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슈만 편모충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치료)
잔글 (→‎진단)
20번째 줄: 20번째 줄:
피부 질환과 장기 질환의 두 가지 전신 질환을 나타낸다. 피부 질환의 하나로 발생하는 각막염은 American (mucocutaneous) leishmaniasis로 불리며 부채꼴 또는 광범위 각막 실질염을 일으킨다. 눈꺼풀의 병변에 의해 각막에 직접적으로 침입하는 경우에는 화농 각막 궤양을 일으키기도 한다.
피부 질환과 장기 질환의 두 가지 전신 질환을 나타낸다. 피부 질환의 하나로 발생하는 각막염은 American (mucocutaneous) leishmaniasis로 불리며 부채꼴 또는 광범위 각막 실질염을 일으킨다. 눈꺼풀의 병변에 의해 각막에 직접적으로 침입하는 경우에는 화농 각막 궤양을 일으키기도 한다.
== 진단 ==
== 진단 ==
대부분 조직 찰과, 흡인 검사, 생검 검체의 슬라이드 염색 및 현미경적 검사,특수 배양 기법 또는 분자 생물학적 검사 등으로부터 기생충의 존재를 입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리슈만 편모충증의 확진에서 영상검사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Montenegro 리슈만 편모충증 피부 반응 검사는 rK39 신속검사와 PCR 등 새로운 혈청학적 검사로 대체되었다.
대부분 조직 찰과, 흡인 검사, 생검 검체의 슬라이드 염색 및 현미경적 검사, 특수 배양 기법 또는 분자 생물학적 검사 등으로부터 기생충의 존재를 입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리슈만 편모충증의 확진에서 영상검사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Montenegro 리슈만 편모충증 피부 반응 검사는 rK39 신속검사와 PCR 등 새로운 혈청학적 검사로 대체되었다.
 
== 치료 ==
== 치료 ==
기생충과 숙주 인자에 따라 다르다. 어떤 치료 방침은 특정 리슈만 편모충증에만 반응하거나 특정 부위에서만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피부 리슈만 편모충증의 치료에는 아래와 같은 전신 약제를 사용한다.
기생충과 숙주 인자에 따라 다르다. 어떤 치료 방침은 특정 리슈만 편모충증에만 반응하거나 특정 부위에서만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피부 리슈만 편모충증의 치료에는 아래와 같은 전신 약제를 사용한다.

2024년 7월 22일 (월) 08:59 판

리슈만 편모충증 (leishmaniasis)[1]

역학

피부 리슈만 편모충증은 가장 흔한 아형이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기생충 감염 중 하나이다. 아프리카, 중동, 중남미 및 지중해 연안에서 흔하다.210

원인

미대륙에서 Lutzomyia, 이외 지역에서 Phlebotomus 속 모래 파리에 의해 전파되는 리슈만 편모충 (leishmania) 속의 다양한 종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며

  • Leishmania major
  • Leishmania tropica

가 가장 흔하다.

분류

  • 피부형
  • 내장형
  • 점막 피부형

피부 리슈만 편모충증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되며, 여러 형태가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 전형 (classical cutaneous)
  • 미만성 (diffuse cutaneous)
  • 재발성 (leishmaniasis recidivans)
  • 칼라아자르 후 진피 (post kala-azar dermal) 리슈만 편모중증

임상 소견

피부 질환과 장기 질환의 두 가지 전신 질환을 나타낸다. 피부 질환의 하나로 발생하는 각막염은 American (mucocutaneous) leishmaniasis로 불리며 부채꼴 또는 광범위 각막 실질염을 일으킨다. 눈꺼풀의 병변에 의해 각막에 직접적으로 침입하는 경우에는 화농 각막 궤양을 일으키기도 한다.

진단

대부분 조직 찰과, 흡인 검사, 생검 검체의 슬라이드 염색 및 현미경적 검사, 특수 배양 기법 또는 분자 생물학적 검사 등으로부터 기생충의 존재를 입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리슈만 편모충증의 확진에서 영상검사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Montenegro 리슈만 편모충증 피부 반응 검사는 rK39 신속검사와 PCR 등 새로운 혈청학적 검사로 대체되었다.

치료

기생충과 숙주 인자에 따라 다르다. 어떤 치료 방침은 특정 리슈만 편모충증에만 반응하거나 특정 부위에서만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피부 리슈만 편모충증의 치료에는 아래와 같은 전신 약제를 사용한다.

  • sodium stibogluconate (Pentostam)
  • liposomal amphotericin B (AmBisome)
  • miltefosine (Impavido)
  • am­photericin B deoxycholate
  • pentamidine isethionate
  • 경구 azole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플루코나졸)

국소 치료

점막 파종의 위험성이 없는 피부 리슈만 편모충증에서는 병변의 수, 위치, 특징에 따라 국소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

  • 액화 질소를 이용한 냉동 치료
  • 국소 전류장 고주파열을 이용한 열 치료
  • 5가 안티몬 합금 (stibogluconate-Pentostam) 의 병변내 주입
  • paromomycin의 국소 도포

참고

  1.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