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DI: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각막}} 는 건성안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설문이며 환자가 느끼는 증상의 빈도에 관한 12개의 문항으로...)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각막}} 는 [[건성안]]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설문이며 환자가 느끼는 증상의 빈도에 관한 12개의 문항으로 구성된다. |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각막}} 는 [[건성안]]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설문이며, 건성안 증상의 빈도와 시력과 관련된 기능에 끼치는 영향을 평가한다<ref>Schiffman RM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OSDI. ''Arch Ophthalmol''. 2000 May;118(5):615-21. [https://pubmed.ncbi.nlm.nih.gov/10815152/ 연결]</ref>. | ||
== 내용 == | |||
환자가 느끼는 증상의 빈도에 관한 12개의 문항으로 구성된다. 시력과 관련된 기능과 시각 작업 상태, 환경에 따른 3가지 항목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증상에 따라 항상 그렇다 (4점), 대부분 (3점), 절반 정도 (2점), 가끔 (1점), 전혀 (0점) 으로 점수를 평가하며 총점은 0~100점 범위이다. | |||
OSDI 점수 = (질문 응답의 합계 점수 ×25 / 응답한 질문의 개수) | |||
== 평가 == | |||
* 0~12점 : 정상 | |||
* 13~22점 : 경도 (mild) | |||
* 23~32점 : 중등도 (moderate) | |||
* 33~100점 : 중증 (severe) 안구 건조증 | |||
{{참고}} | {{참고}} |
2022년 4월 6일 (수) 04:50 판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1] 는 건성안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설문이며, 건성안 증상의 빈도와 시력과 관련된 기능에 끼치는 영향을 평가한다[2].
내용
환자가 느끼는 증상의 빈도에 관한 12개의 문항으로 구성된다. 시력과 관련된 기능과 시각 작업 상태, 환경에 따른 3가지 항목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증상에 따라 항상 그렇다 (4점), 대부분 (3점), 절반 정도 (2점), 가끔 (1점), 전혀 (0점) 으로 점수를 평가하며 총점은 0~100점 범위이다.
OSDI 점수 = (질문 응답의 합계 점수 ×25 / 응답한 질문의 개수)
평가
- 0~12점 : 정상
- 13~22점 : 경도 (mild)
- 23~32점 : 중등도 (moderate)
- 33~100점 : 중증 (severe) 안구 건조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