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라마드라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플라마드라이 (InflammaDry®)'''{{각막}} (Quidel, San Diego, CA, USA) 는 눈물 내 [[MMP-9]]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구이다.
'''인플라마드라이 (InflammaDry®)'''{{각막}} (Quidel, San Diego, CA, USA) 는 임상에서 눈물의 [[MMP-9]]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유일한 진단 장비이다.
{{외부사진
{{외부사진
|주소=https://www.labticianthea.com/wp-content/uploads/2019/05/InflammaDry-Testing-Kit-Large.jpg
|주소=https://www.labticianthea.com/wp-content/uploads/2019/05/InflammaDry-Testing-Kit-Large.jpg
}}
}}
== 측정 방법 ==
== 측정 방법 ==
# 하측 눈꺼풀 결막의 여러 위치에 검체 수집기 (sample collector) 의 끝을 수차례 접촉하여 눈물을 흡수시킨다.
# 하측 눈꺼풀 결막의 여러 위치에 검체 수집기 (sample collector) 의 끝을 수차례 접촉하여 눈물을 흡수시킨 후, 수집기의 플리스가 눈물에 충분히 젖어 반짝거리는 것을 확인한다.
# 검사 카세트에 조립 후 완충액 (buffer) 에 검체 수집기의 끝을 20초 동안 담근다.
# 검사 카세트에 조립 후 완충액 (buffer) 에 검체 수집기의 끝을 20초 동안 담근다.
# 보호 캡을 닫아 수평 표면에 10분간 평평하게 위치시킨 후, 검사창에 나타나는 빨간색 선의 진한 정도에 따라 판정한다.
# 보호 캡을 닫아 수평 표면에 10분간 평평하게 위치시킨 후, 검사창에 나타나는 빨간색 선의 진한 정도에 따라 판정한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출처=JKOS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387 연결]
|출처=JKOS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387 연결]
}}
}}
MMP-9 의 농도가 40 ng/mL 이상인 경우 양성의 결과가 나오며, 검사 결과 창에서 빨간 선의 선명도는 눈물 내 MMP-9의 농도와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검사 결과는 창에 나타나는 파란색 대조 선과 빨간색 결과 선으로 표시된다. 파란색의 대조 선이 나타난 경우 검사가 올바르게 시행되었다고 판단하고, 나타나지 않은 경우 검사가 잘못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MMP-9 의 농도가 40 ng/mL 이상인 경우 양성의 결과가 나오며, 검사 결과 창에서 빨간 선의 선명도는 눈물 내 MMP-9의 농도와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Messmer EM et al. MMP-9 Testing in D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Point-of-Care Immunoassay. ''Ophthalmology''. 2016 Nov;123(11):2300-2308. [https://pubmed.ncbi.nlm.nih.gov/27665213/ 연결]</ref>.
== 단점 ==
정량 검사가 아닌 정성 검사이기 때문에 검사 결과 창의 빨간 선이 선명하지 않은 경우 검사자 간 결과 해석이 상이할 수 있다<ref>Lanza NL et al. The MMP-9 Point-of-Care Test in Dry Eye. ''Ocul Surf''. 2016 Apr;14(2):189-95. [https://pubmed.ncbi.nlm.nih.gov/26850527/ 연결]</ref>.
{{참고}}
{{참고}}

2022년 4월 11일 (월) 16:28 기준 최신판

인플라마드라이 (InflammaDry®)[1] (Quidel, San Diego, CA, USA) 는 임상에서 눈물의 MMP-9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유일한 진단 장비이다.

{{{1}}}

측정 방법

  1. 하측 눈꺼풀 결막의 여러 위치에 검체 수집기 (sample collector) 의 끝을 수차례 접촉하여 눈물을 흡수시킨 후, 수집기의 플리스가 눈물에 충분히 젖어 반짝거리는 것을 확인한다.
  2. 검사 카세트에 조립 후 완충액 (buffer) 에 검체 수집기의 끝을 20초 동안 담근다.
  3. 보호 캡을 닫아 수평 표면에 10분간 평평하게 위치시킨 후, 검사창에 나타나는 빨간색 선의 진한 정도에 따라 판정한다.

판정[2]

  • 음성 (0등급)
  • trace (1등급)
  • 약양성 (2등급)
  • 양성 (3등급)
  • 강양성 (4등급)
{{{1}}}

검사 결과는 창에 나타나는 파란색 대조 선과 빨간색 결과 선으로 표시된다. 파란색의 대조 선이 나타난 경우 검사가 올바르게 시행되었다고 판단하고, 나타나지 않은 경우 검사가 잘못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MMP-9 의 농도가 40 ng/mL 이상인 경우 양성의 결과가 나오며, 검사 결과 창에서 빨간 선의 선명도는 눈물 내 MMP-9의 농도와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단점

정량 검사가 아닌 정성 검사이기 때문에 검사 결과 창의 빨간 선이 선명하지 않은 경우 검사자 간 결과 해석이 상이할 수 있다[4].

참고

  1.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
  2. Park JY et al. MMP-9 Point-of-Care Immunoassay Result Predicts Response to Topical Cyclosporine Treatment in DES. Transl Vis Sci Technol. 2018 Oct 29;7(5):31. 연결
  3. Messmer EM et al. MMP-9 Testing in D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Point-of-Care Immunoassay. Ophthalmology. 2016 Nov;123(11):2300-2308. 연결
  4. Lanza NL et al. The MMP-9 Point-of-Care Test in Dry Eye. Ocul Surf. 2016 Apr;14(2):189-95.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