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눈 대상포진: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병인 ==
== 병인 ==
[[삼차신경|5번 뇌신경]]의 3개 가지 (눈,  위턱, 아래턱) 중 눈 가지가 가장 흔하게 침범된다<ref>Hope-Simpson RE. The Nature of Herpes Zoster : A Long-term Study and a New Hypothesis. ''Proc R Soc Med''. 1965 Jan;58(1):9-20. [https://pubmed.ncbi.nlm.nih.gov/14267505/ 연결]</ref><ref>Weller TH. Varicella and herpes zoster. Changing concepts of the natural history, control, and importance of a not-so-benign virus. ''N Engl J Med''. 1983 Dec 8;309(23):1434-40. [https://pubmed.ncbi.nlm.nih.gov/6195526/ 연결]</ref>. 눈 가지는 코섬모체, 이마, 눈물샘 가지로 나누어지며, 이 중 이마 가지가 가장 흔하게 침범되고 눈물샘 가지가 가장 덜 침범된다<ref name=r4>Edgerton AE. HZO : Report of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Trans Am Ophthalmol Soc''. 1942;40:390-439. [https://pubmed.ncbi.nlm.nih.gov/16693295/ 연결]</ref>. 특히  이마 신경의 코섬모체 신경이 침범되면 이 신경이 분포하는 영역인 코, 결막, 공막, 각막, 홍채 및 포도막에 HZO의 대표적인 병변들이 생긴다. 피부 수포가 콧망울에 발생한 경우인 허친슨 징후는 코섬모체 신경 침범의  지표로 이용된다<ref name=r4 />91. 코섬모체 신경을 침범한 경우 50~76% 에서 안구 한병증이 발생하고, 침범하지 않은 경우에는 34% 에서만 안구 합병증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91-93.
[[삼차신경|5번 뇌신경]]의 3개 가지 (눈,  위턱, 아래턱) 중 눈 가지가 가장 흔하게 침범된다<ref>Hope-Simpson RE. The Nature of Herpes Zoster : A Long-term Study and a New Hypothesis. ''Proc R Soc Med''. 1965 Jan;58(1):9-20. [https://pubmed.ncbi.nlm.nih.gov/14267505/ 연결]</ref><ref>Weller TH. Varicella and herpes zoster. Changing concepts of the natural history, control, and importance of a not-so-benign virus. ''N Engl J Med''. 1983 Dec 8;309(23):1434-40. [https://pubmed.ncbi.nlm.nih.gov/6195526/ 연결]</ref>. 눈 가지는 코섬모체, 이마, 눈물샘 가지로 나누어지며, 이 중 이마 가지가 가장 흔하게 침범되고 눈물샘 가지가 가장 덜 침범된다<ref name=r4>Edgerton AE. HZO : Report of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Trans Am Ophthalmol Soc''. 1942;40:390-439. [https://pubmed.ncbi.nlm.nih.gov/16693295/ 연결]</ref>. 특히  이마 신경의 코섬모체 신경이 침범되면 이 신경이 분포하는 영역인 코, 결막, 공막, 각막, 홍채 및 포도막에 HZO의 대표적인 병변들이 생긴다. 피부 수포가 콧망울에 발생한 경우인 허친슨 징후는 코섬모체 신경 침범의  지표로 이용된다<ref name=r4 /><ref name=r5>Cobo M et al. Observations on the natural history of HZO. ''Curr Eye Res''. 1987 Jan;6(1):195-9. [https://pubmed.ncbi.nlm.nih.gov/3493883/ 연결]</ref>. 코섬모체 신경을 침범한 경우 50~76% 에서 안구 한병증이 발생하고, 침범하지 않은 경우에는 34% 에서만 안구 합병증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ref name=r5 /><ref>Womack LW et al. Complications of HZO. ''Arch Ophthalmol''. 1983 Jan;101(1):42-5. [https://pubmed.ncbi.nlm.nih.gov/6600391/ 연결]</ref><ref>Harding SP et al. Natural history of HZO : predictors of postherpetic neuralgia and ocular involvement. ''BJO''. 1987 May;71(5):353-8. doi: 10.1136/bjo.71.5.353. [https://pubmed.ncbi.nlm.nih.gov/3495293/ 연결]</ref>.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19번째 줄: 19번째 줄:
상공막염, 전부 공막염 또는 후부 공막염의 양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HZO의 밠애 급성기에 생기기도 하고, 피부 수포가 사라지고 수개월이 지나 발생할 수도 있다. 상공막염은 대개 초기에 발견되며, 수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공막염은 광범위한 앞쪽 부분이나 결절을 나타내나, 윤부를 침범하여 가장자리 윤부 혈관염으로 보일 수도 있다. 만성 공막염으로 진행되는 경우 공막이 앓아지거나 포도종이 형성될 수 있다.
상공막염, 전부 공막염 또는 후부 공막염의 양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HZO의 밠애 급성기에 생기기도 하고, 피부 수포가 사라지고 수개월이 지나 발생할 수도 있다. 상공막염은 대개 초기에 발견되며, 수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공막염은 광범위한 앞쪽 부분이나 결절을 나타내나, 윤부를 침범하여 가장자리 윤부 혈관염으로 보일 수도 있다. 만성 공막염으로 진행되는 경우 공막이 앓아지거나 포도종이 형성될 수 있다.
=== 각막 ===
=== 각막 ===
각막에서는 매우 다양한 병변이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각막에 나타나는 병변의 약 2/3는 급성기에 발생한다. 각막 소견은 점상 상피 각막염, 초기의 거짓가지모양 병변, 앞쪽의 기질 침윤, 공각막염, 각막포도막염/내피염, 뱀모양 궤양, 신경영양 각막염과 노출 각막염 등이다<ref>Marsh RJ. Herpes zoster keratitis.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73;93(0):181-92. [https://pubmed.ncbi.nlm.nih.gov/4546383/ 연결]</ref><ref>Marsh RJ et al. Ophthalmic herpes zoster. ''Eye (Lond)''. 1993;7 (Pt 3):350-70. [https://pubmed.ncbi.nlm.nih.gov/8224290/ 연결]</ref><ref name=r5>Cobo LM. Corneal complications of HZO. Prevention and treatment. ''Cornea''. 1988;7(1):50-6. [https://pubmed.ncbi.nlm.nih.gov/3258220/ 연결]</ref>.
각막에서는 매우 다양한 병변이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각막에 나타나는 병변의 약 2/3는 급성기에 발생한다. 각막 소견은 점상 상피 각막염, 초기의 거짓가지모양 병변, 앞쪽의 기질 침윤, 공각막염, 각막포도막염/내피염, 뱀모양 궤양, 신경영양 각막염과 노출 각막염 등이다<ref>Marsh RJ. Herpes zoster keratitis.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73;93(0):181-92. [https://pubmed.ncbi.nlm.nih.gov/4546383/ 연결]</ref><ref>Marsh RJ et al. Ophthalmic herpes zoster. ''Eye (Lond)''. 1993;7 (Pt 3):350-70. [https://pubmed.ncbi.nlm.nih.gov/8224290/ 연결]</ref><ref>Cobo LM. Corneal complications of HZO. Prevention and treatment. ''Cornea''. 1988;7(1):50-6. [https://pubmed.ncbi.nlm.nih.gov/3258220/ 연결]</ref>.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HZO에서 나타나는 각막의 변화
|+표. HZO에서 나타나는 각막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