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린 아이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흔들린 아이 증후군 (shaken baby syndrome) 는 심하게 흔들거나, 직접적인 눈 혹은 머리 외상, 흉부 외상 및 질식과 같은 학대를 받은 유아에서...)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흔들린 아이 증후군 (shaken baby syndrome) 는 심하게 흔들거나, 직접적인 눈 혹은 머리 외상, 흉부 외상 및 질식과 같은 학대를 받은 유아에서 발생되며, 경막하 혹은 지주막하 출혈, 혹은 대뇌 좌상과 함께 여러가지 | '''흔들린 아이 증후군 (shaken baby syndrome)'''{{망막}} 는 심하게 흔들거나, 직접적인 눈 혹은 머리 외상, 흉부 외상 및 질식과 같은 학대를 받은 유아에서 발생되며, 경막하 혹은 지주막하 출혈, 혹은 대뇌 좌상과 함께 여러가지 눈 소견이 동반될 수 있다. | ||
== 역학 == | == 역학 == | ||
눈 외상은 학대받은 어린이의 30~40%에서 발견된다<ref>Jensen AD et al. Ocular clues to child abuse.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71;8:270-2</ref>.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가장 흔하고 일관된 | 가장 흔하고 일관된 소견은 망막 출혈로서, 증례의 65~89%에서 볼 수 있고 망막의 모든 층에서 생긴다. 이러한 망막 출혈의 기전은 완전히 밝혀진 것은 아니나 가속-감속력과 망막 층간분리와 연관되어 있다<ref>Mian M et al. Shaken Baby Syndrome : a review. ''Fetal Pediatr Pathol''. 2015 Jun;34(3):169-75. [https://pubmed.ncbi.nlm.nih.gov/25616019/ 연결]</ref>. | ||
그 외 황반주위 주름, 면화반, 유두 부종 및 정맥 울혈 등의 소견이 나타날 수 있고, [[터슨 증후군]], [[푸르처 망막병증]] 혹은 [[망막 중심정맥 폐쇄]]와 유사하게 보이기도 한다. | |||
== 수술적 치료 == | == 수술적 치료 == | ||
망막 박리나 유리체 출혈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망막 재유착술 혹은 유리체 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다. | 망막 박리나 유리체 출혈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망막 재유착술 혹은 유리체 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다. | ||
== 예후 | == 예후 == | ||
황반 반흔, 유리체 출혈, 망막 박리, 약시로 인한 시력 상실과 두개내 출혈 등의 후유증이 있는 경우 예후가 불량하다. | 황반 반흔, 유리체 출혈, 망막 박리, 약시로 인한 시력 상실과 두개내 출혈 등의 후유증이 있는 경우 예후가 불량하다<ref>Harley RD. Ocular manifestations of child abuse.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80 Jan-Feb;17(1):5-13. [https://pubmed.ncbi.nlm.nih.gov/7365649/ 연결]</ref>. | ||
{{참고}} |
2022년 3월 17일 (목) 06:42 기준 최신판
흔들린 아이 증후군 (shaken baby syndrome)[1] 는 심하게 흔들거나, 직접적인 눈 혹은 머리 외상, 흉부 외상 및 질식과 같은 학대를 받은 유아에서 발생되며, 경막하 혹은 지주막하 출혈, 혹은 대뇌 좌상과 함께 여러가지 눈 소견이 동반될 수 있다.
역학
눈 외상은 학대받은 어린이의 30~40%에서 발견된다[2].
임상 소견
가장 흔하고 일관된 소견은 망막 출혈로서, 증례의 65~89%에서 볼 수 있고 망막의 모든 층에서 생긴다. 이러한 망막 출혈의 기전은 완전히 밝혀진 것은 아니나 가속-감속력과 망막 층간분리와 연관되어 있다[3].
그 외 황반주위 주름, 면화반, 유두 부종 및 정맥 울혈 등의 소견이 나타날 수 있고, 터슨 증후군, 푸르처 망막병증 혹은 망막 중심정맥 폐쇄와 유사하게 보이기도 한다.
수술적 치료
망막 박리나 유리체 출혈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망막 재유착술 혹은 유리체 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다.
예후
황반 반흔, 유리체 출혈, 망막 박리, 약시로 인한 시력 상실과 두개내 출혈 등의 후유증이 있는 경우 예후가 불량하다[4].
참고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 ↑ Jensen AD et al. Ocular clues to child abuse.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71;8:270-2
- ↑ Mian M et al. Shaken Baby Syndrome : a review. Fetal Pediatr Pathol. 2015 Jun;34(3):169-75. 연결
- ↑ Harley RD. Ocular manifestations of child abuse.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80 Jan-Feb;17(1):5-13.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