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대상포진: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대상포진 | '''눈 대상포진 (herpes zoster ophthalmicus, HZO)'''{{각막}} 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VZV) 의 3차 신경절을 통한 재활성화를 가리킨다. | ||
== 역학 == | |||
대상포진의 10~20%가 눈 가지를 침범하고 이 중 20~70% 가 눈 증상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눈 침범은 나이, 성별, 피부 병변의 중증도와는 관계가 없다. | |||
== 병인 == | == 병인 == | ||
[[삼차신경|5번 뇌신경]]의 | [[삼차신경|5번 뇌신경]]의 3개 가지 (눈, 위턱, 아래턱) 중 눈 가지가 가장 흔하게 침범된다<ref>Hope-Simpson RE. The Nature of Herpes Zoster : A Long-term Study and a New Hypothesis. ''Proc R Soc Med''. 1965 Jan;58(1):9-20. [https://pubmed.ncbi.nlm.nih.gov/14267505/ 연결]</ref><ref>Weller TH. Varicella and herpes zoster. Changing concepts of the natural history, control, and importance of a not-so-benign virus. ''N Engl J Med''. 1983 Dec 8;309(23):1434-40. [https://pubmed.ncbi.nlm.nih.gov/6195526/ 연결]</ref>. 눈 가지는 코섬모체, 이마, 눈물샘 가지로 나누어지며, 이 중 이마 가지가 가장 흔하게 침범되고 눈물샘 가지가 가장 덜 침범된다<ref name=r4>Edgerton AE. HZO : Report of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Trans Am Ophthalmol Soc''. 1942;40:390-439. [https://pubmed.ncbi.nlm.nih.gov/16693295/ 연결]</ref>. 특히 이마 신경의 코섬모체 신경이 침범되면 이 신경이 분포하는 영역인 코, 결막, 공막, 각막, 홍채 및 포도막에 HZO의 대표적인 병변들이 생긴다. 피부 수포가 콧망울에 발생한 경우인 허친슨 징후는 코섬모체 신경 침범의 지표로 이용된다<ref name=r4 /><ref name=r5>Cobo M et al. Observations on the natural history of HZO. ''Curr Eye Res''. 1987 Jan;6(1):195-9. [https://pubmed.ncbi.nlm.nih.gov/3493883/ 연결]</ref>. 코섬모체 신경을 침범한 경우 50~76% 에서 안구 한병증이 발생하고, 침범하지 않은 경우에는 34% 에서만 안구 합병증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ref name=r5 /><ref>Womack LW et al. Complications of HZO. ''Arch Ophthalmol''. 1983 Jan;101(1):42-5. [https://pubmed.ncbi.nlm.nih.gov/6600391/ 연결]</ref><ref>Harding SP et al. Natural history of HZO : predictors of postherpetic neuralgia and ocular involvement. ''BJO''. 1987 May;71(5):353-8. doi: 10.1136/bjo.71.5.353. [https://pubmed.ncbi.nlm.nih.gov/3495293/ 연결]</ref>. | ||
==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급성 대상포진 발작이 있기 1~4일 전 전구 증상을 보이는데 발열, 두통, 감각 저하, 몸살, 가려움증, 발적이나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감각신경 말단으로부터 바이러스가 나오면 반구진 발진 (maculopapular rash) 이 형성되고 물집으로 진행하는 데 약 24시간 정도 걸린다. 대표적인 피부 병변은 발적이나 물집이며 물집이 파열해 출혈성 병변이 생길 수도 있다. 대개 2~3주 정도 지난 후 급성기 병변은 소실되나 동통은 지속될 수 있는데 이를 대상포진 후 신경통 (postherpetic neuralgia) 이라고 한다<ref name=r4 />. | |||
[[삼차신경|5번 뇌신경]]의 첫 번째 분지인 이마신경의 코섬모체 신경이 가장 흔히 침범되며, 이 신경이 분포하는 영역인 코, 결막, 공막, 각막, 홍채, 맥락막이 대표적인 병변이 생기는 부위들이다. | |||
피부의 수포가 코끝에 발생하는 경우 허친슨 징후 (Hutchinson's sign) 라고 부르며, 잠재적인 안질환의 예측 인자로 이용된다. 허친슨 징후는 일반적으로 예후가 불량함을 의미하는데, 이는 광범위한 안내 신경 분포를 통해 안과적 후유증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ref>Harding SP et al. Natural history of HZO : predictors of postherpetic neuralgia and ocular involvement. ''BJO''. 1987 May;71(5):353-8. [https://pubmed.ncbi.nlm.nih.gov/3495293/ 연결]</ref><ref>Liesegang TJ. HZV infection. ''Curr Opin Ophthalmol''. 2004 Dec;15(6):531-6. [https://pubmed.ncbi.nlm.nih.gov/15523199/ 연결]</ref>. | 피부의 수포가 코끝에 발생하는 경우 허친슨 징후 (Hutchinson's sign) 라고 부르며, 잠재적인 안질환의 예측 인자로 이용된다. 허친슨 징후는 일반적으로 예후가 불량함을 의미하는데, 이는 광범위한 안내 신경 분포를 통해 안과적 후유증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ref>Harding SP et al. Natural history of HZO : predictors of postherpetic neuralgia and ocular involvement. ''BJO''. 1987 May;71(5):353-8. [https://pubmed.ncbi.nlm.nih.gov/3495293/ 연결]</ref><ref>Liesegang TJ. HZV infection. ''Curr Opin Ophthalmol''. 2004 Dec;15(6):531-6. [https://pubmed.ncbi.nlm.nih.gov/15523199/ 연결]</ref>. | ||
