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합조직 형성모종: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결합조직 형성모종 (desmoplastic trichilemmoma)'''{{성형안과}} 은 전형적인 모종의 특징과 함께 종양의 중앙부에 상피세포와 조밀한 섬유성 간...)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결합조직 형성모종 (desmoplastic trichilemmoma)'''{{성형안과}} 은 전형적인 모종의 특징과 함께 종양의 중앙부에 상피세포와 조밀한 섬유성 간질이 존재하는 모종의 비교적 드문 변형으로 1990년 Hunt<ref>Hunt SJ et al. Desmoplastic trichilemmoma : histologic variant resembling invasive carcinoma. ''J Cutan Pathol''. 1990 Feb;17(1):45-52. [https://pubmed.ncbi.nlm.nih.gov/2319039/ 연결]</ref>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 '''결합조직 형성모종 (desmoplastic trichilemmoma)'''{{성형안과}} 은 전형적인 모종의 특징과 함께 종양의 중앙부에 상피세포와 조밀한 섬유성 간질이 존재하는 모종의 비교적 드문 변형으로 1990년 Hunt<ref>Hunt SJ et al. Desmoplastic trichilemmoma : histologic variant resembling invasive carcinoma. ''J Cutan Pathol''. 1990 Feb;17(1):45-52. [https://pubmed.ncbi.nlm.nih.gov/2319039/ 연결]</ref>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 ||
== 임상 양상 == | == 임상 양상 == | ||
주로 40대 남자에서 단발성의 사마귀양 결절 또는 구진(papule)의 형태로 나타나며 크기는 대개 1cm 이하로 알려져 있다. 2 | 주로 40대 남자에서 단발성의 사마귀양 결절 또는 구진(papule)의 형태로 나타나며 크기는 대개 1cm 이하로 알려져 있다<ref>Kim YJ et al. A case of desmoplastic trichilemmoma. ''Korean J Dermatol'' 2001;39:237-9</ref><ref>Tellechea O et al. Desmoplastic trichilemmoma. ''Am J Dermatopathol''. 1992 Apr;14(2):107-4. [https://pubmed.ncbi.nlm.nih.gov/1373583/ 연결]</ref>. 안면부가 가장 흔히 발생하고 그 외에 목, 두피, 가슴 등에 발생할 수 있다. | ||
{{참고}} | {{참고}} |
2021년 7월 15일 (목) 07:13 기준 최신판
결합조직 형성모종 (desmoplastic trichilemmoma)[1] 은 전형적인 모종의 특징과 함께 종양의 중앙부에 상피세포와 조밀한 섬유성 간질이 존재하는 모종의 비교적 드문 변형으로 1990년 Hunt[2]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임상 양상
주로 40대 남자에서 단발성의 사마귀양 결절 또는 구진(papule)의 형태로 나타나며 크기는 대개 1cm 이하로 알려져 있다[3][4]. 안면부가 가장 흔히 발생하고 그 외에 목, 두피, 가슴 등에 발생할 수 있다.
참고
- ↑ 성형안과학 제 4판, 2022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 ↑ Hunt SJ et al. Desmoplastic trichilemmoma : histologic variant resembling invasive carcinoma. J Cutan Pathol. 1990 Feb;17(1):45-52. 연결
- ↑ Kim YJ et al. A case of desmoplastic trichilemmoma. Korean J Dermatol 2001;39:237-9
- ↑ Tellechea O et al. Desmoplastic trichilemmoma. Am J Dermatopathol. 1992 Apr;14(2):107-4.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