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네프린: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에피네프린 (epinepherine)'''{ | '''에피네프린 (epinepherine)'''{{녹내장}} | ||
== 효과 == | == 효과 == | ||
# 초기 단계 : 점안 수분 내에 알파 작동제의 혈관 수축 작용으로 혈청 에서 섬모체돌기 기질로의 초투과성을 감소시켜 방수 생성을 억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일시적이며 안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 초기 단계 : 점안 수분 내에 알파 작동제의 혈관 수축 작용으로 혈청 에서 섬모체돌기 기질로의 초투과성을 감소시켜 방수 생성을 억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일시적이며 안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2022년 8월 25일 (목) 13:05 판
에피네프린 (epinepherine)[1]
효과
- 초기 단계 : 점안 수분 내에 알파 작동제의 혈관 수축 작용으로 혈청 에서 섬모체돌기 기질로의 초투과성을 감소시켜 방수 생성을 억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일시적이며 안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두번째 단계 : 점안 후 수시간 동안 방수 유출을 증가시키 게 된다.
- 마지막 단계 : 수주에서 수개월간 점안 후 나타나며 이는 섬유주에서의 glycosaminoglycan 대사와 관련이 있다.
백내장 수술 시 사용
산동이 잘 되지 않는 경우 전방 내에 주입하기도 하는데, 이 또한 각막 내피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점안용 산동제를 사용하였을 경우와 큰 차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부작용
아데노크롬 (adenochrome) 으로 변환되어 색소 침착을 유발할 수 있으며 무수정 체안에서 낭포 황반 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에피네프린이나 디피베프린은 혈압 상승, 심박 항진, 부정맥, 두통, 떨림 등의 부작용을 유발 할 수 있다.
참고
- ↑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
- ↑ Lundberg B et al. Intracameral mydriatics in PE cataract surgery : a 6y FU. Acta Ophthalmol. 2013 May;91(3):243-6. 연결
- ↑ Teoh LS et al. Evaluation of Corneal Endothelial Cell Loss After Uncomplicated PE Cataract Surgery w Intracameral Phenylephrine. Asia Pac J Ophthalmol (Phila). 2017 Jul-Aug;6(4):318-325. 연결
녹내장 점안제 | ||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 라타노프로스트, 트라보프로스트, 비마토프로스트, 타플루프로스트, 우노프로스톤 오미데네팍, 라타노프로스텐 부노드 | |
베타 차단제 | 티몰롤, 베탁솔롤, 레보부놀롤, 카테올롤, 메티프라놀롤 | |
교감 신경 흥분제 | 브리모니딘, 아프라클로니딘, 클로니딘, 에피네프린, 디피베프린 | |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 도르졸라미드, 브린졸라미드 | |
락 억제제 | 리파수딜, 네타르수딜 (로클라탄) | |
축동제 | 필로카르핀, 필로핀, 카바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