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라섹: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 단점 ==
== 단점 ==
실제로는 수술 후 통증과 상피 재생에 대한 예측도가 낮은 편이어서 수술 후 1일에 상피 결손 부위가 생기고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50%까지 발생할 수 있으며, 상피 재생을 촉진시키는 원리의 적용과 개선이 계속 필요한 상황이다.
실제로는 수술 후 통증과 상피 재생에 대한 예측도가 낮은 편이어서 수술 후 1일에 상피 결손 부위가 생기고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50%까지 발생할 수 있으며, 상피 재생을 촉진시키는 원리의 적용과 개선이 계속 필요한 상황이다.
== 도수 결정 ==
== 수술 방법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미토마이신 씨|mitomycin C]] (MMC) ===
|+표. 라섹의 계산 도표 (nomogram)
MMC는 각막 표면 절제에서 상처 치유 반응을 조절해서, 술 후 각막 혼탁 발생의 위험을 줄인다<ref>Teus MA et al. Mitomycin C in corneal refractive surgery. ''Surv Ophthalmol''. 2009 Jul-Aug;54(4):487-502. [https://pubmed.ncbi.nlm.nih.gov/19539836/ 연결]</ref>.
|-
 
!||18~20 ()||21~25||26~30||31~35||36~40||41~45||46~55||55~
== 절삭량 (도수) 결정 ==
|-
[[라섹/절삭량]] 참고
|0~1 (D)|| -4 (%)||-4||-4||-5||-6||-7||-7||-8
{{참고}}
|-
|1~2|| -4||-4||-4||-5||-6||-7||-7||-8
|-
|2~3|| -4||-4||-5||-5||-7||-8||-8||-8
|-
|3~4|| -5||-5||-5||-6||-7||-8||-8||-8
|-
|4~5|| -5||-5||-6||-6||-8||-8||-8||-9
|-
|5~6|| -5||-5||-6||-6||-8||-9||-9||-10
|}
{{참고|굴절교정|각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