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막 이완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결막 이완증 (conjunctivochalasis) 은 이완되고 부종이 없는 여분의 안구 결막이 안구와 아랫눈꺼풀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말한다. 1908년 Elschnig가 처음 기술하였으며, 1942년 Hughes가 결막 이완증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역학

주로 노인에서 발견되고, 나이가 많아질수록 흔히 관찰되지만 젊은 나이에 보고된 경우도 있다.

증상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결막 이완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 경한 경우 : 주로 눈물띠 형성 방해와 눈꺼풀 깜박임 방해로 인해 눈물막의 불안정성이 유발되거나 악화되어 건조증 증상인 이물감, 충혈, 시야흐림이 나타난다.
  • 중등도 : 눈물 순환이 방해받아 눈물 청소율이 감소하여 건조증 증상 외에 눈물 흘림이 나타난다. 특히 비측 결막이완증에서는 아래눈꺼풀의 눈물점이 막혀 눈물 흘림이 더 빈번하고 심하게 나타난다.
  • 심한 경우 : 심한 눈통증, 시력 저하가 나타나고, 눈을 감을 때 이완된 결막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토끼눈, 각막 함요 등도 나타날 수 있다. 근시나 정시보다는 원시에서 빈발하며, 콘택트렌즈를 착용했던 군에서 더 빈발한다는 보고도 있다.

조직병리

extracellular components에서 탄력 섬유증, 만성 비육아종성 염증, collagenilysis가 관찰된다. 조직 배양에서 세포외 기질의 변형과 분해에 관여하는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MMP1, MMP3)의 상승이 관찰되는 반면 TIMPs(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는 정상과 비슷하여 결과적으로 MMPs와 TIMPs의 비율 이상이 세포외 기질의 감소를 유발하여 결막 이완증이 발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MMPs 표출을 증가시키는 염증 유발 인자인 IL-1, TNF-α 등의 증가가 관찰된다. 눈물에는 IL-6, IL-8 등이 증가되어 있고, 증상이 심할수록 염증 유발 인자가 증가한다.
눈꺼풀이 결막 림프관에 가하는 압력도 유발 요인으로 생각된다. 조직 검사에서 정상 조직에 비하여 넓은 범위에서 결막 림프관 확장이 관찰되고 또 다른 연구에서는 탄력 섬유 파괴와 아교질 소실이 보고되었다.

검사 및 진단

세극등 검사를 통해 이완된 결막을 확인하면 쉽게 진단할 수 있다. 결막 이완의 정도, 위치를 확인하고 증상과의 일치 여부도 확인한다.

감별 진단

환자의 증상이 결막 이완에 의한 것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눈꺼풀 병변(겉말림, 속말림, 속눈썹증, 눈물점 폐쇄, 눈물길 이상, 수평 이완 등)을 감별 진단해야 한다.

비수술적 치료

증상이 없으면 치료가 필요 없으며 주기적으로 상태를 관찰한다. 초기에는 건조증에 준하여 인공 눈물과 같은 윤활제를 사용한다. 야간 노출이 의심되거나 각막 궤양이 나타나면 압박 안대를 이용한 가림 치료가 필요하다. 증상이나 세극등 소견에 따라 국소 항생제 ,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등을 사용한다.

수술적 치료

약물 치료에도 호전이 없으면 수술 요법을 고려한다. 수술 요법의 기본은 이완된 결막을 절제하거나 수축시키거나 이동시켜 안구와 아랫눈꺼풀 사이의 이완된 결막을 없애는 것이다.

1942년 Hughes 등이 처음 수술 방법을 소개한 후 여러 방법이 소개되었다. 이완된 결막을 윤부로부터 5mm 떨어진 부위에서 초승달 모양으로 절제한 후 봉합 없이 두거나 봉합하는 방법, 초승달 모양으로 절제한 후 양막을 이식하는 방법, 양막 이식 대신 조직 접합제를 사용하는 방법, 2개의 방사상 절개를 한 후 이완된 결막을 윤부 쪽으로 당겨 절제하는 방법, 절제 없이 이완된 결막을 아래쪽으로 밀어서 윤부 쪽을 편평하게 한 후 윤부에서 6mm 떨어진 지점에서 6-0 vicryl로 결막과 테논낭을 공막에 고정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Choi 등은 이완된 결막을 두극성 지짐기로 소작하는 방법으로 좋은 치료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했다. 각 저자들은 수술 후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했지만, 반흔성 속말림, 아래결막낭 위축, 안구운동 제한, 반흔 형성, 봉합사에 의한 육아종, 양막 주위 결막염증 등과 같은 합병증도 보고되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