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카보머: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종류
잔글 장점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카보머 (carbomer)
'''카보머 (carbomer)''' 수지 (-910, -934, -940, -941, -962) 는 구조적으로 polyalkenyl polyether와 가교 결합된 고분자 화합물로 폴리아크릴산의 중합체이다<ref>이종훈 등, 건성안 환자에서 카보머 점안겔이 안구 표면에 미치는 임상 효과, ''한안지'' 2024;65(1):9-1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875 연결]</ref>.  [[CMC|셀룰로오스]] 또는 [[히알루론산]]의 눈물약 성분에 비해 안구표면 체류 시간이 길며 수분을 끌어당기고 유지하는 능력이 탁월해 안구 표면의 윤활 작용과 눈물층의 질을 향상시키는 안구 윤활제의 주요한 성분으로 인정되고 있다<ref>Leibowitz HM et al. Gel tears. A new medication for the treatment of dry eyes. ''Ophthalmology''. 1984 Oct;91(10):1199-204. [https://pubmed.ncbi.nlm.nih.gov/6392979/ 연결]</ref>.
== 효과 ==
카보머는 상대 분자량이 4×106인 수용성 고분자 수지이며, 폴리아크릴산 젤은 눈물 필름이 눈과 오랫동안 접촉되도록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al-Mansouri S et al. Lubrithal (Leo viscous eye gel), precorneal residence time in normal and dry eyes. ''Doc Ophthalmol''. 1994;88(2):187-94. [https://pubmed.ncbi.nlm.nih.gov/7781487/ 연결]</ref><ref>Wilson CG et al. Ocular contact time of a carbomer gel (GelTears) in humans. ''BJO''. 1998 Oct;82(10):1131-4. [https://pubmed.ncbi.nlm.nih.gov/9924298/ 연결]</ref>. 카보머 점안겔은 높은 용액 점도를 가지고 있어, 1% [[CMC]]에 비해 각막 접촉 시간이 유의하게 길다<ref>Xiao Q et al. A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efficacy of carbomer gel and CMC containing artificial tears in dry eyes. ''J Huazhong Univ Sci Technolog Med Sci''. 2008 Oct;28(5):592-5. [https://pubmed.ncbi.nlm.nih.gov/18846346/ 연결]</ref>. 이러한 긴 각막 접촉 시간은 손상된 각막 상피세포 위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눈의 표면 세포의 회복에 도움을 준다.
 
음이온성 폴리머는 수성 매질에서 중화되고 확장되어 3차원 젤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눈꺼풀의 깜빡임에 의해 점액 및 수성 성분이 방출되어 효과적으로 눈물막 안정성의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구성 ==
94%의 물, 0.2%의 카보머 그리고 1%의 중성 지방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각 구성 물질들은 눈물의 세 층을 대체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중성 지방은 증발을 억제하는 지질층을 보충하고, 물은 수성층의 부족을 줄여주고, 카보머는 점액에 결합하여 부착을 증가시킨다.
 
리포직 EDO 점안겔의 경우 방부제가 없으며, 버퍼 역할을 하는 disodium이 포함되어 있다.
== 종류 ==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12번째 줄: 21번째 줄:
|리포직 EDO 점안겔||0.6g||바슈헬스 코리아||
|리포직 EDO 점안겔||0.6g||바슈헬스 코리아||
|-
|-
|시카포스 겔||10g||넥스팜 코리아
|시카포스 겔||10g||넥스팜 코리아||
|-
|-
|시카 플루이드 점안겔||carbomer 2.5mg/g||10g||삼일 제약||
|시카 플루이드 점안겔||carbomer 2.5mg/g||10g||삼일 제약||
|}
|}
== 장점 ==
지질 성분의 윤활제에 비해 점도가 적어 시각적 흐림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며 끈적임이 없고 인간의 눈물막과 유사한 PH 및 삼투압을 가지고 있어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다<ref>Sullivan LJ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0.3% carbomer gel compared to placebo in patients w moderate-to-severe DES. Ophthalmology. 1997 Sep;104(9):1402-8. doi: 10.1016/s0161-6420(97)30124-9. PMID: 9307633.</ref>. 또한 각막에 오래 머무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하루에 4회 이하로 더 편리하게 투여가 가능할 뿐 아니라 이에 따른 순응도도 향상되어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 단점 ==
끈적거리는 느낌 또는 뿌옇게 보이는 느낌을 줄 수 있고, 보존제인 cetramide는 안구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