=== 눈꺼풀 === | === 눈꺼풀 === | ||
| 13번째 줄: | 19번째 줄: | ||
상공막염, 전부 공막염 또는 후부 공막염의 양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HZO의 밠애 급성기에 생기기도 하고, 피부 수포가 사라지고 수개월이 지나 발생할 수도 있다. 상공막염은 대개 초기에 발견되며, 수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공막염은 광범위한 앞쪽 부분이나 결절을 나타내나, 윤부를 침범하여 가장자리 윤부 혈관염으로 보일 수도 있다. 만성 공막염으로 진행되는 경우 공막이 앓아지거나 포도종이 형성될 수 있다. | 상공막염, 전부 공막염 또는 후부 공막염의 양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HZO의 밠애 급성기에 생기기도 하고, 피부 수포가 사라지고 수개월이 지나 발생할 수도 있다. 상공막염은 대개 초기에 발견되며, 수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공막염은 광범위한 앞쪽 부분이나 결절을 나타내나, 윤부를 침범하여 가장자리 윤부 혈관염으로 보일 수도 있다. 만성 공막염으로 진행되는 경우 공막이 앓아지거나 포도종이 형성될 수 있다. | ||
=== 각막 === | === 각막 === | ||
각막에서는 매우 다양한 병변이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각막에 나타나는 병변의 약 2/3는 급성기에 발생한다. 각막 소견은 점상 상피 각막염, 초기의 거짓가지모양 병변, 앞쪽의 기질 침윤, 공각막염, 각막포도막염/내피염, 뱀모양 궤양, 신경영양 각막염과 노출 각막염 등이다<ref>Marsh RJ. Herpes zoster keratitis.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73;93(0):181-92. [https://pubmed.ncbi.nlm.nih.gov/4546383/ 연결]</ref><ref>Marsh RJ et al. Ophthalmic herpes zoster. ''Eye (Lond)''. 1993;7 (Pt 3):350-70. [https://pubmed.ncbi.nlm.nih.gov/8224290/ 연결]</ref><ref | 각막에서는 매우 다양한 병변이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각막에 나타나는 병변의 약 2/3는 급성기에 발생한다. 각막 소견은 점상 상피 각막염, 초기의 거짓가지모양 병변, 앞쪽의 기질 침윤, 공각막염, 각막포도막염/내피염, 뱀모양 궤양, 신경영양 각막염과 노출 각막염 등이다<ref>Marsh RJ. Herpes zoster keratitis.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73;93(0):181-92. [https://pubmed.ncbi.nlm.nih.gov/4546383/ 연결]</ref><ref>Marsh RJ et al. Ophthalmic herpes zoster. ''Eye (Lond)''. 1993;7 (Pt 3):350-70. [https://pubmed.ncbi.nlm.nih.gov/8224290/ 연결]</ref><ref>Cobo LM. Corneal complications of HZO. Prevention and treatment. ''Cornea''. 1988;7(1):50-6. [https://pubmed.ncbi.nlm.nih.gov/3258220/ 연결]</ref>.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표. HZO에서 나타나는 각막의 변화 | |+표. HZO에서 나타나는 각막의 변화 | ||
| 45번째 줄: | 51번째 줄: | ||
=== 포도막 === | === 포도막 === | ||
포도막염은 대부분의 각막염과 동반된다. 그러나 | 포도막염은 대부분의 각막염과 동반된다. 그러나 이러한 각막 포도막염 형태의 대상포진은 가장 치료가 어렵다. HZO의 약 40%는 전부 포도막염을 동반하며, 염증은 특징적으로 심한 각막 후면 침착물, 각막 부종, 후면 유착을 동반한다<ref>Edgerton AE. HZO : Report of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Trans Am Ophthalmol Soc''. 1942;40:390-43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315060/ 연결]</ref><ref name=r5 />. 덜 빈번하지만 각막염 없이 발생하기도 하며, 급성기를 지나고 수개월 후에 발생하기도 한다. 모든 경우에서 섬한 눈부심, 충혈, 각막 부종, 홍채의 울혈과 전방염증이 동반된다 심한 전방염증으로 전방 축농이나 울혈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통반된 안압 상승 등으로 결국 내피세포 부전에 빠지기도 한다. 대상포진 홍채염은 허혈성 폐쇄성 혈관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섬한 섬모체염증, 분절성 홍채의 왜곡이나 위축이 나타나기도 한다. 결국 저안압성 섬모체염막 (hypotony cyclitic membrane) 의 형성, 그리고 안구 위축 등도 동반될 수 있다. | ||
