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허혈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FA |
잔글 →안과적 치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 | === FA === | ||
<span style='color:blue;'>조영제를 팔 정맥으로 주사 후 맥락막 및 망막 혈관에서 형광이 처음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이 지연</span>되는데 주사 놓는 위치와 주사 속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혈액 흐름 저하로 인하여 망막 동맥이 조영제로 찰 때 동맥 혈관 전체를 동시에 채우지 못하고 혈관의 주변부로 서서히 차 들어가는 양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 <span style='color:blue;'>조영제를 팔 정맥으로 주사 후 맥락막 및 망막 혈관에서 형광이 처음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이 지연</span>되는데 주사 놓는 위치와 주사 속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혈액 흐름 저하로 인하여 망막 동맥이 조영제로 찰 때 동맥 혈관 전체를 동시에 채우지 못하고 혈관의 주변부로 서서히 차 들어가는 양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 ||
| 57번째 줄: | 57번째 줄: | ||
== 치료 == | == 치료 == | ||
=== 안과적 치료 === | === 안과적 치료 === | ||
치료 목표는 전안부 염증 조절, 망막 허혈 | 치료 목표는 전안부 염증 조절, 망막 허혈 제거, 안압 상승 및 [[신생혈관 녹내장]] 조절이며, 치료는 여전히 어렵고 논란의 여지가 많다. 전방각이 열려 있는 홍채 혈관신생이나 후안부 혈관신생이 있으면서 FA에서 모세혈관 비관류가 관찰되면 망막의 대사 요구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범망막 광응고|PRP]]을 시도하기도 하는데 보통 응고반의 크기는 500㎛ 로 하고 1,500~2,000 회 시행한다.16-18 그러나 PRP를 시행해도 DMR 이나 CRVO 처럼 NVI가 잘 퇴화되지는 않으며 단지 36% 에서만 NVI 퇴화 소견이 보인다. 만약 전방각이 섬유혈관조직으로 막혀 있고 후안부 혈관신생이 없다면 녹내장 여과 수술을 고려하지 않는 한 PRP를 시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ref>Allen RC et al. Filtration surgery in the treatment of NVG. ''Ophthalmology''. 1982 Oct;89(10):1181-7. [https://pubmed.ncbi.nlm.nih.gov/6185899/ 연결]</ref>. | ||
안압을 낮추는 것은 안관류를 개선 하여 추가 손상을 막는 데 중요하며 [[신생혈관 녹내장|NVG]]에 의한 통증을 조절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주사가 신생혈관 녹내장 치료, 홍채 신생혈관 및 그와 관련된 합병증 치료 뿐 아니라 안허혈 증후군에 의한 황반부종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황반부종에 대하여 유리체 내 트리암시놀론 주사도 효과가 있다 는 보고가 있다<ref>Amselem L et al. Intravitreal bevacizumab (Avastin) injection in OIS. ''AJO''. 2007 Jul;144(1):122-4. [https://pubmed.ncbi.nlm.nih.gov/17601432/ 연결]</ref>. | 안압을 낮추는 것은 안관류를 개선 하여 추가 손상을 막는 데 중요하며 [[신생혈관 녹내장|NVG]]에 의한 통증을 조절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주사가 신생혈관 녹내장 치료, 홍채 신생혈관 및 그와 관련된 합병증 치료 뿐 아니라 안허혈 증후군에 의한 황반부종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황반부종에 대하여 유리체 내 트리암시놀론 주사도 효과가 있다 는 보고가 있다<ref>Amselem L et al. Intravitreal bevacizumab (Avastin) injection in OIS. ''AJO''. 2007 Jul;144(1):122-4. [https://pubmed.ncbi.nlm.nih.gov/17601432/ 연결]</re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