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아동기에 흔히 볼 수 있는 소아정신과적 증상 중의 하나이다. 호발 연령은 주로 5~10세 사이이고 남아에서 3~4배 더 많다<ref>Corbett JA et al. Tics and Gilles de la Tourette's syndrome : a FU study and critical review. ''Br J Psychiatry''. 1969 Nov;115(528):1229-41. [https://pubmed.ncbi.nlm.nih.gov/5260602/ 연결]</ref>. | 아동기에 흔히 볼 수 있는 소아정신과적 증상 중의 하나이다. 호발 연령은 주로 5~10세 사이이고 남아에서 3~4배 더 많다<ref>Corbett JA et al. Tics and Gilles de la Tourette's syndrome : a FU study and critical review. ''Br J Psychiatry''. 1969 Nov;115(528):1229-41. [https://pubmed.ncbi.nlm.nih.gov/5260602/ 연결]</ref>. | ||
== 분류<ref>Rutter M et al.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nd ed. New York: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 1985;516-25.</ref> == | == 분류<ref>Rutter M et al.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nd ed. New York: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 1985;516-25.</ref> == | ||
* 근육 틱 (motor tic) | * 근육 틱 (motor tic) : 초기에 보이는 근육 틱으로는 안면 근육을 침범하는 형태가 가장 많은데 눈 깜박임 (eye-blinking), 안구 움직임, 얼굴 찡그리기, 머리 흔들기, 입뾰죽 내밀기 등을 흔히 볼 수 있다<ref>조수철, 소아 정신약물학. 초판.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329-61</ref>. | ||
* 음성 틱 (vocal tic) | * 음성 틱 (vocal tic) | ||
증상의 양상 및 지속 기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증상의 양상 및 지속 기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2022년 2월 22일 (화) 00:53 판
틱 (tic) 이란 불수의적인, 갑작스러운, 반복적인, 목적이 없는, 리듬이 없고, 상동적인 근육의 움직임 또는 소리냄으로 정의한다. 저항할 수 없는 것이기는 하나 일정 기간 억제할 수는 있으며, 스트레스에 의해 악화되고 수면이나 몰두하는 행위시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역학
아동기에 흔히 볼 수 있는 소아정신과적 증상 중의 하나이다. 호발 연령은 주로 5~10세 사이이고 남아에서 3~4배 더 많다[1].
분류[2]
- 근육 틱 (motor tic) : 초기에 보이는 근육 틱으로는 안면 근육을 침범하는 형태가 가장 많은데 눈 깜박임 (eye-blinking), 안구 움직임, 얼굴 찡그리기, 머리 흔들기, 입뾰죽 내밀기 등을 흔히 볼 수 있다[3].
- 음성 틱 (vocal tic)
증상의 양상 및 지속 기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일과성 틱 장애 (transient tic disoder)
- 만성 틱 장애 (chronic tic disorder)
- 뚜렛 증후군 (Tourette's syndrome)
참고
- ↑ Corbett JA et al. Tics and Gilles de la Tourette's syndrome : a FU study and critical review. Br J Psychiatry. 1969 Nov;115(528):1229-41. 연결
- ↑ Rutter M et al.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nd ed. New York: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 1985;516-25.
- ↑ 조수철, 소아 정신약물학. 초판.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32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