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층 황반원공: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Smile님이 부분층 황반 원공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부분층 황반원공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2022년 12월 25일 (일) 00:57 기준 최신판

부분층 황반원공 (lamellar macular hole; lamellar MH)[1]

병태 생리

Gass는 낭포 황반 부종의 낭포가 파열되면서 생성된다고 하였다. 근래에는 황반 원공이 발생하던 중 퇴행하거나, 망막앞막이 위축되면서 중심와가 얇아지는 경우도 포함한다.

위험 인자

종종 망막앞막이 동반될 수 있으나, 이는 가성원공이 망막앞막의 수축으로 인해 진행된 형태로 봐야할 수 있다.

조직병리

병변의 가장자리에 유리체 피질의 견인력이 남아있거나 망막앞막이 관찰되기도 한다.

검사 및 진단

  • OCT : 망막 색소상피와 광수용 세포층은 유지되면서 중심와 두께가 얇아지고, 병변의 가장자리에서 망막내층과 외층 사이의 갈라진 틈과 낭포성 변화가 관찰된다.
  • 현미경 검사 : 원형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고 2~3개의 소엽으로 관찰되며, Watzke-Allen test는 음성이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