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카넷: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적응증 == | == 적응증 == | ||
===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 | ===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 | ||
60 mg/kg를 하루 3회, 2주간 정맥 주사하고, 30~40 mg/kg 용량으로 하루 3회 장기간 유지 치료를 한다. [[간시클로버]]에 비해 골수 억제는 적게 나타나나, 신독성과 전해질 이상이 나타날 수 있어 | 60 mg/kg를 하루 3회, 2주간 정맥 주사하고, 30~40 mg/kg 용량으로 하루 3회 장기간 유지 치료를 한다. [[간시클로버]]에 비해 골수 억제는 적게 나타나나, 신독성과 전해질 이상이 나타날 수 있어 주사와 동시에 충분한 수액 보충이 필요하며, 한 번 주사시 2시간 정도 주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대개 일차 치료로 사용되지는 않고, [[간시클로버]]에 치료 효과가 없는 경우에 고려된다. | ||
== 종류 == | == 종류 ==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2023년 4월 10일 (월) 04:57 판
포스카넷 (foscarnet)[1]
효과
피로연산염 (pyrophosphate) 과 유사한 구조로 DNA 중합 효소의 피로인산염 결합 부위에 비경쟁적으로 작용하여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한다. 모든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DNA 중합 효소에 인산화 과정 없이 작용하므로 아시클로버 내성인 단순포진 바이러스 (HSV),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VZV) 와 간시클로버 내성인 대부분의 거대세포 바이러스 (CMV) 에 감수성을 보인다[2].
적응증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60 mg/kg를 하루 3회, 2주간 정맥 주사하고, 30~40 mg/kg 용량으로 하루 3회 장기간 유지 치료를 한다. 간시클로버에 비해 골수 억제는 적게 나타나나, 신독성과 전해질 이상이 나타날 수 있어 주사와 동시에 충분한 수액 보충이 필요하며, 한 번 주사시 2시간 정도 주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대개 일차 치료로 사용되지는 않고, 간시클로버에 치료 효과가 없는 경우에 고려된다.
종류
제품명 | 용량 | 제조사 | 보험 코드 | 구분 |
---|---|---|---|---|
포스카비어 주 | 250 ml | 리퓨어 헬스케어 | 679700360 | 비급여 (희귀) |
장점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에 대한 치료 효과는 ganciclovir•와 비슷하 나 HIV 바이 러스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어 ganciclovir과 비 교하였을 때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부작용
신장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