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P-9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MMP-9 (matrix metalloproteinase 9; 기질 금속 단백분해효소 9)[1] 는 조직 재형성 과정에 유발되는 효소로 정상적인 창상치유 및 골성장에 관여하며 염증, 암, 심혈관계 질환 등 의 특정 병적인 상황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건성안에서 IL-1β, TNF-α 및 MAP kinase (유사분열 활성화 단백질 인산화효소) 등의 염증 환경에서 동반 활성화되어 각막 상피의 장벽을 무너뜨린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안구 표면 내 염증 존재의 생체 지표로서 눈물 내 MMP-9의 농도는 안구 표면의 염증 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또한 이는 건성안을 비롯한 익상편[6], 결막 이완증[7], 원추각막[8] 등의 질환이 있는 눈의 눈물막에서 그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이전 연구들에서 밝혀왔다[9][10]. 이를 근거로

면역 분석 키트

InflammaDry-Testing-Kit-Large.jpg

최근에는 외래에서 간편히 시행하는 MMP-9 면역 분석 키트 (InflammaDry™,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Sarasota, FL, USA) 를 이용해 건성안의 진단 및 치료 방향 결정에 사용하고 있으며, 키트의 수집기로 눈꺼풀결막 및 아래 결막 개구부에서 눈물을 채취한 뒤, 검체 카세트에 끼워 완충액에 수초간 적신 뒤 약 10분 후 결과를 확인한다. 김 등[11]은 2021년 5단계의 평가 체계를 제안했다.

41598_2021_92020_Fig4_HTML.png

관련된 이전 연구들은 이 검사가 건성안의 진단에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고 밝혔다[12].

참고

  1.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
  2. Lanza NL et al. The MMP-9 Point-of-Care Test in Dry Eye. Ocul Surf. 2016 Apr;14(2):189-95. 연결
  3. Chotikavanich S et al. Production and activity of MMP-9 on the ocular surface increase in dysfunctional tear syndrome. IOVS. 2009 Jul;50(7):3203-9. 연결
  4. Li DQ et al. JNK and ERK MAP kinases mediate induction of IL-1beta, TNF-alpha and IL-8 following hyperosmolar stress in human limbal epithelial cells. Exp Eye Res. 2006 Apr;82(4):588-96. 연결
  5. Li DQ et al. Regulation of MMP-9 production by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Exp Eye Res. 2001 Oct;73(4):449-59. 연결
  6. Di Girolamo N et al. Differential expression of MMPs and their tissue inhibitors at the advancing pterygium head. IOVS. 2000 Dec;41(13):4142-9. 연결
  7. Acera A et al. Tear MMP-9 levels as a marker of ocular surface inflammation in CCH. IOVS. 2013 Dec 23;54(13):8285-91. 연결
  8. Shetty R et al. Elevated expression of MMP-9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 KC patients is inhibited by CSA. IOVS. 2015 Feb 3;56(2):738-50. 연결
  9. Smith VA et al. Tear film MMP accumulation and corneal disease. BJO. 2001 Feb;85(2):147-53. 연결
  10. Acera A et al. Inflammatory markers in the tears of patients w OSD. Ophthalmic Res. 2008 Oct;40(6):315-21. 연결
  11. Kim M et al. Assessmen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5-scale grading system of the point-of-care immunoassay for tear MMP-9. Sci Rep. 2021 Jun 11;11(1):12394. 연결
  12. Sambursky R et a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 point-of-care MMP-9 immunoassay for diagnosing inflammation related to dry eye. JAMA Ophthalmol. 2013 Jan;131(1):24-8.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