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타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펜타캠 (pentacam) | 펜타캠 (pentacam) | ||
== 결과의 해석 == | == 결과의 해석 == | ||
=== Belin / Ambrósio Enhanced Ectasia Display === | |||
==== pachymetric progression ==== | |||
1.6 SD 미만이면 흰색, 이상이면 노란색, 2.6 SD 이상이면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 |||
* Df (front) | |||
* Db (back) | |||
* Dp (pach progression) | |||
* Dt (thinnest value) | |||
* Da (thinnest displacement) | |||
* D : 상기 다섯 변수의 종합적 결과 | |||
=== Topometric/KC-Staging === | === Topometric/KC-Staging === | ||
* ISV (index of surface variance) : 22 (0.80) | * ISV (index of surface variance) : 22 (0.80) |
2020년 7월 27일 (월) 00:10 판
펜타캠 (pentacam)
결과의 해석
Belin / Ambrósio Enhanced Ectasia Display
pachymetric progression
1.6 SD 미만이면 흰색, 이상이면 노란색, 2.6 SD 이상이면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 Df (front)
- Db (back)
- Dp (pach progression)
- Dt (thinnest value)
- Da (thinnest displacement)
- D : 상기 다섯 변수의 종합적 결과
Topometric/KC-Staging
- ISV (index of surface variance) : 22 (0.80)
- IVA (index of vertical asymmetry) : 0.14 (0.86)
- KI (keratoconus index)
- CKI (central keratoconus index)
- IHA (index of height asymmetry)
- IHD (index of height decentration)
- RMin (minimum sagittal curvature)
- TKC (topographical keratoconus classification)
참고
- Hashemi H, et al. Pentacam top indices for diagnosing subclinical and definite keratoconus. J Curr Ophthalmol. 2016;28(1):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