 가능한 후유증을 예방하고 시력 저하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 | 원인이 되는 전신 질환을 진단하고 즉시 치료하여 장기적으로 발생 가능한 후유증을 예방하고 시력 저하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 | ||
{{참고|각막}} |
2021년 2월 5일 (금) 08:06 기준 최신판
공막염 (scleritis) 은 공막의 염증성 질환으로 비임상적 수준에 머물거나 자가 치유되는 정도부터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파괴적인 과정을 거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분류
- 면역 관련 공막염 : 원발성 및 속발성 혈관염을 포함한 면역 관련 질환에 의해 가장 흔히 발생한다. 특히 혈관염 등의 전신적인 자가면역질화 관련 공막 침범은 매우 심하고 급격히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 감염 공막염 : 수술에 의해 발생하거나 인접한 안구 조직으로부터 국소적으로 전염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임상 양상은 비감염 공막염과 비슷하나 더 드물게 발생한다.
비수술적 치료
원인이 되는 전신 질환을 진단하고 즉시 치료하여 장기적으로 발생 가능한 후유증을 예방하고 시력 저하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