== 약물 치료 == | == 약물 치료 == | ||
치료 목표는 회복을 가속화하고 통증을 경감하며, 치료 기간을 줄이고 합병증을 막으며, 병의 전신적 파종을 막는 것이다. 정상 면역 기능을 가진 환자의 국소 대상포진에 사용한 경구용 항바이러스 제제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 치료 목표는 회복을 가속화하고 통증을 경감하며, 치료 기간을 줄이고 합병증을 막으며, 병의 전신적 파종을 막는 것이다. 정상 면역 기능을 가진 환자의 국소 대상포진에 사용한 경구용 항바이러스 제제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 ||
===경구 [[아시클로버]] (800mg×5/일×7~10일) === | ===경구 [[아시클로버]] (800mg×5/일×7~10일) === | ||
몇몇 위약 대조군 연구에 따르면 [[아시클로버]] 800mg을 5/일 매일 복용하면 바이러스 배출 (shedding) 이 줄어들고 통증 정도가 경감되며, 치유가 빨라진다고 보고하였다<ref>Huff JC et al. Therapy of herpes zoster w oral acyclovir. ''Am J Med''. 1988 Aug 29;85(2A):84-9. [https://pubmed.ncbi.nlm.nih.gov/3044099/ 연결]</ref><ref>Morton P et al. Oral acyclovir in the treatment of herpes zoster in general practice. ''N Z Med J''. 1989 Mar 8;102(863):93-5. [https://pubmed.ncbi.nlm.nih.gov/2648213/ 연결]</ref>. 또한 상공막염, 홍채염, 기질 각막염의 빈도가 줄어든다는 보고도 있다<ref>Cobo LM et al. Oral acyclovir in the therapy of acute HZO. An interim report. ''Ophthalmology''. 1985 Nov;92(11):1574-83. [https://pubmed.ncbi.nlm.nih.gov/3001610/ 연결]</ref>. 하지만 가장 두려운 합병증인 시신경병증, 망막 침범, 유리체염 등을 줄이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한 근거가 | 몇몇 위약 대조군 연구에 따르면 [[아시클로버]] 800mg을 5/일 매일 복용하면 바이러스 배출 (shedding) 이 줄어들고 통증 정도가 경감되며, 치유가 빨라진다고 보고하였다<ref name=r7>Huff JC et al. Therapy of herpes zoster w oral acyclovir. ''Am J Med''. 1988 Aug 29;85(2A):84-9. [https://pubmed.ncbi.nlm.nih.gov/3044099/ 연결]</ref><ref name=r8>Morton P et al. Oral acyclovir in the treatment of herpes zoster in general practice. ''N Z Med J''. 1989 Mar 8;102(863):93-5. [https://pubmed.ncbi.nlm.nih.gov/2648213/ 연결]</ref><ref name=r9>McKendrick MW et al. Oral acyclovir in acute herpes zoster. ''Br Med J (Clin Res Ed)''. 1986 Dec 13;293(6561):1529-32. [https://pubmed.ncbi.nlm.nih.gov/3099943/ 연결]</ref>. 또한 상공막염, 홍채염, 기질 각막염의 빈도가 줄어든다는 보고도 있다<ref>Cobo LM et al. Oral acyclovir in the therapy of acute HZO. An interim report. ''Ophthalmology''. 1985 Nov;92(11):1574-83. [https://pubmed.ncbi.nlm.nih.gov/3001610/ 연결]</ref>. 하지만 가장 두려운 합병증인 시신경병증, 망막 침범, 유리체염 등을 줄이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한 근거가 없다<ref name=r7 /><ref name=r8 /><ref name=r9 />. | ||
예방적인 장기간의 경구 [[아시클로버]] 복용이 장기 이식을 받은 경우나 지연성 VZV 감염이 있는 경우에 도움이 된다고 하며, 면역 기능이 정상인 경우에도 발진이 시작된 지 72시간 이내에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고 한다<ref>Nikkels AF et al. Oral antivirals revisited in the treatment of herpes zoster : what do they accomplish? ''Am J Clin Dermatol''. 2002;3(9):591-8. [https://pubmed.ncbi.nlm.nih.gov/12444801/ 연결]</ref>. | 예방적인 장기간의 경구 [[아시클로버]] 복용이 장기 이식을 받은 경우나 지연성 VZV 감염이 있는 경우에 도움이 된다고 하며, 면역 기능이 정상인 경우에도 발진이 시작된 지 72시간 이내에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고 한다<ref>Nikkels AF et al. Oral antivirals revisited in the treatment of herpes zoster : what do they accomplish? ''Am J Clin Dermatol''. 2002;3(9):591-8. [https://pubmed.ncbi.nlm.nih.gov/12444801/ 연결]</re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