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층 황반원공: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번째 줄: 1번째 줄:
'''부분층 황반원공 (lamellar macular hole; lamellar MH)'''{{망막}}
'''부분층 황반원공 (lamellar macular hole; lamellar MH)'''{{망막}}
== 병태 생리 ==
== 병인 ==
Gass는 [[낭포 황반부종]]의 낭포가 파열되면서 생성된다고 하였다. 근래에는 황반 원공이 발생하던 중 퇴행하거나<ref>Haouchine B et al. Foveal pseudocyst as the first step in MH formation : a prospective study by OCT. ''Ophthalmology''. 2001 Jan;108(1):15-22. [https://pubmed.ncbi.nlm.nih.gov/11150257/ 연결]</ref>, [[망막앞막]] (ERM) 이 위축되면서 중심와가 얇아지는 경우도 포함한다<ref>Witkin AJ et al. Redefining lamellar holes and the VM interface : an ultrahigh-resolution OCT study. ''Ophthalmology''. 2006 Mar;113(3):388-97. [https://pubmed.ncbi.nlm.nih.gov/16513456/ 연결]</ref>.
Gass는 [[낭포 황반부종]]의 낭포가 파열되면서 생성된다고 하였다. 근래에는 황반 원공이 발생하던 중 퇴행하거나<ref>Haouchine B et al. Foveal pseudocyst as the first step in MH formation : a prospective study by OCT. ''Ophthalmology''. 2001 Jan;108(1):15-22. [https://pubmed.ncbi.nlm.nih.gov/11150257/ 연결]</ref>, [[망막앞막]] (ERM) 이 위축되면서 중심와가 얇아지는 경우도 포함한다<ref>Witkin AJ et al. Redefining lamellar holes and the VM interface : an ultrahigh-resolution OCT study. ''Ophthalmology''. 2006 Mar;113(3):388-97. [https://pubmed.ncbi.nlm.nih.gov/16513456/ 연결]</ref>.



2025년 9월 19일 (금) 04:56 기준 최신판

부분층 황반원공 (lamellar macular hole; lamellar MH)[1]

병인

Gass는 낭포 황반부종의 낭포가 파열되면서 생성된다고 하였다. 근래에는 황반 원공이 발생하던 중 퇴행하거나[2], 망막앞막 (ERM) 이 위축되면서 중심와가 얇아지는 경우도 포함한다[3].

관련 질환

  • ERM : 30%에서 동반되며, 일반적으로 심하게 수축하는 모습을 보이지는 않는다[4][5].

조직병리

병변의 가장자리에 유리체 피질의 견인력이 남아있거나 ERM이 관찰되기도 한다.

임상 소견

동그란 모양보다는 2~3개의 소엽으로 관찰되며, 병변의 주변부 망막이 두껍게 융기되지 않고 얇아져 있다는 점에서 특발성 황반 원공과 구분이 가능하다. Watzke-Allen 검사는 음성이다.

  • OCT : 중심와 내측 망막의 결손이 발생하고 병변 바닥이 불규칙하게 얇아지는 모습을 보이며, 병변 가장자리 망막내층과 외층 사이가 갈라지는 틈이 관찰되곤 한다[6][4].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Haouchine B et al. Foveal pseudocyst as the first step in MH formation : a prospective study by OCT. Ophthalmology. 2001 Jan;108(1):15-22. 연결
  3. Witkin AJ et al. Redefining lamellar holes and the VM interface : an ultrahigh-resolution OCT study. Ophthalmology. 2006 Mar;113(3):388-97. 연결
  4. 4.0 4.1 Gaudric A et al. MPHs w lamellar cleavage of their edge remain pseudoholes. AJO. 2013 Apr;155(4):733-42, 742.e1-4. 연결
  5. Allen AW Jr et al. Contraction of a perifoveal ERM simulating a MH. AJO. 1976 Nov;82(5):684-91. 연결
  6. Haouchine B et al. Diagnosis of MPHs and lamellar macular holes by OCT. AJO. 2004 Nov;138(5):732-9. 연결