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브리모니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효과
잔글 효과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브리모니딘 (brimonidine)'''{{녹내장}} 은 [[아프라클로니딘|apraclonidine]]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인 선택성 α2 작동제이며 [[아프라클로니딘]]보다 23~32배, [[클로니딘]]보다 7~12배의 선택성을 가지며 지질 친화성 약제라는 것이 [[아프라클로니딘]]과 다른 점이다.
'''브리모니딘 (brimonidine)'''{{녹내장}} 은 [[아프라클로니딘|apraclonidine]]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인 선택성 α2 작동제이며 [[아프라클로니딘]]보다 23~32배, [[클로니딘]]보다 7~12배의 선택성을 가지며 지질 친화성 약제라는 것이 [[아프라클로니딘]]과 다른 점이다.
== 병태 생리 ==
== 작용 기전 ==
<span style='color:blue;'>방수 생성을 감소</span>시키는 것이 주된 작용 기전이며 포도막-공막 유출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섬유주 유출이나 상공막 정맥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ref>Toris CB et tal. Effects of brimonidine on AH dynamics in human eyes. ''Arch Ophthalmol''. 1995 Dec;113(12):1514-7. [https://pubmed.ncbi.nlm.nih.gov/7487618/ 연결]</ref>.
<span style='color:blue;'>방수 생성을 감소</span>시키는 것이 주된 작용 기전이며 포도막-공막 유출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섬유주 유출이나 상공막 정맥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ref>Toris CB et tal. Effects of brimonidine on AH dynamics in human eyes. ''Arch Ophthalmol''. 1995 Dec;113(12):1514-7. [https://pubmed.ncbi.nlm.nih.gov/7487618/ 연결]</ref>.
== 종류 ==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16번째 줄: 17번째 줄:


== 효과 ==
== 효과 ==
0.2% 브리모니딘의 안압 하강 효과는 0.5% [[티몰롤]]과 유사하며<ref>Katz LJ. Brimonidine tartrate 0.2% 2/d vs timolol 0.5% 2/d : 1y results in glaucoma patients. Brimonidine Study Group. ''AJO''. 1999 Jan;127(1):20-6. [https://pubmed.ncbi.nlm.nih.gov/9932994/ 연결]</ref> 0.25% [[베탁솔롤]]보다는 우수하다. 0.5% [[아프라클로니딘]]과 마찬가지로 전안부 레이저 시술 시 나타나는 안압 상승을 방지하는 데도 사용된다<ref>Chen TC et al. Brimonidine 0.2% vs apraclonidine 0.5% for prevention of IOP elevations after AS laser surgery. ''Ophthalmology''. 2001 Jun;108(6):1033-8. [https://pubmed.ncbi.nlm.nih.gov/11382625/ 연결]</ref>.
0.2% 브리모니딘의 안압 하강 효과는 0.5% [[티몰롤]]과 유사하며<ref>Katz LJ. Brimonidine tartrate 0.2% 2/d vs timolol 0.5% 2/d : 1y results in glaucoma patients. Brimonidine Study Group. ''AJO''. 1999 Jan;127(1):20-6. [https://pubmed.ncbi.nlm.nih.gov/9932994/ 연결]</ref> 0.25% [[베탁솔롤]]보다는 우수하다<ref>Javitt J et al. Comparison of the clinical success rates and QoL effects of brimonidine tartrate 0.2% and betaxolol 0.25% suspension in patients w OAG and OHTN. Brimonidine Outcomes Study Group II. ''J Glaucoma''. 2000 Oct;9(5):398-408. [https://pubmed.ncbi.nlm.nih.gov/11039742/ 연결]</ref>. 0.5% [[아프라클로니딘]]과 마찬가지로 전안부 레이저 시술 시 나타나는 안압 상승을 방지하는 데도 사용된다<ref>Chen TC et al. Brimonidine 0.2% vs apraclonidine 0.5% for prevention of IOP elevations after AS laser surgery. ''Ophthalmology''. 2001 Jun;108(6):1033-8. [https://pubmed.ncbi.nlm.nih.gov/11382625/ 연결]</ref>.


