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섬모체 망막 동맥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 CRVO와 동반 ===
=== CRVO와 동반 ===
CLRAO 환자의 약 40%에서 [[망막 중심정맥 폐쇄]] (CRVO) 가 동반될 수 있으며, 망막 중심 정맥 폐쇄 환자의 약 5%에서 섬모체망막 동맥 폐쇄가 발견된다. 대부분 비허혈성이어서 시력 회복도 좋으 편이며 [[홍채 혈관 신생]]과 [[신생혈관 녹내장]]이 발생하는 일은 드물다. 약 70%의 환자에서 20/40 이상의 시력 회복을 보인다. 보통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CLRAO 환자의 약 40%에서 [[망막 중심정맥 폐쇄]] (CRVO) 가 동반될 수 있으며, [[망막 중심정맥 폐쇄|CRVO]] 환자의 약 5%에서 CLRAO가 발견된다<ref name=r5 /><ref name=r6>Fong AC et al. CRVO in young adults (papillophlebitis). ''Retina''. 1992;12(1):3-11. [https://pubmed.ncbi.nlm.nih.gov/1565869/ 연결]</ref>. 대부분 비허혈성이어서 시력 회복도 좋은 편이며 [[홍채 혈관 신생]]과 [[신생혈관 녹내장]]이 발생하는 일은 드물다<ref name=r5 />. 약 70%의 환자에서 20/40 이상의 시력 회복을 보인다<ref name=r5 />.


섬모체 망막 동맥 폐쇄와 망막 중심 정맥 폐쇄의 관련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망막 정맥계의 정수압이 증가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관류압이 낮은 섬모체 망막 동맥에서 울혈과 혈전 생성의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있으며, 동반된 시신경 유두의 부종이 섬모체망막 동맥의 단면적을 줄어들게 하여 혈류를 감소시킨다는 의견도 있다.
[[망막 중심정맥 폐쇄|CRVO]]에서 CLRAO가 발생하는 기전으로 망막 정맥계의 정수압이 증가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관류압이 낮은 [[섬모체 망막 동맥]]에서 울혈과 혈전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시신경 유두의 부종이 [[섬모체 망막 동맥]]의 단면적을 줄어들게 하여 혈류를 감소시킨다는 의견도 있다<ref name=r6 />.


=== AION과 동반 (15%) ===
=== AION과 동반 (15%) ===
섬모체망막 동맥 폐쇄와 [[앞허혈 시신경병증]]은 모두 뒤섬모체 동맥의 부전이므로 함께 발생하기도 한다. 15%에서 앞허혈 시신경병증이 동반된다. 시력 예후는 시신경 손상으로 인해 20/400에서 광각무까지 매우 불량하다. 망막 혼탁과 함께 창백하거나 충혈된 시신경 유두의 부종이 관찰되면 [[거대세포 동맥염]]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적혈구 침강 속도와 측두동맥 생검을 시행한다. 진단이 되면 반대편 눈에서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 전신적인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하여야 한다.
시력 예후는 시신경 손상으로 인해 20/400 에서 광각 소실까지 매우 불량하다<ref name=r5 />. 일반적으로 [[섬모체 망막 동맥]] 주행에 따른 표층 망막 혼탁과 동반되어 충혈되거나 창백한 시신경 유두 부종이 관찰된다. 급성의 창백한 부종은 [[거대세포 동맥염]] (GCA) 을 시사하며 이 경우 시력 예후는 더욱 불량하다. [[거대세포 동맥염|GCA]]는 뒤섬모체 동맥을 선택적으로 침범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앞허혈 시신경병증]]과 CLRAO가 동시에 발생한다<ref name=r7>Hayreh SS et al. BRAO : natural history of visual outcome. ''Ophthalmology''. 2009 Jun;116(6):1188-94.e1-4. [https://pubmed.ncbi.nlm.nih.gov/19376586/ 연결]</ref>.
 
전신 상태에 대한 평가는 [[망막 중심동맥 폐쇄|CRAO]]와 유사하다. 하지만 [[망막 중심정맥 폐쇄|CRVO]]와 동반된 CLRAO에서는 색전의 원인이 잘나타나지 않는다. [[거대세포 동맥염]]이 동반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통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안저 소견상 섬모체-망막 동맥의 주행을 따라 표층 망막 혼탁으로 관찰된다. 초기 시야 검사에서 주시점 맹점 암점 (cecocentral scotoma), 중심 암점 (central scotoma), 위 또는 아래 수평 결손이 나타난다<ref>Hayreh SS et al. BRAO : natural history of visual outcome. ''Ophthalmology''. 2009 Jun;116(6):1188-94.e1-4. [https://pubmed.ncbi.nlm.nih.gov/19376586/ 연결]</ref>.
안저 소견상 섬모체-망막 동맥의 주행을 따라 표층 망막 혼탁으로 관찰된다. 초기 시야 검사에서 주시점 맹점 암점 (cecocentral scotoma), 중심 암점 (central scotoma), 위 또는 아래 수평 결손이 나타난다<ref name=r7 />.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