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봉합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 견사 (비흡수사, 꼰섬유, 자연 재료) : 보통 자연 견사에 왁스나 실리콘칠을 한 것을 사용하는데, 비흡수사임에도 불구하고 조직 반응이 상당하다.
* 견사 (비흡수사, 꼰섬유, 자연 재료) : 보통 자연 견사에 왁스나 실리콘칠을 한 것을 사용하는데, 비흡수사임에도 불구하고 조직 반응이 상당하다.
* polyamide (비흡수사, 단섬유, 합성 재료) : 조직 반응이 가장 적으며, 비흡수사이지만 전체 무게의 약 5%까지 흡수된다. 매듭을 확실히 지어야 한다. <b>Nylon</b>, Ethilon<sup>®</sup>, Dermalon<sup>®</sup>, Surgilon<sup>®</sup> 등으로 생산된다.
* polyamide (비흡수사, 단섬유, 합성 재료) : 조직 반응이 가장 적으며, 비흡수사이지만 전체 무게의 약 5%까지 흡수된다. 매듭을 확실히 지어야 한다. <b>Nylon</b>, Ethilon<sup>®</sup>, Dermalon<sup>®</sup>, Surgilon<sup>®</sup> 등으로 생산된다.
* polypropylene
* polypropylene : Polypropylene, <b>Prolene<sup>®</sup></b> 등으로 판매되며 조직 반응이 매우 적으면서 방수에 의해 분해되지 않으므로 이차 인공수정체 삽입술에서 가장 안전한 봉합사이다. 마찰 계수가 낮아 확실한 매듭이 요구된다.
* polyester (비흡수사, 단섬유 또는 꼰섬유, 합성 재료) : 강도가 가장 강하며, 마찰 계수가 높아 매듭이 잘 유지된다. Ethibond<sup>®</sup>, Mersilene<sup>®</sup> 등으로 출시된다.
* polyester (비흡수사, 단섬유 또는 꼰섬유, 합성 재료) : 강도가 가장 강하며, 마찰 계수가 높아 매듭이 잘 유지된다. Ethibond<sup>®</sup>, Mersilene<sup>®</sup> 등으로 출시된다.
== 굵기 ==
USP (United States Pharmaceutical) 기준으로 나타내는데, 이는 catgut과 철사 그리고 그 외 나머지 봉합사로 구분되어 그 규격이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면 5-0 봉합사의 굵기는 대략 1mm 정도이고, 6-0는 0.7mm, 그리고 10-0는 0.2mm 정도이다. 봉합사의 굵기 결정은 봉합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얇은 것으로 하는 것이 봉합 자체에 의한 흉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정해진 규칙은 없지만 피부 봉합에는 6-0 나 7-0 정도가, 그리고 장력이 많이 걸리는 부분에는 4-0 나 5-0 정도가 적당하다.
== 봉합침의 종류 ==
봉합침 (needle) 은 침의 형태, 크기, 봉합침 끝부분의 단면 모양에 따라 구분한다.
=== 침의 형태 ===
3/8, 1/2, 1/4 circle 이 있는데 3/8 circle 이 가장 많이 쓰이는 형태이나 눈물 주머니 점막편의 봉합이나 가쪽 눈구석 성형술과 같이 좁은 공간에서 봉합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1/2 circle 이 유용하다.
=== 침의 크기 ===
봉합을 하였을 때 반대편으로 침의 끝이 충분히 나오는 정도가 좋으며 대부분 봉합사의 굵기에 비례하여 커진다.
=== 침 끝부분의 단면 모양 ===
봉합침의 생김새와 끝부분의 단면 모양에 따라 봉합침이 얼마나 쉽게 조직을 통과하는지가 결정되는데, 성형안과 수술에서 많이 사용되는 봉합침의 단면 모양은 네 가지 형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 taper 형 : 봉합침 끝의 뾰족한 부분을 제외하면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기 때문에 봉합사가 통과할 때 조직 손상이 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