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포푸신: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라이포푸신 (lipofuscin)'''{{망막}} | '''라이포푸신 (lipofuscin)'''{{망막}} | ||
== 분포 == | == 분포 == | ||
[[망막 색소상피|RPE]] 내에서 라이포푸신은 기저부 (basolateral) 에서 발견된다<ref>Feeney L. Lipofuscin and melanin of human RPE. Fluorescence, enzyme cy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ies. ''IOVS''. 1978 Jul;17(7):583-600. [https://pubmed.ncbi.nlm.nih.gov/669890/ 연결]</ref>. | [[망막 색소상피|RPE]] 내에서 라이포푸신은 기저부 (basolateral) 에서 발견된다<ref>Feeney L. Lipofuscin and melanin of human RPE. Fluorescence, enzyme cy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ies. ''IOVS''. 1978 Jul;17(7):583-600. [https://pubmed.ncbi.nlm.nih.gov/669890/ 연결]</ref>. 사람의 눈에서 [[멜라닌]]과 은 서로 상반된 공간적 분포를 보인다<ref>Keilhauer CN et al. Near-IR AF imaging of the fundus : visualization of ocular melanin. ''IOVS''. 2006 Aug;47(8):3556-64. [https://pubmed.ncbi.nlm.nih.gov/16877429/ 연결]</ref>. 라이포푸신은 적도부에서 후극부로 갈수록 양이 증가하지만 황반 중심부에서는 매우 적다. | ||
== 발생 == | == 발생 == | ||
망막의 광수용체는 빛과 맥락막의 산소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유리기에 의해 손상받기 쉬운데, 광수용체 외절 원판이 탈락되면 [[망막 색소상피]] (RPE) 가 이를 탐식하고 소화시키게 된 다. 이화 작용의 최종 산물은 새로운 원판을 합성하는 데 재사용되나, 광산화 손상에 의해 발생한 물질은 이화 작용에 참여하는 효소가 인식할 수 없어 포식 용해소체 (phagolysosome) 의 불완전한 분해를 유발하고 라이포푸신이라고 불리는 라이소솜 잔체 (lysosomal residual body) 로 축적되게 된다. | 망막의 광수용체는 빛과 맥락막의 산소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유리기에 의해 손상받기 쉬운데, 광수용체 외절 원판이 탈락되면 [[망막 색소상피]] (RPE) 가 이를 탐식하고 소화시키게 된 다. 이화 작용의 최종 산물은 새로운 원판을 합성하는 데 재사용되나, 광산화 손상에 의해 발생한 물질은 이화 작용에 참여하는 효소가 인식할 수 없어 포식 용해소체 (phagolysosome) 의 불완전한 분해를 유발하고 라이포푸신이라고 불리는 라이소솜 잔체 (lysosomal residual body) 로 축적되게 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