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분류)
5번째 줄: 5번째 줄:
비록 약간의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만성적인 고혈당이 당뇨 망막병증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의 유벙기간 이외에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는 만성 고혈당증, 고혈압, 임신, 사춘기, 신장 질환, 고지혈증 등이 있다. 사춘기의 영향은 이 시기에 일어나는 성장 호르몬 등의 현저한 호르몬 변회이l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비록 약간의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만성적인 고혈당이 당뇨 망막병증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의 유벙기간 이외에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는 만성 고혈당증, 고혈압, 임신, 사춘기, 신장 질환, 고지혈증 등이 있다. 사춘기의 영향은 이 시기에 일어나는 성장 호르몬 등의 현저한 호르몬 변회이l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 분류 ==
== 분류 ==
* [[비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 [[비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 [[ETDRS]] 에서는 아래의 두 경우를 합쳐서 '비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 배경 당뇨 망막병증 (background diabetic retinopathy; BDR) : 미세혈관류, 망막 출혈, 경성 삼출물, 황반 부종 등이 관찰될 때
# 전증식 당뇨 망막병증 (pre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PPDR) : 혈관 폐쇄가 더 진행되어 세동맥까지 포함된 경우로, 증식 당뇨 망막병증으로의 진행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2020년 5월 6일 (수) 06:35 판

당뇨 망막병증 (diabetic retinopathy; DMR)"당뇨병 환자에서 지속적인 고혈당으로 인해 모세혈관에 손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망막 전반에 허혈 손상이 일어나고, 신생혈관이 발생하여 실명으로 이어지는 대표적인 허혈 망막질환이다. 20세 이상의 성인의 시력을 손상시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역학

당뇨병에 의한 망막병증 및 시력 손상은 생활수준의 향상과 치료의 빌전으로 당뇨병 환자의 수명과 유병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중요한 문제가 되어왔다. 시력 손상 중 당뇨병에 의한 것이 1930년에는 1% 이하였으나, 1960년에는 15%까지 늘어났으며, 1980년에는 23% 정도로 보고되었다. 최근에 당뇨 망막병증은 25세 이상에서 시 력손상을 초래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역학 조사에서 망막병증의 유병률 및 심한 정도는 당뇨병을 앓은 유병 기간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 미국 위스콘신주에서의 역학조사에 따르면 제 1형에 해당하는 30세 이전에 진단된 당뇨병 환자에서 유병기간이 5년 이하일 때 17%, 15 년 이상일 때 98%의 망막병증 유병률을 보였고, 증식 당뇨 망막병증은 10년 이하에서 약 1%, 35 년 이상에서 67%의 유병률을 보였다. 제 2형에 해당하는 30세 이후에 진단된 당뇨병 환자에서의 망막병증 유병률은 전체적으로 유병기간 5년 이하에서 29%. 15 년 이상에서 78%이고 증식당뇨망막병증은 5 년 이하에서 2%, 15년 이상에서 16% 이었다. 같은 유병 기간에서 증식 당뇨 망막병증은 제 2형보다 제 1형 환자에서 빈도가 높으며, 또한 제 2형 당뇨병 환자 중 인슐린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서 식이 요법이나 혈당 강하제에 의해 당을 조절하고 있는 경우보다 증식 당뇨 망막병증이 더 흔하게 발생하였다.
  국내에서는 여러 가지 보고가 있는데 1989년의 한 보고에 의하면 848예의 환자에서 36.1% 의 당뇨 망막병증 빈도를 보고하였으며, 이 중 증식성이 11.1 %를 차지하였다. 병형별 차이는 없었으나 인슐린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서 빈도기 높았으며, 유병기간이 5년 이하에서는 18.6%, 15 년 이상에서는 74.1%로, 역시 유병 기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위험 인자

비록 약간의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만성적인 고혈당이 당뇨 망막병증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의 유벙기간 이외에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는 만성 고혈당증, 고혈압, 임신, 사춘기, 신장 질환, 고지혈증 등이 있다. 사춘기의 영향은 이 시기에 일어나는 성장 호르몬 등의 현저한 호르몬 변회이l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분류

  1. 배경 당뇨 망막병증 (background diabetic retinopathy; BDR) : 미세혈관류, 망막 출혈, 경성 삼출물, 황반 부종 등이 관찰될 때
  2. 전증식 당뇨 망막병증 (pre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PPDR) : 혈관 폐쇄가 더 진행되어 세동맥까지 포함된 경우로, 증식 당뇨 망막병증으로의 진행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