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모체 망막 동맥 폐쇄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섬모체-망막 동맥 폐쇄 (cilioretinal artery occlusion, CLRAO)[1]

역학

전체 망막 동맥 폐쇄에서 5%를 차지한다[2].

원인

섬모체-망막 동맥은 관류압이 뒤섬모체동맥 순환 관류압에 의해 결정되어 망막 중심동맥의 관류압보다 낮아 허혈에 취약하다[3]. 색전, 혈전, 동맥경화판, 혈관염, 고혈압 동맥 괴사, 박리 동맥류 등 다양하며 전신 질환과의 관련성이 있다[4].

분류

단독 (40%)

섬모체 망막 동맥이 단독으로 폐쇄되면 이 동맥으로부터 혈액 공급을 받는 영역의 망막이 하얗게 혼탁된다. 시력 예후는 비교적 좋으며, 회복되면 90%에서 20/40 이상, 60%에서 20/20까지 시력을 회복한다[5]. 심지어 시신경 유두 황반 다발이 심하게 손상을 받았을 때에도 좋은 시력 예후를 보이는데, 이는 보존된 위, 아래 신경섬유층 다발이 황반부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보통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CRVO와 동반

CLRAO 환자의 약 40%에서 망막 중심정맥 폐쇄 (CRVO) 가 동반될 수 있으며, CRVO 환자의 약 5%에서 CLRAO가 발견된다[5][6]. 대부분 비허혈성이어서 시력 회복도 좋은 편이며 홍채 혈관 신생신생혈관 녹내장이 발생하는 일은 드물다[5]. 약 70%의 환자에서 20/40 이상의 시력 회복을 보인다[5].

CRVO에서 CLRAO가 발생하는 기전으로 망막 정맥계의 정수압이 증가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관류압이 낮은 섬모체 망막 동맥에서 울혈과 혈전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시신경 유두의 부종이 섬모체 망막 동맥의 단면적을 줄어들게 하여 혈류를 감소시킨다는 의견도 있다[6].

AION과 동반 (15%)

시력 예후는 시신경 손상으로 인해 20/400 에서 광각 소실까지 매우 불량하다[5]. 일반적으로 섬모체 망막 동맥 주행에 따른 표층 망막 혼탁과 동반되어 충혈되거나 창백한 시신경 유두 부종이 관찰된다. 급성의 창백한 부종은 거대세포 동맥염 (GCA) 을 시사하며 이 경우 시력 예후는 더욱 불량하다. GCA는 뒤섬모체 동맥을 선택적으로 침범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앞허혈 시신경병증과 CLRAO가 동시에 발생한다[7].

전신 상태에 대한 평가는 CRAO와 유사하다. 하지만 CRVO와 동반된 CLRAO에서는 색전의 원인이 잘나타나지 않는다. 거대세포 동맥염이 동반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통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임상 소견

안저 소견상 섬모체-망막 동맥의 주행을 따라 표층 망막 혼탁으로 관찰된다. 초기 시야 검사에서 주시점 맹점 암점 (cecocentral scotoma), 중심 암점 (central scotoma), 위 또는 아래 수평 결손이 나타난다[7].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Brown GC et al. Acute obstruction of the retinal and choroidal circulations. Ophthalmology. 1986 Nov;93(11):1373-82. 연결
  3. Lee MJ et al. Isolated CLRAO in PXS : A case report. JKOS 2006;47:1686-90
  4. Song YM et al. A study of the cilioretinal artery in Korean. JKOS 1981;22:363-6
  5. 5.0 5.1 5.2 5.3 5.4 Brown GC et al. Cilioretinal artery obstruction. Retina. 1983;3(3):182-7. 연결
  6. 6.0 6.1 Fong AC et al. CRVO in young adults (papillophlebitis). Retina. 1992;12(1):3-11. 연결
  7. 7.0 7.1 Hayreh SS et al. BRAO : natural history of visual outcome. Ophthalmology. 2009 Jun;116(6):1188-94.e1-4.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