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난점 E 검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b>난점 E 검사 (random dot E test)</b> 는 편광 필터와 random dot stereogram을 조합한 검사법으로 한 눈 단서가 거의 없어 소아들의 입체시 집단 검진...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난점 E 검사 (random dot E test)</b> 는 편광 필터와 random dot stereogram을 조합한 검사법으로 한 눈 단서가 거의 없어 소아들의 입체시 집단 검진에 사용되며 검사 거리에 따라 입체시차도가 달라진다.
'''난점 E 검사 (random dot E test)'''{{사시}} 는 편광 필터와 random dot stereogram을 조합한 검사법으로 한 눈 단서가 거의 없어 소아들의 입체시 집단 검진에 사용되며 검사 거리에 따라 입체시차도가 달라진다.
== 검사 방법 ==
== 검사 방법 ==
# 보통 50cm 거리에서 편광 안경을 착용하고 검사한다.
# 보통 50cm 거리에서 편광 안경을 착용하고 검사한다.
6번째 줄: 6번째 줄:
== 결과의 해석 ==
== 결과의 해석 ==
50cm 거리에서는 504초의 입체시차도를 판정할 수 있으며 거리를 멀리하여 5m 에서는 50초의 시차도까지 판정할 수 있다.
50cm 거리에서는 504초의 입체시차도를 판정할 수 있으며 거리를 멀리하여 5m 에서는 50초의 시차도까지 판정할 수 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