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광 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일광 망막병증 (solar retinopathy)'''{{망막}} 은 태양빛에 직, 간접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망막 손상이며, 다른 용어로 중심와-황반 망막염 (foveomacular retinitis), 일식 망막병증 (eclipse retinopathy), 일광 망막염 (solar retinitis) 등이 있다. | '''일광 망막병증 (solar retinopathy)'''{{망막}} 은 태양빛에 직, 간접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망막 손상이며, 다른 용어로 중심와-황반 망막염 (foveomacular retinitis), 일식 망막병증 (eclipse retinopathy), 일광 망막염 (solar retinitis) 등이 있다. | ||
== 기전 == | |||
맨눈으로 개기 일식을 관측하는 경우에는 광열 손상이 발생할수 있다. 일식으로 인해 주위가 어두워져 동공 직경이 7mm 정도로 확장된 상태에서 태양을 주시한 경우에는 망막 온도가 22℃ 가량 상승할 수 있으며 (망원경으로 태양을 관찰할 때 상승폭은 더욱 클 수 있다), 이것은 망막에 광응고를 일으킬 수 있는 역치를 넘어선다<ref>Mainster MA et al. Retinal-temperature increases produced by intense light sources. ''J Opt Soc Am''. 1970 Feb;60(2):264-70. [https://pubmed.ncbi.nlm.nih.gov/5416049/ 연결]</ref><ref>Sliney DH et al. Safety with lasers and other optical sources : a comprehensive handbook, New York: Plenum Press, 1980; 1035.</ref>. 그러나 이는 예외적인 경우이며, 맑은 날 정오에 정상적으로 축소된 약 3mm 직경의 동공을 통하여 잠깐동안 직접 태양을 바라보면 망막의 온도는 4℃ 가량 상승한다. 이는 광응고가 일어나기에는 턱없이 낮은 값이다<ref>Freedman J et al. FA in self-induced solar retinopathy. A case report. ''Can J Ophthalmol''. 1971 Apr;6(2):124-7. [https://pubmed.ncbi.nlm.nih.gov/5148217/ 연결]</ref>. 따라서 일상 생활에서 잠깐 태양을 바라보는 것으로 인해 광열 손상이 발생하지는 않으며, 대부분의 일광 망막병증은 광화학적 기전에 의해 발생한다.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 노출 시간의 증가 : 그러나 짧은 경우에서도 심한 병변을 볼 수 있고, 그 반대도 있다. | * 노출 시간의 증가 : 그러나 짧은 경우에서도 심한 병변을 볼 수 있고, 그 반대도 있다. | ||
| 10번째 줄: | 12번째 줄: | ||
* 축동, 모양체 경련 | * 축동, 모양체 경련 | ||
* 교정을 하지 않은 심한 굴절 이상 : 광선이 망막에 초점이 잘 맺혀지지 않기 때문에 정시안에 비해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 * 교정을 하지 않은 심한 굴절 이상 : 광선이 망막에 초점이 잘 맺혀지지 않기 때문에 정시안에 비해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보통 일광에 노출되고 1~4시간 후에 나타나며 시력저하, 변시증, 소시증,중심암점 혹은 1~7˚의 중심부근 암점, 색시증 (chromatopsia, 특히 적색시 erythropsia), 눈부심, 잔상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손상 후 시력은 0.1~0.5까지 감소될 수 있으나 정상인 경우 또한 존재하며, 대부분 6개월 내에 0.5~1.0 수준으로 회복된다. Kerr 등<ref>Kerr LM et al. Foveomacular retinitis. ''Arch Ophthalmol''. 1966 Oct;76(4):498-504. [https://pubmed.ncbi.nlm.nih.gov/5928138/ 연결]</ref>은 20/200 이하로 급성 시력 감퇴를 보인 환자의 시력 예후가 나쁘다고 보고했다. 시력 호전에도 불구하고 변시증이나 중심 혹은 중심주변 암점은 남을 수 있다. 시력 감퇴는 보통 양측으로 오지만, 흔히 우세안에서 심한 경향을 보인다. | |||
안저 소견은 다양하다. 보통 양측성이지만 일측성인 경우도 드물지 않다. 전형적인 병변은 회색륜으로 둘러싸인 작은 황색 반점으로, 노출 후 수 일 내에 중심와 혹은 중심와부근에 발견된다. 그러나 심하지 않은 경우에서는 변 화가 없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 |||
== 검사 | |||
== 검사 == | |||
* FA : 보통 정상이며 경한 황반하 망막 색소상피 결손 소견이 보일 수 있다. 형광의 누출은 초기에 나타날 수 있으나 드물다. 유일한 소견으로 수일 혹은 수주 후에 망막 색소상피 변화에 의한 작은 과형광 반점들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황반와의 엽황소에 가려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 * FA : 보통 정상이며 경한 황반하 망막 색소상피 결손 소견이 보일 수 있다. 형광의 누출은 초기에 나타날 수 있으나 드물다. 유일한 소견으로 수일 혹은 수주 후에 망막 색소상피 변화에 의한 작은 과형광 반점들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황반와의 엽황소에 가려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 ||
* OCT : | * OCT : 손상 초기에 중심와 전층에 걸친 고음영 반사를 보이며, 손상 후 수 개월에서 수 년까지 ellipsoid zone과 interdigitation zones의 망막외층에 경계가 명확한 저음영의 결손을 보인다<ref>권진영 등, SD-OCT로 진단한 급성 양안 일광 망막병증 1예, ''JKOS'' 2015;56(12):1974-197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577 연결]</ref>. | ||
== 예방 == | == 예방 == | ||
질환의 발생을 막기 위해 일식을 바라볼 때는 광필터 등의 적절한 보호 수단을 강구해야 하고, 무엇보다 직접 태양을 관찰할 때 생기는 위험성에 대한 교육이 우선되어야 한다. 태양을 직접 주시하지 않더라도 젊은 사람, 무수정체 혹은 인공수정체 환자는 화창한 날에 선박이나 스키를 탈 경우와 같은 밝은 주위 환경에서는 적절한 자외선 차단용 색안경을 착용하도록 주지시켜야 한다. | 질환의 발생을 막기 위해 일식을 바라볼 때는 광필터 등의 적절한 보호 수단을 강구해야 하고, 무엇보다 직접 태양을 관찰할 때 생기는 위험성에 대한 교육이 우선되어야 한다. 태양을 직접 주시하지 않더라도 젊은 사람, 무수정체 혹은 인공수정체 환자는 화창한 날에 선박이나 스키를 탈 경우와 같은 밝은 주위 환경에서는 적절한 자외선 차단용 색안경을 착용하도록 주지시켜야 한다. | ||
== | == 예방 == | ||
일식을 바라볼 때는 광필터 등의 적절한 기구를 이용해 눈을 보호해야 한다. 선글라스를 꼈다고 해서 태양을 직접 쳐다봐서는 안 되며, 오히려 선글라스로 인해 동공이 확장돼 태양광에 의한 손상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태양을 직접 주시하지 않더라도, 젊은 사람, 무수정체 혹은 인공수정체 환자는 화창한 날에 선박이나 스키를 탈 때와 같01 주위 환경이 밝은 상황에서는 적절한 자외선 차단용 색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따뜻한 기후, 운동, 혹은 감염으로 인해 체온이 올라갈 경우 일광 망막병증이 심해질 수 있다. | |||
== 치료 == | |||
스테로이드의 복용은 심한 시력 상실을 동반한 급성 병변의 치료에 사용되었지만, 대개 병변은 치료 없이도 자연적으로 좋아지기 때문에 치료 효과의 여부는 분명하지 않다.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