α2 교감 작동제는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brimonidine도 시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시신경 손상이나 허혈을 유발한 실험적 연구에서 브리모니딘이 망막 신경절 세포의 손실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실험 모델의 연구 결과를 사람에게 발생하는 녹내장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으므로 실제 녹내장 환자에서 신경보호 작용이 있는지의 여부는 앞으로 더 많은 임상연구가 필요하다.
α2 교감 작동제는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brimonidine도 시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시신경 손상이나 허혈을 유발한 실험적 연구에서 브리모니딘이 망막 신경절 세포의 손실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실험 모델의 연구 결과를 사람에게 발생하는 녹내장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으므로 실제 녹내장 환자에서 신경보호 작용이 있는지의 여부는 앞으로 더 많은 임상연구가 필요하다.
22번째 줄: 23번째 줄:
== 약물 상호 작용 ==
== 약물 상호 작용 ==
다른 녹내장 약물에 추가하여 사용했을 때 apraclonidine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안압 하강 효과를 나타내며, NSAID를 함께 사용하면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다른 녹내장 약물에 추가하여 사용했을 때 apraclonidine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안압 하강 효과를 나타내며, NSAID를 함께 사용하면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 적응증 ==
0.5% apraclonidine과 마찬가지로 전안부 레이저 시술 시 나타나는 안압 상승을 방지하는 데도 사용된다.
== 용법 ==
== 용법 ==
0.2% 브리모니딘을 하루 3회 점안한다.
0.2% 브리모니딘을 하루 3회 점안한다.
== 부작용 ==
== 부작용 ==
입마름, 진정작용, 졸음, 두통,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신 부작용은 고령이나 어린 나이의 환자에게 잘 나타나며, 15세 이하에서는 졸림이나 기면증이 흔히 나타나므로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혈액-뇌 장벽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경우 심각한 중추신경계 억제 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5세 이하의 어린이나 영유아에는 무호흡증이나 저혈압을 유발할 위험이 높으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입마름, 진정작용, 졸음, 두통,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신 부작용은 고령이나 어린 나이의 환자에게 잘 나타나며, 15세 이하에서는 졸림이나 기면증이 흔히 나타나므로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혈액-뇌 장벽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경우 심각한 중추신경계 억제 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5세 이하의 어린이나 영유아에는 무호흡증이나 저혈압을 유발할 위험이 높으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ref>Enyedi LB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brimonidine in children with glaucoma. ''J AAPOS''. 2001 Oct;5(5):281-4. doi: 10.1067/mpa.2001.117571. [https://pubmed.ncbi.nlm.nih.gov/11641636/ 연결]</ref>. 브리모니딘은 FDA 분류 상 class B에 속하므로 임신 중에는 다른 녹내장 약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을 수 있으나 모유 수유 중에는 금해야 한다<ref>Johnson SM et al. Management of glaucoma in pregnancy and lactation. ''Surv Ophthalmol''. 2001 Mar-Apr;45(5):449-54. [https://pubmed.ncbi.nlm.nih.gov/11274697/ 연결]</ref>.
=== 안구 알레르기 ===
=== 안구 알레르기 ===
브리모니딘은 알레르기를 가장 많이 유발하는 약제로 점안 횟수와 농도에 따라 그 발생률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특히, 색소가 짙은 갈색 홍채를 갖는 한국인에서 장기간의 브리모니딘 사용 성적으로 보았을 때 0.2% 브리모니딘 + 0.5% 티몰롤 인 콤비간은 10.14%에서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반면, 0.15% 브리모니딘 단일 제제인 알파간-피 에서는 22.02% 의 알레르기가 발생하여 각각의 약제 특성으로 인해 알레르기 발생률도 큰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브리모니딘은 알레르기를 가장 많이 유발하는 약제로 점안 횟수와 농도에 따라 그 발생률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특히, 색소가 짙은 갈색 홍채를 갖는 한국인에서 장기간의 브리모니딘 사용 성적으로 보았을 때 0.2% 브리모니딘 + 0.5% 티몰롤 인 콤비간은 10.14%에서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반면, 0.15% 브리모니딘 단일 제제인 알파간-피 에서는 22.02% 의 알레르기가 발생하여 각각의 약제 특성으로 인해 알레르기 발생률도 큰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36번째 줄: 35번째 줄:


=== 앞포도막염 ===
=== 앞포도막염 ===
매우 드물게 생길 수 있으며 전형적인 굳기름각막침착물과 경미한 전방염증으로 나타난다. Shin et al. 은 쥐에게 0.15% 브리모니딘을 하루 3회 10개월간 점안한 후 실험군의 방수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와 IL-2의 농도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방수에 축적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브리모니딘 유발 앞포도막염을 발생시켰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매우 드물게 생길 수 있으며 전형적인 굳기름 각막 침착물과 경미한 전방염증으로 나타난다. Shin et al. 은 쥐에게 0.15% 브리모니딘을 하루 3회 10개월간 점안한 후 실험군의 방수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와 IL-2의 농도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방수에 축적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브리모니딘 유발 앞포도막염을 발생시켰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참고}}
{{참고}}
# 아이피트 (eyefit) 49호 [http://magazine.e-umt.com/magazine/eyefit-49%ed%98%b8_2019-kcs-film-festival-i/?mt=eyefit 연결]
# 아이피트 (eyefit) 49호 [http://magazine.e-umt.com/magazine/eyefit-49%ed%98%b8_2019-kcs-film-festival-i/?mt=eyefit 연결]
{{녹내장_안약}}
{{녹내장_안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