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점 E 검사

난점 E 검사 (random dot E test)[1] 는 편광 필터와 random dot stereogram을 조합한 검사법으로 한 눈 단서가 거의 없어 소아들의 입체시 집단 검진에 사용되며 검사 거리에 따라 입체시차도가 달라진다.

검사 방법

  1. 보통 50cm 거리에서 편광 안경을 착용하고 검사한다.
  2. 입체시 능력이 없어도 보이는 E자가 들어 있는 편광 카드 한 장을 보여주고 E자를 확인시킨다.
  3. 입체상 없이 난수점으로만 구성된 설명용 카드 한 장과 E자 입체 그림이 있는 편광 카드 한 장을 양손에 들고 어느쪽에 E자가 있는지 물어본다.

결과의 해석

50cm 거리에서는 504초의 입체시차도를 판정할 수 있으며 거리를 멀리하여 5m 에서는 50초의 시차도까지 판정할 수 있다.

참고

  1. 최신 사시학 5판, 2024 (한국 사시 소사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